#alternate Chosun.com [RSS] 교육시설 21곳, 종합의료시설 6곳… 공원·녹지율 30% 친환경 도시 구축 * 박원수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0 도청신도시 사업 계획 경북도청이 이전한 도청신도시 지역은 신도청과, 경북교육청, 경북지방경찰청과 같은 관련 기관들이 이전했거나 이전할 계획인 곳이다. 모든 이전계획이 이행되면 안동·예천지역은 명실상부한 신도청 시대를 맞게 된다. 이미 올 2월 도청이 이전해 사실상 신도청 시대가 열렸다. 그러나 이는 첫발을 내디딘 것일 뿐 앞으로 몇단계의 사업이 남아 있다. 도청신도시 지역은 이 사업들을 거쳐 2027년이면 상주인구 10만명의 자급자족 도시로 탈바꿈 한다. 도청신도시 곳곳에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와 도로들. 도청신도시 곳곳에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와 도로들. 2011년 10월 첫사업을 시작한 도청 신청사 건설사업은 작년 4월 신청사가 준공됨으로써 도청신도시의 모습을 드러냈다. 작년 7월 경북도교육청도 완공됐다. 그리고 올 2월 두 기관이 차례로 이전을 완료했다. 도청신청사와 경북교육청 신청사 건설 등을 골자로 한 1단계 사업에 든 예산은 모두 1조429억원. 신도시의 주요기능인 행정기능과 기반시설이 갖추어졌다. 앞으로 남은 사업은 2단계사업과 3단계 사업. 2단계사업은 현재 개발계획이 수립 중에 있으며 내년 9월 착공돼 2022년 끝난다. 아파트, 공원, 병원, 상가 등의 기반시설과 함께 주거시설도 차례로 건설된다. 이렇게 되면 도청신도시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생활불편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주거용지와 산업단지, 대학 등 도시자족시설을 갖추게 되는 3단계 사업은 2027년에 마무리 될 예정이다. 도청신도시 건설사업의 개발방향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있는 문화도시 ▲저탄소 녹생성장을 주도하는 전원형 생태도시 ▲신성장을 선도하는 행정·지식산업도시다. 이에 따라 안동과 예천에는 각각 제1행정타운과 제2행정타운이 배치된다. 제1행정타운에는 도청 및 도의회, 경찰청, 교육청 등 유관기관이 입주한다. 제2행정타운에는 중앙합동청사, 농업기술원, 유관기관 등이 배치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해서 도청신도시는 생활권을 중심으로 학교와 상업시설 등을 근거리에 배치해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도청신도시 지역을 다른 지역과 특화시킨다는 매력도 있다. 경북도는 이곳을 안동을 중심으로 하회마을과 연계한 문화·관광·레저 기능을, 예천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시설·대학을 중심으로 자족 및 지원기능을 강화하는 곳으로 각각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키로 했다. 저탄소 녹색도시로서의 기능도 빼놓을 수 없다. 친환경적인 토지이용계획을 마련하고 대중교통과 보행 및 자전거 중심의 교통망을 구축해 탄소배출을 최소화 하겠다는 것이다. 이곳은 또한 새로 조성하는 지역인 만큼 그 어느곳보다 공원과 녹지가 풍부한 곳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경북도는 공원·녹지율을 전체면적의 30.8% 수준에서 유지할 계획이다. 이는 충남 도청신도시 지역의 26.2%, 전남 도청신도시 지역의 28.6%를 훨씬 웃도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원수는 근린공원 15곳, 어린이공원 15곳, 소공원 15곳, 수변공원 13곳, 역사공원1곳 등 모두 59곳이 건설된다. 공공문화시설 역시 적지 않게 건설되고 있다. 유치원만 6곳에 이르고, 초등학교 7곳, 중학교 4곳, 고등학교 3곳, 대학교 1곳 등 교육시설의 수는 총 21곳이다. 문화체육시설은 6곳, 병원을 포함한 종합의료시설 6곳으로 쾌적한 생활을 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신도시 건설에 따른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21조1799억원의 생산유발효과, 7조7768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13만6000여명의 고용증가가 뒤따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김상동 경북도청 도청신도시본부장은 "앞으로 남은 2단계와 3단계 개발을 거쳐 이곳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며 "2027년이 되면 하나의 새로운 도시가 탄생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에듀팡과 업무 협약… 기출문제 온라인 서비스 * 오선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족보닷컴 국내 최대 온라인 교육 콘텐츠 브랜드 족보닷컴(www.zocbo.com)이 지난 22일 에듀테크 스타트업 에듀팡(www.edupang.com)과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급변하는 교육 현장에 대비해 교육시장의 평등화와 선진화를 목표로 교육상품 및 콘텐츠의 기획·운영에서 적극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족보닷컴이 보유한 양질의 콘텐츠를 무료 혹은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고, 공동으로 행사를 진행하는 등 효율적인 수행 방안을 마련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그 밖에 ▲양사 회원 대상 상품 판매 및 홍보 ▲족보닷컴 회원 대상 간편 로그인 제공 및 에듀팡 할인 쿠폰 제공 ▲족보닷컴 회원 구매 시 구매 혜택 제공 ▲에듀팡 학원비즈몰 홍보 및 사용 등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여원동 에듀팡 대표는 "교육 불평등 문제를 개선한다는 당사의 교육철학을 족보닷컴과 함께하게 돼 기쁘다"며 "교육 수요자들이 적은 비용으로 족보닷컴의 우수한 교육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전했다. 족보닷컴은 지난 15년간 학생들의 시험 대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개발·제공해 온 국내 최대 온라인 교육 콘텐츠 브랜드로, 270만 회원을 보유했다. 그동안 사설학원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통용되던 기출문제를 온라인에서 제공함으로써 사교육비 절감에 이바지했다. 장정호 족보닷컴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 회사의 강점을 살려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며 "학생들의 학습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양사가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에듀팡은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의 문화데이터 활용 지원 사업에 선정돼, 정부·지방자치단체·교육기관의 교육 정보들을 교육수요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에듀팡 2.0 서비스' 오픈을 앞두고 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트랜스미디어 현황 궁금하다면…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문화영화·애니 트랜스미디어 현황 궁금하다면… 등록 :2016-09-25 22:45수정 :2016-09-25 23:4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마블 코믹스는 슈퍼맨,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같은 만화 속 오래된 슈퍼히어로들을 영화와 티브이, 게임으로 불러내 새로운 영웅서사를 만들어냈다. 매체 특성에 맞게 이야기가 진화되고 확장하는 것을 트랜스미디어라고 한다. 영화교육기관 아카데미 로카는 트랜스미디어 현황을 분석하는 특강을 연다. 28일엔 마블 트랜스미디어 전략을 분석한다. (02)6013-8074.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culture&kisano=762684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세상 읽기] 21세기 교육과 20세기 학교 / 윤태웅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칼럼 [세상 읽기] 21세기 교육과 20세기 학교 / 윤태웅 등록 :2016-09-27 17:48수정 :2016-09-27 18:5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윤태웅 ESC 대표·고려대 공대 교수 이번 학기엔 학부생들에게 ‘공학수학2’를 강의합니다. 2학년 전공필수 과목인데, 복소수함수와 선형대수가 주제입니다. 전기전자공학의 여러 영역에서 많이 쓰이는 수학이지요. 하지만 모든 학생이 복소수함수의 미적분이나 선형연산자를 잘 다뤄야만 하는 건 아닙니다. 이런 수학을 별로 사용하지 않는 분야도 없지는 않은데다, 과학기술 저술가나 기자가 되려는 청년들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복소수함수와 선형대수를 활용하지 않을 소수의 학생들에게 공학수학2는 어떤 의미일까요? 수학은,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참일 수밖에 없는 연역추론입니다. 과정이 결과에 우선하지요. 지금까지 존재해왔던 지식체계 가운데 가장 확실한 것이기도 합니다. 2보다 큰 짝수 가운데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는 이제껏 아무도 발견하지 못했지만, 수학에선 그 이야기가 그저 추측일 뿐입니다.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미적분학도 극한의 개념이 명확히 정의된 19세기 중엽에 이르러서야 엄밀한 수학이 될 수 있었습니다.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분법을 만든 게 17세기 후반이었으니 150여년이나 걸린 셈이지요. 수학이 추구하는 지식의 확실성은 어쩌면 실현 불가능한 이상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정의로움과 공평함 같은 이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서 엿볼 수 있듯이 모든 이상엔 가치와 힘이 있습니다. 복소수함수와 선형대수를 가르치면서 저는 학생들에게 수학적 사유 과정을 강조합니다. 극한과 수렴의 의미 등을 따지며 익숙함과 앎을 구별하려 합니다. 모호하지 않은 언어를 논리적으로 구사하는 일도 중요하지요. 서로 다른 대상들이 공유하는 수학적 법칙을 눈여겨보고, 무관해 보였던 것들 사이에 성립하는 동일성을 탐구하기도 합니다. 겉으론 잘 드러나지 않는 관계를 파악해내는 게 공부의 힘이라 할 수 있지요. 이러한 ‘수학 활동’은 사실 (공학수학2의 결과물을 사용하지 않게 될) 소수를 위한 배려일 뿐만 아니라, 다수에게도 바람직한 방식이라 여깁니다. 늘 그래 왔지만, 특히 인공지능 시대엔 지식을 도구로 부리는 기술보단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과학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주가 빅뱅 이후 가속팽창해 왔다든가 공간이 굽고 빛이 휜다든가 하는 건 그냥 신기한 이야기일 뿐입니다. 과학자들이 어떻게 그런 이론을 만들어냈는지 알지 못한다면 말입니다. 우주론과 신화를 구별할 방법도 마땅치 않겠고요. 전공이든 교양이든 과정 없이 주어지는 결론은 공허합니다. 세계 그 자체보다 그런 세계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게 저는 더 놀랍습니다. 저희 학생들도 이런 경이로움을 함께 느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토요일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에서 어른이 실험실 탐험 행사를 열었습니다. 비전공자를 위한 과학활동 체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어른이’는 어린이같이 호기심이 가득한 어른들을 일컫는 표현이었지요. 참석자들은 대학의 발생학 실험실을 찾아가 초파리 이야기를 듣고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까지 해볼 수 있었습니다. 줄곧 신기한 표정을 짓던 물리학 교수는 이제 초파리의 암컷과 수컷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며 어린아이처럼 활짝 웃더군요. 한데 정작 진짜 어린아이들은 호기심을 제대로 발휘해보지 못한 채 학원으로 내몰립니다. 학생들은 별 의미 없는 암기에 귀한 시간을 빼앗기며, 결과가 과정을 압도하는 온갖 시험에 대비합니다. 교육현장의 시계는 그렇게 20세기에 멈춰서 있습니다. 개별 강의실의 변화를 넘어서는 개혁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여의치 않으면 학교 밖에서라도 대안적인 해법 찾기에 나서야 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연재세상읽기 * [세상 읽기] 다보스, 엘리트의 깊은 우려 / 이강국 * [세상 읽기] 18살 투표권, 누가 두려워하는가 / 김누리 * [세상 읽기] 반려의 권리, 홀로 내버려지지 않을 기본권 / 권명아 * [세상 읽기] 청년을 위한 기본소득 / 김현경 * [세상 읽기] 시민적 정체성과 전문가적 정체성 / 윤태웅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3025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사설] ‘김영란법’ 시행, 문화와 의식 개혁과 함께 가야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사설 [사설] ‘김영란법’ 시행, 문화와 의식 개혁과 함께 가야 등록 :2016-09-27 17:39수정 :2016-09-27 18:52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우리 사회 부패 척결의 신기원이 될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른바 ‘김영란법’)이 28일부터 시행된다. 공적 부문의 부패 방지를 위한 이 법은 적용 대상인 공직자와 언론·교육 등 공적 업무 종사자들은 물론 국민 대부분의 일상을 크게 바꿀 것으로 보인다. 관행이라며 합리화됐던 일상의 낡은 비리는 법 시행을 계기로 사라져야 한다. ‘김영란법’은 비싼 식사나 선물은 안 된다는 정도에 그치는 게 아니다. 법은 무엇보다 직무관련자 사이의 부정한 청탁을 금지한다. 공무원과 민원인, 판검사와 변호사, 교사와 학부모 등 직무 관련자 사이에선 청탁만으로 법 위반이 될 수 있다. 이들 사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교나 의례로도 인정되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아무것도 주고받지 말아야 하니 ‘3만원 이하 식사, 5만원 이하 선물, 10만원 이하 경조사비’ 기준도 해당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그랬다고 학부모가 선물을 손에 들고 학교를 찾아간다거나, 선배 법관이나 검사 출신 변호사가 사는 밥과 술을 함부로 먹다가는 주고받는 사람 모두가 처벌을 받게 된다. 대부분 대학 부속인 상급 종합병원에서 진료·수술 일정을 조정해 달라거나 입원실을 마련해달라고 부탁하는 것도 법이 금지하는 부정청탁이다. 청탁하는 사람도, 들어주는 사람도 처벌 대상이다. 그렇게 이런저런 ‘연줄’을 찾아 ‘편의’를 받는 게 과거엔 묵인됐다지만 이제는 엄하게 경계해야 할 불법이다. 일상 속에 넓고 깊게 퍼져 있던 ‘사소한’ 비리의 관행부터 없어져야 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문화와 의식도 크게 바뀌어야 한다. 법이 시행되면 공직자나 언론·교육분야 종사자는 일상의 어느 부분에서도 함부로 ‘남의 돈’을 쓸 수 없다. 그런 태도와 원칙은 다른 분야로 확산해야 한다. 접대와 대접, 안면과 인맥으로 얽혀 이를 핑계로 서로 적당히 눈감아주는 대신 ‘내 몫은 내가 낸다’는 새로운 문화가 자리를 잡으면 우리 사회도 한층 공정하고 투명해질 것이다. 청탁하거나 들어주는 것을 당연시하거나 합리화하는 풍토가 사라져야 갑질이나 편파 따위 비리도 없앨 수 있다. 걱정되는 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법을 앞세워 언론 등 국민 생활을 통제하려는 권력의 잘못된 시도도 있을 수 있고, 과도한 걱정 탓에 정상적인 소통마저 마비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 법은 우리 사회를 정화해 한 단계 성숙시킬 디딤돌이다. 제대로 시행되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이슈김영란법 * 정부, 김영란법 개정 만지작…권익위 ”개정 검토 안해” * [왜냐면] 김영란법 국정농단사태로 유명무실해지나 / 김수인 * 청탁금지법 첫 과태료, 떡값 2배 9만원 부과 * 5만원 갈비세트…다이어트한 ‘김영란법’ 설 선물 세트 등장 * 달성군체육회, 체육복 무료제공 뒤 도로 회수해 망신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3021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전북 어린이집 교사 집단 결근투쟁 선언…누리과정 예산이 쟁점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전북 어린이집 교사 집단 결근투쟁 선언…누리과정 예산이 쟁점 등록 :2016-09-27 15:24수정 :2016-09-27 20:0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전북어린이집연합회, “이달 30일까지 해결 안 되면 내달 4~7일 교사들 결근 투쟁” “교육감, 도지사, 도의장 3차 회담 가져야…어린이집 누리반도 임시휴원 예정” 김승환 전북교육감,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 이유로 교부금을 감액하면 법적 조치” 전북지역 어린이집 교사들이 누리과정(만 3~5살) 예산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집단 결근투쟁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전북어린이집연합회는 27일 “당장 김승환 전북도교육감과 송하진 전북지사, 황현 도의장이 만나 풍전등화에 놓인 보육 대란 문제를 해결하도록 3자 회담을 가져야 한다. 이달 30일까지 해결이 안 되면 교사들이 10월4일부터 7일까지 1차 집단 결근투쟁을 강행하겠다는 견해”라고 밝혔다. 연합회는 또 “교사들의 집단 결근투쟁 기간에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어린이집 누리반도 임시 휴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전북지역 어린이집은 지난달 말 현재 1570곳으로, 지난 3월 말 1620곳에서 50곳이 줄었다. 어린이집 누리 교사도 현재 1583명으로, 지난 3월 1801명에서 218명이 실직하거나 이직한 상태다. 교사들은 누리과정 운영비가 지원되지 않아 올 4월부터 9월까지 월 30만원의 처우개선비를 받지 못했다. 6개월간 1인당 180만원의 임금이 체불된 셈이다. 전북도는 지난 2월 교사수당 등 어린이집 운영비에 해당하는 47억원(1~3월분)을 지원했으나 4월부터 지급하지 못했다. 하지만 전북교육청은 “어린이집은 교육기관이 아니어서 지원 자체가 법 위반”이라는 입장이다. 김승환 교육감은 이날 “교육부가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감액 교부한다면 법적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최근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전북·경기·강원교육청에 10월로 예정된 내년도 보통교부금 교부 때 누리과정 미편성분만큼을 감액 교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교육청별로는 전북교육청 813억원, 경기교육청 5459억원, 강원교육청 528억원이다. 헌법학자 출신인 김 교육감은 “교육부의 감액 교부는 ‘업무상 횡령’으로 형사 문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조사하지 않거나 불기소할 경우, 고등법원에 재정신청까지 검토해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다른 교육청은 어린이집 운영비라도 지원할 방안을 세우는 것으로 알지만, 전북교육청은 전혀 방안을 찾지 않아 답답할 뿐”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958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학교로 출근한 대졸 미취업자들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학교로 출근한 대졸 미취업자들 등록 :2016-09-26 16:18수정 :2016-09-26 20:3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손잡고 취업절벽 청년 일시 고용 대졸 미취업자의 경제적 고통 덜고 다문화가정 자녀 등은 맞춤교육 고용기간 늘리고 학교장 재량권 늘릴 필요성도 제기돼 부산 금정구 금양초등학교 2층 귀국반에서 대졸 미취업자 한아무개(25)씨가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우리말을 가르치고 있다. 부산 금정구 금양초등학교 2층 귀국반에서 대졸 미취업자 한아무개(25)씨가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우리말을 가르치고 있다. “이어(ear). 귀” 26일 부산 금정구 금양초등학교 2층의 한 교실에서 선생님이 노란색 작은 카드에 적힌 한글을 보여주며 영어와 우리말을 섞어가며 설명하자 다문화 가정 어린이가 따라 했다. 옆에선 또 다른 선생님이 3명에게 우리말을 가르치고 있었다. 두 명의 교사 가운데 1명은 현직 교사이고 1명은 대졸 취업 준비생이다. 두 사람은 지난달 29일부터 호흡을 맞추며 주 4일 하루 3시간씩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10여명에게 우리말을 가르치고 있다. 부산에선 우리말을 알아듣지 못해 정상 수업을 받기가 힘든 다문화가정 아이들을 위해 금양초 등 5개 학교에서 우리말을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6학급을 운영하고 있는데 1학급(귀국반)의 금양초는 대졸 취업 준비생 1명을 보조교사로 활용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아이들은 1~2시간씩 우리말 수업을 받고 나면 소속 반으로 돌아가서 체육 등의 수업을 받는다. 호흡을 맞춘 지 한 달여 되어 가는 두 사람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강도윤 교사는 “우리말 구사능력의 차이가 크게 나는 10여명을 혼자 지도하기 힘든데 보조교사가 생기면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조교사 한아무개(25)씨도 “도움이 되지 못할까 봐 걱정했는데 아이들의 우리말 실력이 늘어나는 것을 보며 보람을 느낀다”고 만족해했다. 한씨와 같은 미취업 대졸자 200명이 지난달 29일부터 부산의 초등학교 170곳에 출근하고 있다. 이들의 고용주는 부산행복한학교 재단이지만 기획은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이 했다. 지난달 서류와 면접 심사를 통해 200명을 선발하고 5일 동안 40시간의 직무연수를 받게 한 뒤 보조교사를 요청한 학교에 보냈다. 국비 10억원을 지원받아 넉 달 동안 주 4일 하루 3시간씩 근무하면 70만원을 지급한다. 미취업 대졸자들은 반기고 있다. 높은 취업 경쟁을 뚫기 위해 졸업 뒤에도 공부를 계속하려면 아르바이트를 병행해야 하는데 교육 멘토가 되면 한 달 급여가 아르바이트했을 때 받는 법정 최저임금 1시간당 6030원에 견줘 갑절가량 많기 때문이다. 금융·공기업 입사를 준비하고 있는 한씨는 “집이 가까워 교통비와 식비가 들지 않는 데다 혼자 있으면 느슨해지기 쉬운데 출근을 하면서 생활리듬이 규칙적으로 변했다. 취업 때 내야 하는 자기소개서 작성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개선할 부분도 있다. 무엇보다 채용 기간이 너무 짧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졸자들의 취업준비 기간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는 것을 고려해서 최소 6개월 단위로 뽑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다. 학교 쪽은 방학이 되면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고 학교가 선호하는 교육 멘토 확보가 쉽지 않다는 것을 고려해서 교육 멘토를 교실 수업에만 국한하지 말고 행정업무 등도 보조할 수 있도록 학교장에게 재량권을 달라고 말한다. 손상희 금양초등학교 교감은 “교육 멘토를 학교에 보낼 때 전공을 고려해서 보내고 학교장이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규옥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자치단체와 교육청이 손을 잡고 미취업 대졸자를 학교에 보내는 것은 전국 처음이다.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784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철도·지하철 27일 파업…운행스케줄 확인하세요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철도·지하철 27일 파업…운행스케줄 확인하세요 등록 :2016-09-26 16:23수정 :2016-09-26 22:03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26일 오후 서울도시철도 관계자들이 파업으로 인해 변경된 시간표를 역내에 게시를 준비하고 있다. 서울시는 파업이 시작돼도 지하철 운행 시간과 출퇴근 시간대 운행 스케줄 등은 평소와 같은 수준이나 낮에는 운행을 평소의 80∼85%로 줄인다. 연합뉴스 26일 오후 서울도시철도 관계자들이 파업으로 인해 변경된 시간표를 역내에 게시를 준비하고 있다. 서울시는 파업이 시작돼도 지하철 운행 시간과 출퇴근 시간대 운행 스케줄 등은 평소와 같은 수준이나 낮에는 운행을 평소의 80∼85%로 줄인다. 연합뉴스 일방적인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는 철도노조와 서울시 지하철 노조의 파업과 관련해 코레일과 서울시 쪽이 대책을 내놨다.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는 평시에 견줘 60%선, 서울 지하철은 출퇴근 이외 시간엔 80% 수준에서 가동될 전망이다. 비상대책본부를 꾸린 코레일은 26일 열차 운행 횟수를 조정하고 대체 인력을 투입하는 것을 뼈대로 한 비상수송대책을 밝혔다. 고속열차(KTX), 수도권 전동열차, 통근열차는 정상 운행하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는 평시 대비 60%, 화물열차는 평시 대비 30%선을 유지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코레일은 파업기간 동안 필수 유지인력 8460명과 대체인력 6050명 등 모두 1만4510명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평시 근무인력 2만2494명의 64.5% 수준이다. 코레일은 파업에 대비해 대체인력 교육을 하고 화물은 지난 18일부터 필수 원자재를 미리 운송하는 화물열차 비상운행계획을 실시해 시멘트의 경우 보유분을 12일치로 늘렸다. 코레일 쪽은 “대체 인력은 열차 운행경험과 비상상황에 대처할 능력을 갖췄으며, 기관사들은 모두 기관사 면허 소유자들이다. 이들을 교육과 실무교육을 거쳐 현장에 투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27일부터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한다. 파업이 길어지더라도 출·퇴근시간(오전 7시~9시, 저녁 6~7시)의 지하철 운행을 평상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관계자는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에서 필수유지인력(지하철은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일정 이상 인력을 유지해야 하는 공익사업장)과 예비인력을 포함해 전체 75%의 인원을 확보했다”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직원 300여명도 역사에 배치해 시민 불편을 줄인다. 하지만 낮 시간대는 열차 운행을 줄여 평소의 80~85% 수준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 관련기사 * 철도·서울 지하철 22년만에 동반 파업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비상수송대책본부 회의에서 “비상수송대책을 통해 노조 파업이 있더라도 출퇴근 교통에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최우리 기자 igsong@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786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조한혜정 칼럼] 다음 침공은 어디?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칼럼 [조한혜정 칼럼] 다음 침공은 어디? 등록 :2016-09-27 17:48수정 :2016-09-27 18:5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연세대 명예교수 카드 돌려막기로 연명하는 개인, 연구 개발 대신 구조조정에 나서는 기업, 지키지도 못할 공약만 남발하는 정치인 등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 인류의 나라가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 돈을 향한 질주, 경제적 개인주의자들, 그리고 충동 인류의 지독한 근시를 어떻게 할 방법은 없을까? ‘비노동 소득’으로 위기의 중산층을 구하자는 피터 반스의 책을 자주 만지작거리게 되는 요즘이다. 연휴에 마이클 무어 감독의 신작 를 보았다. 영화는 미국 국방부 장성들이 침통하게 앉아 있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한국전쟁에서부터 베트남전쟁, 이라크전쟁 등 계속 지기만 하는 전쟁을 치르면서 진이 다 빠진 장성들이 마이클 무어에게 에스오에스(SOS)를 쳐서 도움을 청한다는 설정이다. 그들의 제안을 심사숙고한 무어는 펜타곤의 전사가 되어 잘사는 나라의 일급비밀들을 뺏어오기 위해 성조기를 들고 침공에 나선다. 그가 맨 처음 간 곳은 1년에 8주 유급 휴가와 13번째 월급을 주는 이탈리아다. 그는 그곳에서 사람은 노동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살기 위해 노동한다는 비밀을 알아낸다. 이어서 학교 급식이 3성 호텔 수준인 프랑스를 방문해서 느긋하게 즐거운 급식시간이 행복한 학교생활의 비결이라는 사실을 간파한다. 숙제가 없기 때문에 아이들이 탁월한 인재로 자랄 수 있는 핀란드, 청년을 빚쟁이로 만들지 않는 대학 무상교육의 슬로베니아, 아들을 죽인 범인이라도 사형에 처하는 것은 원치 않는 아버지와 죄수들을 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시키는 훌륭한 간수들이 사는 노르웨이, 마약을 해도 처벌하지 않는 대신 치유를 원할 때 적극 지원하는 포르투갈, 2008년 뉴욕발 금융위기에 연루되었던 금융관련자들을 모두 감옥에 보낸 아이슬란드, 조상들이 저지른 악행을 기억하게 함으로써 사람답게 사는 것을 가르치는 독일에서 그는 여전히 합리적이고 정의롭고 윤리적인 삶이 가능한 나라를 본다. 그런데 자신이 뺏어오고 싶은 것들의 대부분이 미국에서 시작되었거나 한때 있었던 것임을 알고 침통해한다. 그간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신대륙으로 이주한 미합중국 선조들이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고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권리를 신으로부터 부여받았으며 그중에는 생명과 자유와 행복 추구의 권리가 있다”는 독립선언문을 작성한 것은 1776년이었다. 그들은 일찍이 봉건적 상속법을 폐기하였고 보편공공교육을 시행했으며 시민토론을 통해 진실을 밝혀내는 배심원제를 채택했다. 그 나라가 최근 급격하게 붕괴하고 있다. 저술가 폴 로버츠는 미국은 극단적 ‘근시사회’라고 부르면서 트레이더들과 경영자들이 거품 붕괴 앞에서 자주 썼던 “IBG, YBG I’ll Be Gone, You’ll Be Gone 너도나도 이제 끝장”이라는 말로 현 미국의 상황을 표현했다. 카드 돌려막기로 연명하는 개인, 연구 개발 대신 구조조정에 나서는 기업, 지키지도 못할 공약만 남발하는 정치인 등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 인류의 나라가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북유럽은 그나마 부단히 길을 찾아갔는데 미국은 어쩌다가 이렇게 패망의 길을 가게 된 것일까? 세계 대공황과 세계 1, 2차 대전(실은 유럽 대전)을 치른 유럽은 초토화된 상태에서 성찰의 시간을 갖는다. 성찰에 성찰을 거듭하며 자본주의를 개선할 길을 모색하였다. 그런데 전후 호황을 누리던 미국은 또 다른 실험국가인 소련과 냉전 놀이에 들어갔다. 원폭과 로켓 제조 등 기술 군비 경쟁에 엄청난 돈을 들이고 우주 정복의 꿈을 꾸었다. 한나 아렌트는 “인류는 지구에 영원히 속박된 채 머물지는 않을 것이다”라는 당시 러시아 과학자의 묘비 글을 인용하면서 “하늘에 계신 아버지 신의 거부로 시작한 근대는 하늘 아래 모든 피조물의 어머니 신, 지구를 거부함으로 그 막을 내리게 되는 것인가?”라고 탄식했다. 국민보다 돈과 권력을 선택한 두 나라! 설익은 혁명으로 세워진 소비에트 공화국은 70년을 버티지 못하고 와해되었지만 미국은 멈추지 않고 달렸다. 석유 전쟁이 이어지고 수학 천재들이 만든 금융 게임은 세계 금융대란을 일으켰으며 세계 이곳저곳을 전쟁터로 만들고 있다. 어제 미국 대통령 결선 티브이 토론회가 있었다. “‘비장한’ 힐러리-트럼프 ‘지상 최대 정치쇼’ 출전 채비 마쳐”라는 문구는 군사주의 문화가 주도하는 미국의 단면을 그대로 표현해주고 있다. 사회가 엄청나게 부러졌음을 간파한 국민들에 의해 ‘돈보다 사람’을 선택하자는 샌더스 돌풍이 잠시 일었지만 결국은 게임즈맨십에 빠진 정치인들과 킹메이커들이 연출해내는 금권정치의 장으로 되돌아왔다. 돈을 향한 질주, 경제적 개인주의자들, 그리고 충동 인류의 지독한 근시를 어떻게 할 방법은 없을까? ‘비노동 소득’으로 위기의 중산층을 구하자는 피터 반스의 책을 자주 만지작거리게 되는 요즘이다. 연재조한혜정 칼럼 * [조한혜정 칼럼] 탄핵, 그 이후 * [조한혜정 칼럼] 광장에서 익어가는 시민정치 * [조한혜정 칼럼] 천천히 그리고 즐겁게! * [조한혜정 칼럼] 송복 선생님께 * [조한혜정 칼럼] 다음 침공은 어디?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3023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전교조 “분열 우려… 재편모임 활동 중단을”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전교조 “분열 우려… 재편모임 활동 중단을” 등록 :2016-09-26 19:33수정 :2016-09-26 22:15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지역별 노조, 한국 현실과 안 맞아” 타 조합 가입땐 자격상실 조항 신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교육노동운동 재편을 위한 모임’(재편모임)의 활동에 대해 “조직 내 혼란을 야기한다”며 활동을 중단하라는 권고문을 내는 등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전교조는 지난달 27일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내부 규약에 ‘타 노동조합 가입 시 조합원 자격 상실’의 내용을 담은 조항을 신설하기로 하고 70%의 찬성률로 이를 승인했다. 조합원들에게 전교조와 재편모임 중 하나만 택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전교조는 지난달 30일 논평을 내어 “2015년부터 ‘재편모임’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조직 재편 시도를 중단해줄 것을 요청해왔고, 재편모임 결성 일정이 공표된 올 7~8월에는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다”고 설명했다. 재편모임 쪽 발표에 따르면 현재 재편모임 구성원 중 70%가량이 전교조 조합원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18일 전교조는 재편모임에 전달하는 권고문을 내어 “재편모임의 활동은 현재의 전교조를 사실상 분열 내지 해체시킬 수 있는 조직에 반하는 행위”라며 “새 노조 건설 활동을 중단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전교조는 30일 논평에서 “전국 수많은 학교에 근무하는 노조 조합원의 특수성상 직접 의견수렴에 한계가 있었던 것일뿐 전교조는 타 단체에 비해 높은 민주성을 갖고 있다”며 “재편모임이 추구하는 지역별·부문별 연대 노조는 중앙정부가 교육정책을 독점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 상황과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한 “재편모임이 생각하는 새 조직 형태를 관철하고자 한다면 전교조 규약에 따라 대의원대회에서 새 규약을 통과시키는 과정을 통하면 된다. 새 노조 결성은 민주적인 방식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재편모임은 전교조가 지난달 신설한 ‘타 노동조합 가입 시 조합원 자격상실’ 내부 규약이 문제가 있다며 ‘복수노조 동시 가입,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한 공개 토론회를 열 것을 지난 7일 제안했지만, 전교조는 “공식적인 통로로 제안이 오지 않아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834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뻔한 인강 말고 내 맘대로 ‘열린 강의’ 골라 들어요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뻔한 인강 말고 내 맘대로 ‘열린 강의’ 골라 들어요 등록 :2016-09-27 09:12수정 :2016-09-27 09:1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다양해진 온라인 교육 채널 이비에스 등 입시 위주 강의 벗어나 인문학 등 온라인 교육 창구 넓어져 누구에게나 열려 있고 내용 다양해 정보 얻어 전공적합성 드러내거나 멘토 삼아 진로·삶 지도 그려보기도 김세연(여의도중 3)양은 평소 온라인 강의를 즐겨 본다. 미국에 유학 간 친구가 “학교 수업 때 선생님이 많이 보라고 추천한다”며 ‘크래시코스’를 알려줬다. 유튜브 채널 가운데 하나인 크래시코스는 현직 미국 교사가 운영하며 세계문학이나 심리학, 철학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딱딱한 강연이 아니라 애니메이션을 활용해 쉽게 설명해주니 재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된다. ‘5분 사탐’이나 ‘시간나침반’, 공부법을 다루는 방송도 김양이 챙겨 보는 유튜브 채널이다. 세계사 등 역사적 내용을 알고 공부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교과서는 연도나 사건에 치우쳐 있는데 온라인 강의는 같은 주제나 사건에 대해서도 다양한 내용을 접할 수 있다. 따로 특정 장소에 가서 돈 내고 듣는 게 아니라 내가 원하는 시간에 무료로 들을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케이무크·칸아카데미 등 활용하는 청소년들 학생들 대부분 인터넷 강의를 활용해 공부한다. 요즘에는 이비에스(EBS) 교재를 활용한 입시 위주 강의뿐 아니라 인문학이나 어학, 특정 관심 분야 등에 관한 강의를 찾아 듣는 학생들도 늘고 있다. 김양처럼 유튜브 채널뿐 아니라 ‘케이무크’나 ‘칸아카데미’ 등 온라인 강의 누리집에서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골라 듣는 식이다. 온라인 강의는 딱히 특정 계층만을 대상으로 하기보다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청소년들은 이 강의를 통해 교과서 밖의 폭넓은 지식을 접하고 관심 있는 전공 분야에 대한 정보를 얻기도 한다. 울산과학기술원 기초과정부 1학년에 재학중인 김석현씨는 테드 강연을 들으며 자신의 세부 전공 분야를 찾았다. 고등학교 때 방과후수업을 통해 테드 강연을 처음 알게 됐다. 자신이 흥미를 갖는 주제를 선택해 자료 조사를 한 뒤 발표하는 수업이었다. “자료 가운데 하나로 테드 강연 동영상을 찾아보는 과제가 있었다. 테드 누리집은 기본적으로 카테고리가 나뉘어 있어서 내가 원하는 분야를 찾기가 쉬웠고 최신 이슈를 주제로 한 강의가 대부분이라 흥미로웠다.” 김씨는 어릴 때부터 관심이 많았던 생명과학 분야 강의를 찾아봤다. 영어로 된 강연이 대부분이지만 유튜브에서 한글 자막이 지원돼 이해하는 데 큰 무리가 없었다. “생명과학 연구 분야가 다양하고 생소했는데 조직공학이나 신경과학 등 최근 주목받는 강의 내용을 접하며 내가 나중에 어떤 분야를 연구하면 좋을지 생각하게 됐다.” 온라인에서 열린 강의를 제공하는 ’케이 무크’ 누리집 갈무리. 온라인에서 열린 강의를 제공하는 ’케이 무크’ 누리집 갈무리. 그는 “이 수업을 통해 몰랐던 생명과학 분야 연구를 알게 됐고, 대학 입시 때 학생부와 자소서에 이 내용을 녹여서 적었다. 내가 공부하고 싶은 전공을 구체적으로 찾았기 때문에 지원 학과를 선택할 때 전공적합성을 잘 드러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씨가 다녔던 천안북일고는 테드 쪽의 공식 라이선스를 받아 강의 형식을 그대로 본떠 진행하는 ‘테드 엑스’를 열기도 했다. 학생들이 각자 자신이 원하는 주제를 정해 강연을 하며 지식과 경험을 함께 나누자는 열린 강의의 취지를 그대로 살린 행사였다. 당시 스태프로 참여했던 김씨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 법의학이나 심리학 등 내가 몰랐던 다양한 분야의 강연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고 했다. 오프라인 참여·댓글로 지식공유 등도 가능해 온라인 강의라고 그냥 혼자 듣고 끝나는 게 아니라 오프라인 모임을 하거나 강의를 들은 사람들끼리 정보를 나누는 이들도 있다. 좀 더 적극적으로 멘토의 강연을 검색해 듣고 책을 사거나 오프라인 강연에 직접 찾아가는 경우도 있다. 방의진(학익여고 1)양도 학교 수업을 통해 테드 강연을 알았다. “시험 끝나고 시간이 남을 때 선생님이 티브이엔의 역사 강의 프로그램이나 북한 사람이 통일 주제로 이야기한 테드 강연 등을 보여줬다.” 방양은 이전부터 강연 영상을 보는 것을 좋아했다. 특히 자기계발이나 꿈찾기 분야에 대한 책을 쓴 김수영 작가나 김미경 작가 등의 강연을 찾아봤다. 단순한 진로가 아니라 어떻게 삶을 바라보고 꾸려나갈 것인지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됐기 때문이다. 그는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강연을 다시보기로 찾아보고 마음에 드는 연사의 오프라인 강연까지 들었다. “주변에 그런 이야기를 해줄 만한 멘토를 찾을 기회가 많지 않다. 온라인 강의는 전문 직업인이나 쉽게 만나기 힘든 유명인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게 매력이다.” 온라인에서 열린 강의를 제공하는 ’칸 아카데미’(한국어) 누리집 갈무리. 온라인에서 열린 강의를 제공하는 ’칸 아카데미’(한국어) 누리집 갈무리. 대학교 2학년인 이진진씨는 한국형 온라인 강의 케이무크를 통해 지난해와 올해 손영종 교수(연세대 천문우주학과)의 ‘우주의 이해’ 수업을 들었다. 이 강연은 이씨가 다니는 대학교 강의와 달리 학점 부담이 크지 않다. 한 주제의 강의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 들으면 수료증을 받을 수 있지만 원래 잘 알고 있던 주제는 그냥 건너뛰고 원하는 강의만 선택해 들을 수도 있다. 강의를 들은 뒤에는 ‘단원 문제’나 ‘생각해보기’ 등 관련 주제에 대한 동영상 자료가 올려져 체계적인 복습도 할 수 있다. 수강생 가운데 한명이 게시판에 강의 내용에 관해 궁금한 점을 올리면 다른 수강생이 그에 대한 답변을 달면서 토론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씨는 “그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강의를 듣다 보니 원래 알고 있던 이론이나 사실에 반박을 하는 이들도 있다. 각자의 지식을 공유하며 새로운 시각을 접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온라인으로만 강의가 이뤄지지만 이 강의의 특성상 실습 차원에서 공개관측회도 진행했다. 이씨는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직접 뵙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관측회 때 교수님 책을 사 가서 사인도 받았다. 강의를 듣고 큰 천체 망원경으로 직접 별과 여러가지 천체를 관측하며 눈앞에 펼쳐진 하늘의 경이로움에 감탄했다”고 말했다. “어릴 때부터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성적이 좋지 않아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이 강연을 들으면서 신비로운 미지의 공간인 우주의 매력에 더 빠져들어 천문학과로 전과할 계획이다.” 최화진 기자 lotus57@hanedui.com ■ 학생들이 이용할 만한 누리집 공부 동기부여 돕고 공부법 알려주는 곳 많아 유튜브(www.youtube.com)에는 다양한 분야의 강연이 올라와 있다. 김세연양이 즐겨 찾는다는 유튜브 채널 ‘크래시코스’는 미국 문학 교사이자 작가인 존 그린이 동생과 운영하는 방송이다. 중요한 세계문학이나 심리학, 철학 분야 등의 내용을 애니메이션을 활용해 쉽게 설명해준다. ‘스터디코드’(Studycode), ‘김공부’, ‘공부의 신 강성태’ 등의 채널은 학생들이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동기부여와 자극을 주며 실질적인 공부법도 소개해 학습에 직접적인 도움이 된다. 지난해 10월 시범운영을 시작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케이무크’(www.kmooc.kr) 이용자 수가 점점 늘고 있다. 지금까지 약 140만명이 사이트에 방문해 12만명이 수강신청을 했으며 이 중 10대도 약 1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30여개 강좌가 열려 있으며 올해 128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최근 ‘온라인 공개강좌 안내서’도 발간했다. 부산대나 이화여대 등 일부 학교는 케이무크 강연을 수료하면 학점으로 인정해주기도 한다. 칸아카데미는 2008년 설립했으며 세계 모든 학생에게 양질의 무상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 비영리단체다. 현재 칸아카데미 한국어 누리집(ko.khanacademy.org)도 운영 중이며 주로 초·중학생을 위한 수업들이 번역돼 올라와 있다. 가입자 2900만명 중 교사 사용자가 1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테드(www.ted.com) 강연은 빌 게이츠 같은 유명인사도 강사로 나설 정도로 유명하다. 혼자 무대에 올라 프레젠테이션하듯 이야기하는 방식이다. 인기 강연을 중심으로 발표 기술을 담아낸 책()이 발간될 정도다. 초창기와 달리 짧은 동영상 등 시각 자료를 제시하는 강연도 늘고 있다. 대부분 영어로 진행해 어학 공부에도 도움이 된다. 내용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고 싶다면 유튜브 자막 서비스를 통해 한국어로 들을 수도 있다. 최화진 기자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898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서울지하철 근무인력 77% 확보…출퇴근 정상운행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서울지하철 근무인력 77% 확보…출퇴근 정상운행 등록 :2016-09-27 14:50수정 :2016-09-27 15:3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1~8호선 파업 참가율 30.5% 전체 운행은 평소 82%에 그쳐 노조 “미숙련 승무원 투입” 안전 우려 27일 오전 9시부터 서울 지하철 1~8호선이 파업을 시작했지만 출근길 교통대란은 없었다. 서울시는 낮 12시 현재 지하철 1∼8호선 근무대상자 7805명 가운데 2830명이 파업에 참가해 파업 참가율이 30.5%로 집계했다고 27일 밝혔다.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근무대상 인원 4637명 가운데 1710명이 파업에 참여해 파업참여율은 36.9%에 달했다.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근무대상 인원 3168명 중 670명이 동참해 파업참여율이 21.1%였다. 파업 기간 근무인력은 정원 대비 77.1%인 1만2094명을 확보했다. 1~8호선 전체 필수인원 5175명을 포함, 파업 미참여자 2548명, 협력업체 1092명, 퇴직자 143명 등이다. 이날 오전 서울 지하철은 출근시간대에 파업 이전에 견줘 100% 정상운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시간대인 오후 6~7시에도 평소대로 차질 없이 운행할 예정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출근시간대 수송량은 110만명으로 지난주 화요일(20일) 111만명 대비 99.2% 수준이었다. 이용객은 큰 변동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낮시간대 지하철 배차 간격이 길어져 전체 지하철 운행은 평소의 82%에 그쳤다. 1~4호선은 하루 지하철 2378회 운행에서 2073회로 305회 감축하고 5~8호선은 운행횟수를 하루 1531회에서 1218회로 313회 감축하기로 해 평소의 80%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편 서울지하철노조는 “노사합의에 따라 파업 때도 평시 대비 65.7%의 필수유지인력은 근무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메트로가 대체인력으로 이제 갓 교육을 마친 신규 기술자들을 승무원으로 투입하는 것은 시민의 안전 문제와 직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950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발언대] 전문대 수업연한 다양화 재고를 * 최성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회장·동양대 총장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2 최성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회장·동양대 총장 최성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회장·동양대 총장 최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이 '전문대 수업연한 다양화'는 정부의 국정 과제로 추진된 것으로 전문대학에 힘을 실어주는 차원이지 4년제 대학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전문대협의회에서 수업연한 다양화의 입법을 재추진하겠다는 것을 천명한 셈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명확히 이를 반대한다고 지난해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전문대교협은 전문대생 중에는 저소득층이 많아 전문대 지원(支援)을 정부의 친서민정책 차원에서 봐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하지만 전문대 수업연한의 연장은 가계 부담을 급증시킨다. 수업연한의 다양화는 일부 수도권 전문대의 재정적 안정을 위해 학생을 희생하는 것이다. 전문대 측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볼 때, 일부 학과는 2~3년으론 부족하다고 강변한다. 그렇게 따지면 수많은 4년제 대학도 수업연한을 6~7년으로 연장해야 한다고 나올 수 있다. 기술이 급변하고 다양화되면서 융합 현상이 곳곳에 나타나는데, 당연한 요구일 수도 있다. 건축학과의 경우가 그렇다. 하지만 결과는 부정적이다. 전문대의 최대 장점은 수업연한이 짧다는 것이다. 산업 현장에 투입돼 가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학습이 반드시 대학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현장을 통해 익히고 배우는 것도 많다. 미국에서도 ICT 분야에서는 대학을 마치지 않고 기업에 바로 입사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빌 게이츠가 대학을 떠난 이유도 마찬가지다. 4년제 대학교가 산업 현장의 기술 수요를 완벽하게 소화하려면 교양 교육이나 인문학 교육도 모두 포기하고 그 시간에 기술 교육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업연한을 최소 2~3년 연장하여야 한다. 고등교육기관은 각자 역할이 있고 그 역할에 맞도록 설계됐다. 전문대는 단기 전문인 양성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불황기에는 교육 소비자의 전문대 선호도가 4년제 대학보다 훨씬 더 높다. 수업연한 다양화의 대상이 되는 수도권 전문대학 수는 37개이고 관련 입학 정원을 합치면 1만295명 정도다. 그러면 입학 정원 1000명인 중형 4년제 대학이 10개 이상 수도권에 등장하게 될 것이다. 지방대와 지방전문대의 붕괴는 명백하다. 전문대의 수업연한 다양화 논의는 중지되어야 한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김영란법 시대] 대학원 논문 심사 뒤 식사는 도시락으로?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김영란법 시대] 대학원 논문 심사 뒤 식사는 도시락으로? 등록 :2016-09-27 20:40수정 :2016-09-27 21:4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김영란법 28일 시행]대학교에서 모든 대학 교수들 김영란법 대상 학생 등에게 청탁·금품 받으면 처벌 외부강의료 20~100만원으로 제한 4학년 조기취업시 학점인정은 해주기로 28일부터 시행되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약칭 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은 대학사회 문화도 상당부분 바꿀 것으로 기대된다. 모든 대학의 교수들(명예교수·초빙교수 제외)은 김영란법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국민권익위원회 설명에 따르면 대학원에서 졸업논문 지도 뒤 해당 학생이 지도교수에게 2만원의 식사를 대접하고, 2차로 2만원의 후식을 대접할 경우 지도교수는 직무관련성이 있는 이에게 합계 3만원 이상의 식사를 제공받은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 ‘금품수수 금지 조항’에 저촉돼 대접한 학생과 대접받는 교수가 모두 과태료 대상이 된다. 교수가 박사학위 논문심사 뒤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식사 대접을 받으면서 호텔에서 3만원 이상의 식사를 한 경우도 해당된다. 홍지수 서울대대학원총학생회 사무총장은 “보통 논문심사를 하면 간식이나 식사를 준비하는데 학생이 혼자 심사를 받으면 혼자 부담하고 여러명이 할 경우 N분의 1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 강의실에서 하는 교수님도 있지만, 외부 식당이나 호텔에서 하는 교수님도 있다. 학생들은 선배 등을 통해 지도교수님의 취향을 알아본 뒤, 장소를 정하고 비용을 댄다”며 “김영란법이 실시되면 강의실에서 도시락 먹으면서 하는 문화 등으로 바뀌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은 교수에게 학점을 올려달라는 청탁을 하면 안된다. 금품과 관계 없이 말로만 하는 부탁도 안된다. 교수는 요청을 그 자리에서 바로 거절해야 한다. 교수가 사정이 딱한 후배에게 다른 대학 시간강사 자리를 알아봐주고 5만원 이상의 선물을 받는 경우, 입시철 지인에게 자신이 소속된 학교의 입학 상담을 해주고 감사의 표시로 5만원 이상의 선물을 받는 경우 모두 김영란법에 저촉될 수 있다. 외부강의료는 국립대 교수는 직급별로 시간당 20~50만원, 사립대는 직급 상관없이 100만원까지만 받을 수 있다. 대학생이 4학년2학기 때 일찍 취업했을 때 수업을 일부 듣지 않아도 교수가 학점을 인정해주는 관행이 ‘부정청탁’에 해당돼 김영란법에 저촉되는지를 두고는 최근 논란이 일었다. 교육부는 26일 각 대학에 공문을 보내 대학 자율적으로 학칙을 개정해 일찍 취업한 대학생에게 학점을 인정해주는 취업특례 규정을 만들도록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권익위와 협의해 교육과정 이수 방법 중 전통적인 수업방식이 아닌 취업 특례를 인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미향 김경욱 기자 aroma@hani.co.kr 이슈김영란법 * 정부, 김영란법 개정 만지작…권익위 ”개정 검토 안해” * [왜냐면] 김영란법 국정농단사태로 유명무실해지나 / 김수인 * 청탁금지법 첫 과태료, 떡값 2배 9만원 부과 * 5만원 갈비세트…다이어트한 ‘김영란법’ 설 선물 세트 등장 * 달성군체육회, 체육복 무료제공 뒤 도로 회수해 망신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3056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김영란법 시대] “경찰은 박카스 한병도 안됩니다”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사회일반 [김영란법 시대] “경찰은 박카스 한병도 안됩니다” 등록 :2016-09-27 20:38수정 :2016-09-27 22:1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김영란법 28일 시행] 공무원 대할 때 청탁받은 공직자, 청탁한 사람 모두 처벌 건축허가 시 단순 문의는 “문제없다” “빨리 허가를 해주세요”는 부정청탁 음주운전 걸렸을 때 부탁해도 걸려 3·5·10 예외규정 있지만 경찰은 제외 교육 관련 민간단체에서 일하고 있는 김철수(가명)씨의 ‘갑’은 교육부 공무원이다. 교육부에서 사업을 따내야 하는 김씨는 공무원들을 만나 식사나 술을 사는 게 중요한 업무 중 하나였다. 그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약칭 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 시행을 하루 앞둔 27일 “3·5·10 규정(식사 3만원, 선물 5만원, 경조사비 10만원 이하는 줄 수 있다) 정도만 알고 있다”며 “솔직히 막막하다”고 말했다. 공직자를 접촉하는 일반인들이 알아야 할 핵심사항은 두 가지다. 첫째, 누구든 인허가 업무, 인사개입, 성적처리, 수사·재판 등 법이 정한 14가지 업무에 대해 공무원과 공직 유관단체 임직원에게 법을 위반하게 하거나 지위·권한을 남용하게 하면 ‘부정청탁’이라는 것이다. 예컨대 건축 인허가 담당 공무원에게 증축허가를 문의하는 것은 괜찮지만, 증축허가를 받을 수 없는데도 “받도록 도와달라”거나 “빨리 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하면 부정청탁으로 처벌 대상이 된다. 이럴 경우 말로만 해도 처벌받는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판사 등 법관이나 검사에게 선고 내용을 미리 알려달라거나, 압수수색 대상에서 자택을 빼달라거나, 수배자가 특정 시점까지 검거를 미뤄달라는 등의 요청도 모두 부정청탁이다. 다만 민간인과 변호사가 준비서면이나 탄원서 등 법에 보장된 절차에 따라 자신의 주장을 밝히거나 법정 기한 안에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해 달라고 하는 것 등은 해당하지 않는다. 또 음주운전 단속에 걸린 사람이 경찰인 친척이나 친구에게 연락해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사건을 ‘잘 봐달라’고 부탁하면 역시 부정청탁이다. 부정청탁을 한 사람은 과태료에, 이를 들어준 공직자는 2년 이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둘째, 공직자 등은 금품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인데 이는 달리 말하면 공직자 등에게 금품을 주어선 안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공직자뿐 아니라 금품을 제공한 일반인도 똑같이 형사처벌이나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다. 일단 1회에 100만원(연간 300만원)을 초과한 금품이나 향응 제공은 직무관련성이 있든 없든 모두 안된다. 직무관련성이 있을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도 금지되는데, 다만 원활한 직무수행·사교·의례 등의 목적이 인정될 경우 예외적으로 ‘3·5·10’ 한도 내에서 줄 수 있다는 규정이 있다. 그런데 직접적인 직무관련성이 있는 관계는 이런 예외도 인정이 안된다. 예를 들어 경찰은 수사 관련자와 직접적인 직무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박카스 한박스 같은 작은 선물이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모두 금지된다. 이창곤 김민경 김지훈 기자 goni@hani.co.kr 이슈김영란법 * 정부, 김영란법 개정 만지작…권익위 ”개정 검토 안해” * [왜냐면] 김영란법 국정농단사태로 유명무실해지나 / 김수인 * 청탁금지법 첫 과태료, 떡값 2배 9만원 부과 * 5만원 갈비세트…다이어트한 ‘김영란법’ 설 선물 세트 등장 * 달성군체육회, 체육복 무료제공 뒤 도로 회수해 망신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3055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영란법 시대] 선생님 만날 때 커피 한 잔도 사가면 안됩니다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김영란법 시대] 선생님 만날 때 커피 한 잔도 사가면 안됩니다 등록 :2016-09-27 20:35수정 :2016-09-27 21:4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김영란법 28일 시행] 선생님 만날 때 교사들 3·5·10 예외규정 적용 안 돼 아무것도 주고받지 않는 것이 원칙 유치원·어린이집 교사도 마찬가지 28일 시행되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약칭 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이 영향을 미칠 우리 사회 여러 현장 가운데 보통 사람들이 가장 피부에 와 닿는 곳은 학교일 것이다. 실제 법 적용 대상 기관 가운데 학교가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데다, 많은 이들이 학부모로서 교사들을 접할 경우가 최소한 한두번씩은 있기 때문이다. 김영란법은 대가성이 없더라도 교사들에게 음식을 대접하거나 작은 선물을 주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에 학부모와 교사 관계에서도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김영란법에 따르면 교사에게 성적처리 등에 관한 부정청탁을 하면 안 된다. 또한 선물, 식사 대접 등을 포함해 일절 금품을 제공하면 안 된다. 학부모와 교사 양쪽이 모두 처벌받는다. 김영란법에는 원활한 직무수행 또는 사교, 의례, 부조 등의 목적으로 제공하는 선물, 음식물, 경조사비 등은 일정 액수(식사 3만원, 선물 5만원, 경조사비 10만원) 안에서 허용한다는 이른바 ‘3·5·10 규정‘이 있다. 하지만 이 규정은 교사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교사는 학생의 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교 등 목적보다는 학부모와 직접적인 직무 관련성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부모가 상담을 위해 담임 교사를 만난 자리에 음료수나 쿠키 등을 사 가거나, 운동회나 현장 체험학습 때 교사에게 김밥을 주는 행위, 모바일 커피 상품권을 보내는 것 등이 모두 처벌 대상이다. 학부모들이 또 하나 유의해야 할 점은 초·중·고 교사뿐만 아니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교사도 법 적용 대상에 포함된다는 사실이다. 국립, 공립, 사립 등 운영주체의 성격과 상관없이 모두 해당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사립 어린이집도 정부의 ‘누리과정’ (만 3~5세 유아 대상 공통 교육·보육과정) 업무를 위탁받은 것으로 보고, 법 적용 대상에 포함시켰다. 교사뿐 아니라 학교 영양사와 행정직원, 유치원 운전기사 등 학교와 직접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람이라면 모두 김영란법 적용대상이다. 그러나 건물관리를 하는 경비나 환경미화 또는 시설관리 담당자, 학교와 위탁계약을 맺고 방과 후 과정을 맡고 있는 담당자는 적용 대상이 아니다. 학부모와 교사들은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다. 중학교 1학년생을 둔 학부모 이아무개(41)씨는 “최근 아이 학교에서 ’선물을 일절 받지 않는다‘는 내용의 가정통신문도 왔다. 이제 빈손으로 선생님을 만날 수 있게 돼 심적인 부담이 줄었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교사인 이아무개(38)씨는 “그동안 선물을 받지 않는다고 통지문을 보내도 일부 학부모들께서 선물 등을 건네는 경우가 있어 마음 상하지 않게 거절하는 게 힘들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김경욱 김미향 황보연 기자 dash@hani.co.kr 이슈김영란법 * 정부, 김영란법 개정 만지작…권익위 ”개정 검토 안해” * [왜냐면] 김영란법 국정농단사태로 유명무실해지나 / 김수인 * 청탁금지법 첫 과태료, 떡값 2배 9만원 부과 * 5만원 갈비세트…다이어트한 ‘김영란법’ 설 선물 세트 등장 * 달성군체육회, 체육복 무료제공 뒤 도로 회수해 망신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3054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여성임원 30% 할당제 도입이 목표입니다”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경제직장·창업·취업 “여성임원 30% 할당제 도입이 목표입니다” 등록 :2016-09-27 19:16수정 :2016-09-27 21:5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세계여성이사협회(WCD) 한국지부 공동대표 손병옥 회장·한경희 대표 왼쪽부터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52) 대표, 푸르덴셜생명 손병옥(64) 회장 왼쪽부터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52) 대표, 푸르덴셜생명 손병옥(64) 회장 “공기업과 상장회사 이사회 내 여성 임원 비율을 3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최근 출범한 세계여성이사협회(WCD) 한국지부의 설립을 주도한 푸르덴셜생명 손병옥(64) 회장과 ‘한경희생활과학’ 한경희(52) 대표를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의 케이비즈(K-BIZ) 라운지에서 만났다. 세계여성이사협회에는 70여개 나라 1만여개 기업의 고위 관리직 여성 3500여명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손 회장과 한 대표는 이 단체 한국지부의 초대 공동대표를 맡았다. “오이시디(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한국만 지부가 없었어요. 우리보다 경제 수준이 낮은 몽골과 나이지리아에도 있고, 일본도 3년 전에 생겼는데…. 오이시디 국가 중 마지막으로 한국에 지부가 설립됐습니다.” 손 대표의 설명이다. “2015년 기준으로 오이시디 회원국 평균 이사회 내 여성 비율이 18.5%인 데 견줘 한국은 2.1%밖에 안 된다”, “등기임원은 말할 것도 없고 여성 임원도 많지 않은 한국 기업의 환경을 변화시켜보자는 취지에서 한국지부를 설립하게 됐다”고 한 대표도 거들었다. 2000년 회사를 창업해 성공시킨 한 대표는 여성들이 특유의 섬세함과 꼼꼼함, 도덕성으로 회사에서 큰 활약을 하는 것을 체험했기에 이번 한국지부 설립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됐다고 했다. “세계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비정부기구 ‘캐털리스트’가 2004년부터 연구해온 자료를 보면, 여성 임원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경영 성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어요.” 체이스맨해튼은행·홍콩상하이은행 등을 거쳐 푸르덴셜생명 사장·회장에까지 오르며 30년 이상 외국계 금융회사에서 일해온 손 회장은 “한국 여성들의 업무 역량이 뛰어난데도 직장·사회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며 안타까워 했다. “흔히 남성 경영자들이 여성을 고위직에 발탁하려고 해도 인물이 없다고 하는데, 여성들이 네트워크 활동을 많이 하지 않다 보니 잘 드러나지 않아서 그런 것뿐이에요.” 한국지부는 능력 있는 여성들이 기업이나 공직 등 다양한 분야의 고위직으로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여성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직장여성들에게 고위직까지 오르려는 동기를 부여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두 대표는 “2003년 노르웨이가 세계 최초로 도입한 이후 2010년 프랑스, 2011년 이탈리아, 2012년 네덜란드가 잇따라 ‘여성 임원 할당제’를 도입한 뒤 해당국의 여성 임원 비율이 20~30%로 확대됐다”며 “한국도 여성 임원 할당제가 도입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글 윤영미 선임기자 youngmi@hani.co.kr,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economy&kisano=763044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퇴행하는 한국사회가 ‘함석헌 사상’ 다시 읽어야 할 이유”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문화책과 생각 “퇴행하는 한국사회가 ‘함석헌 사상’ 다시 읽어야 할 이유” 등록 :2016-09-27 19:14수정 :2016-09-27 21:55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함석헌 선집 3권’ 발간기념 간담회 김민웅·김영호·이만열·윤영천 교수 “과학·영성 통합해낸 실천적 지성”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함석헌 선집> 발간 기념 간담회. 왼쪽부터 김민웅, 김영호, 이만열, 윤영천 교수.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발간 기념 간담회. 왼쪽부터 김민웅, 김영호, 이만열, 윤영천 교수. “왜 새삼 함석헌을 다시 읽어야 하는가. 그 이유는 오늘날 세계와 우리 사회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와 맞닿아 있다. 단정하기는 힘들지만 장래가 불투명하고 비관적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 이미 함석헌은 서구가 주도한 물질문명이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고 경고했다. 새로운 탈출구를 찾지 못하면 문명의 종말은 막을 수 없다. 그의 경고 이후 한 세대가 지나가도록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더 나빠졌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김제태(목사) 이만열(숙명여대 명예교수) 신대식(목사) 김영호(인하대 명예교수) 윤영천(인하대 명예교수) 이재봉(원광대 교수)김민웅(경희대 교수) 등 함석헌학회 회원들로 꾸려진 편집위원회가 엮은 (한길사 펴냄) 세 권이 출간됐다. 각기 ‘씨알의 소리’ ‘들사람 얼’ ‘인간혁명’을 제목으로 단 세 권은 기획 20돌을 맞은 한길사의 고전 시리즈 ‘그레이트 북스’의 제148~150권으로 등재됐다. “함석헌 사상은 현대의 고전”이란 얘기다. 각권 신국판에 700쪽이 넘는 두툼한 분량이다.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선집 발간 기념 간담회에서 김민웅 교수는 “왜 지금 다시 함석헌인가?”라고 자문하고 자답했다. “함 선생님이 활동하신 그 시대와 지금의 현실이 크게 다르지 않다. 함 선생님의 글에서는 ‘아, 바로 이거다’ 하고 (해법을) 짚어낼 실천적 포인트들이 있다.” 이어 김 교수는 늘 본질적 혁신, 영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특성이 언제나 본질적 문제를 천착한 함석헌 사상과 상통한다며, “함석헌은 읽힐 것”이라고 했다. “과학과 영성을 통합적으로 사유하는 세계적인 새로운 흐름이 우리 사회 밑바닥에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흡수되기 시작했다. 함석헌 사상이야말로 거기에 능히 조응할 수 있다. 함석헌은 전혀 낡지 않았다.” 김언호 한길사 대표는 “한길사 창립 40돌에 맞춰 함석헌 사상을 새롭게 읽고 평가하는 작업을 해왔다”며 “젊은이들에게 함석헌 사상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한길사는 1980년대에 20권짜리 함석헌 전집, 2000년대 들어서 30권짜리 저작집을 냈으나 절판이나 “그밖의 사정”으로 최근 5년 남짓 사이 함석헌 저술은 서점에서 사라졌다. 편집위원회는 그 때문에 독자들과 연구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함석헌 저술에 노출되지 않은 새 세대에게 정보가 단절된 점 등을 이 선집 발간 이유로 들었다. 얼마 전 (전 3권·한길사)를 낸 김영호 교수(함석헌학회 회장)는 켄 윌버나 테야르 드 샤르댕과 같은 서구의 통합적 사유의 선구자들보다 훨씬 앞서 그것을 고민했던 함석헌 사상의 선진성과 진보성, 탁월성을 강조하면서 한길사에서 기왕에 낸 전집과 저작집은 너무 방대해 ‘코끼리 더듬기식 읽기’가 되기 쉬웠다고 지적했다. 함께 자리한 이만열 교수는 “함석헌은 우리로부터 출발해 세계의 모든 것을 아우른, 처음으로 나와 세계를 융합한 사람이다. 향후 우리가 어디를 지향해야 할 것인지 함석헌을 참고할 수 있다”면서 이번 선집이 “함석헌 사상의 에센스를 모아 묶은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했다.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읽게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윤영천 교수는 요즘 한국 정치·사회의 난맥상을 지적하면서 “함석헌 글은 아주 오래전에 쓴 것들도 현재적 의미로 빛을 발한다”고 했다. “이명박 정권, 박근혜 정권의 심각한 퇴행을 보면 과연 이게 제대로 된 나라인지 정부인지 모르겠다. 함 선생이 이런 상황에 처한다면 어떤 글을 쓰실지 궁금하다. 그를 뛰어넘는 실천적 지성이 없다.” 선집 발간사에는 이런 현실인식과 지향점이 압축적으로 담겨 있다. “한국은 동서의 전통과 이념이 그 장점보다 단점이 더 부각된 채 섞인, 즉 함석헌의 표현으로 세계의 쓰레기통이자 시궁창이 되었다. 그 결과 지금 한국사회는 각종 모순과 비리로 가득찬 집단으로 내려앉았다. 자유와 평등, 개인주의가 수반하는 인권과 공공정신 등 서구가 확보한 가치는 이 땅에서 사라지고 있다. 모든 공공재가 급속히 사유화·사물화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그 과정이 정치, 경제는 물론이고 교육, 언론뿐만 아니라 재물의 청지기(기독교), 무소유(불교, 힌두교)의 덕성을 가르쳐야 하는 종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더 이상 공동체, 민주공화국이라 할 수 있는지 묻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일찍이 함석헌은 근본적인 전환과 혁명을 외치고 새 나라, 새 윤리, 새 종교, 새 교육을 설계했으나 우리 사회는 그에게 귀 기울이지 않았다.” 선집을 분야별로 갈라 편집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사상적으로 의미가 깊은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나, 독창적인 사유와 발상의 전환을 꾀했나, 사회개혁의 원리와 방법을 논했나, 역사적인 사실을 새롭게 밝혔나, 감성과 영감을 일으켰나, 생애의 전환점을 기술했나 등이다. 글·사진 한승동 선임기자 sdhan@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culture&kisano=763043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우리 학교에는 ‘학생 저자’ 배출하는 동아리가 있다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우리 학교에는 ‘학생 저자’ 배출하는 동아리가 있다 등록 :2016-09-26 21:41수정 :2016-09-27 14:1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함께하는 교육] ‘학종’ 인기로 교내 동아리 활동도 주목 동아리 단위, 실제 출판 사례도 등장 토론·집필·퇴고 등 완결된 글쓰기 경험 국어 등 성적 오르고, 입시준비도 쉬워져 부산 광명고 인문학 동아리 ‘광명희망’ 학생들이 자신들이 쓴 책 <고교생 이솝우화를 다시 보다>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부산 광명고 제공 부산 광명고 인문학 동아리 ‘광명희망’ 학생들이 자신들이 쓴 책 를 들고 포즈를 취했다. 부산 광명고 제공 “책 쓰기는 하나의 장기 프로젝트죠. 힘든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마무리해본 경험은 다른 것에서도 마무리 지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줘요. 한 번이라도 무언가를 열정적으로 해본 경험은 다른 활동을 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올해 서울대 통계학과에 입학한 장형우씨의 말이다. 장씨는 고등학교 때 교내 동아리 활동을 통해 2권의 책을 낸 학생 저자이다. 대입 학생부종합전형과 고입 자기주도학습전형의 영향으로 교내 동아리 활동이 주목받고 있다. 몇몇 교육특구에서 연구 활동을 정리한 개별 출판이 붐을 이룬 적은 있지만, 최근에는 교내 동아리 차원에서 교육부나 학교 지원을 받아 실제 출판(서점에서 판매가 가능한 책)까지 하는 양상이다. 학생들이 안 그래도 벅찬 동아리 활동에 전문 작가들도 힘들어한다는 책쓰기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 ‘책 쓰기’ 목적으로 동아리 꾸리다 책쓰기 동아리의 가장 큰 조력자는 지도교사다. 최종결과물이 나올 때까지 아이들을 독려하고 힘든 탈고와 최종 출판까지 3~4개월 동안 교정교열 과정을 총괄하는 것도 모두 이들의 몫이다. 책쓰기 동아리는 크게 처음부터 책을 쓰기 위해 만들어진 동아리와 인문학 동아리나 독서토론 동아리로 시작해 책 쓰기까지 확대된 동아리로 나눠볼 수 있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대부분이다. 부산 광명고 인문학 동아리 ‘광명희망’은 전자에 속한다. 지도교사인 최선길 교사는 “퇴직을 10년 남기고 1년에 한 권씩 아이들에게 총 10권의 선물을 남겨주기 위해서 동아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전에 , 를 출간하며 겪은 시행착오를 통해 탄생한 책이 다. 이 책으로 2015년 교육부 학생 책쓰기 동아리 중 우수 동아리에 뽑혀 정식 출판까지 하게 됐다. 이 책은 를 정치, 경제, 교육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한 글을 담고 있다. 무뚝뚝한 남고생들을 데리고 글을 쓰게 하는 일이 쉽지는 않았다. 처음부터 무작정 글을 쓰는 게 아니라 먼저 를 2화씩 나눠 담당을 정해 읽게 했다. 최 교사는 “이솝우화는 분량이 짧아 접근이 쉽고, 읽는 이마다 느끼는 교훈이 다 다르다. 각각의 분량을 정해주면 아이들이 맡은 우화를 여러 번 반복해 읽고, 깊게 생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책을 읽은 뒤에는 토론이 이어졌다. 담당교사는 개입을 최대한 자제하고, 동아리장 주도로 대립식 토론이 아닌 하브루타(유대인들의 질문 대화로 이루어진 토론법), 액션러닝 기법(팀을 구성해 각자 자신의 과제나 팀 전체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는 문제 해결 과정) 등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서로의 입장을 받아들이게 했다. 매주 토요일 오전 9시부터 3시간씩, 각자 담당한 부분을 먼저 발표한 뒤에 동아리 구성원 전체가 참여하는 토론회가 열렸다. 동아리장인 2학년 고윤재군은 “경제에 관심 있어 우화 ‘갈까마귀와 비둘기들’을 ‘경제학 독점’에 비유해 해석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1학년이라 경제 과목을 안 배웠는데, 2학년 선배들의 조언이 도움됐어요. 30명의 시각으로 내 글을 파악할 수 있어 내용이 더 풍부해졌습니다. 책과 논문을 찾아보며 사례를 추가하고 토론을 통해 글을 다듬었어요.” 글은 A4 2장 분량으로 시작해 한 우화당 4~5장이 될 때까지 사례와 그래프 등 자료를 덧붙여나갔다. 동래여중 동아리 ‘귀를 기울이면’ 학생들. 부산 동래여중 제공 동래여중 동아리 ‘귀를 기울이면’ 학생들. 부산 동래여중 제공 ■ 인문학 동아리가 학생저자 낳기도 동래여중 인문학 동아리 ‘귀를 기울이면’은 김성현 지도교사가 교내 인문학 강의를 다른 이들에게도 알리고자 2012년부터 시작한 작업이, 아이들 주도의 인문학적 활동을 담은 책 쓰기로 확대된 경우다. 고등학교와 달리 중학교 인문학 동아리는 학생 모집이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김 교사는 “아이들이 좀더 쉽고 재밌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일상을 여행하는 느낌으로 1년을 살아보자’며 활동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지역 공정여행가 ‘만효’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여행의 의미를 생각하는 ’지도만들기 워크숍’부터 진행했다. 여행에 대한 호기심이 생길 때쯤 등 관련 책들을 읽고 저자와의 만남, 여행 주제 인문학 특강으로 생각을 확장할 수 있게 도왔다. 분위기가 무르익을 때 아이들에게 여행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체험할 기회를 줬다. 학생들은 학교 안 역사적 건물과 부산의 숨겨진 명소를 찾으며 느낀 점을 각자 글로 정리해 카페에 올렸다. 쓴 글을 놓고 토론하고, 고치기를 반복하며 아이들이 손수 삽화와 사진 작업도 병행했다. 이렇게 탄생한 책 으로 지난해 책쓰기 우수 동아리로 선정됐다. 교육청과 연계된 출판사와 계약할 수도 있었지만 아이들의 작업물을 최대한 살리고픈 마음에 담당교사는 직접 발품을 팔아 지역 1인 출판디자이너를 섭외했다. 김 교사는 “돌아보면 교사나 아이들이나 서로 신나서 하지 않으면 도저히 못 했을 일”이라고 했다. 동아리장인 3학년 차수연양은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여행, 말하고 글 쓰는 것에 대한 편견이 많이 깨졌다”며 “글은 딱딱하고 어른들이 써야 멋져 보인다 생각했는데, 나와 친구들이 자신의 느낌을 자연스럽게 쓴 글이 어른들이 쓴 글에 비해 읽기 편하고 친근해 이해와 공감이 더 잘됐다”고 했다. ■ 성적 향상, 자소서·면접에도 도움 줘 동아리 활동은 입시에서 자주 활용되는 단골 소재. 하지만 책쓰기 동아리는 좀 특별하다. 학생들은 “동아리 특징상 심층독서 뒤 토론→자료탐색→글쓰기에 열중할 수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성적도 오르고, 자소서·면접 등에도 도움을 받게 됐다”고 입을 모았다. 고군 역시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실제 모의고사 성적도 오른 경우다. 1학년 때 국어영역이 4등급이었는데, 동아리 활동을 하며 지금은 1등급이 됐다. 사탐도 마찬가지다. 책을 쓰기 위해 관심 분야를 찾아보고 공부했던 게, 과제 연구에서도 빛을 발해 관련 교내대회에서도 은상을 탔다. 고군은 “동아리 친구들이 각종 교내대회 수상 명단에 항상 껴 있는 걸 보면, 동아리에서 했던 활동들이 공부나 입시와 다 연관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장씨도 “고3 1학기까지 동아리 활동을 해서 부담은 됐지만, 상대적으로 그만큼 수시 서류 작성할 때 시간이 많이 줄었다”며 “두 번의 책쓰기 과정과 동아리 독서토론활동으로 서울대 자소서 3번 인성항목과 4번 독서항목 작성이 상대적으로 수월했다”고 했다. 서류기반 면접에서도 “자신의 전공 관련 활동이 주류를 이루는 이과 학생들의 특성상 인문학 독서토론동아리와 책을 쓴 이력은 특이한 편이라 면접관들이 그걸 많이 물었다”며 “인문학 책과 사회풍자 소설들을 읽으며 전공(통계)에 대해 고민했던 흔적이 나만의 차별화가 됐다”고 말했다. 이은애 기자 dmsdo@hanedui.com 책쓰기 동아리 지원사업 2014년부터 시작된 교육부 전국 학생 독서·책쓰기 동아리는 국가시책사업인 독서교육 진흥사업의 하나로 매년 연초에 신청을 받아 선정한다. 첫해 212팀(2560명), 2015년 211팀(2845명), 올해는 142팀(1680명)이 선정되어 진행 중이다. 선정되면 동아리 운영비를 지원받을 수 있고, 작년부터는 선정된 동아리 가운데 추천된 25팀의 우수 동아리에 300만원가량의 출판비를 추가로 지원했다. 올해도 20팀가량 지원할 예정이다.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861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영국 왕세손 부부, 캐나다 난민보호 센터 방문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국제유럽 영국 왕세손 부부, 캐나다 난민보호 센터 방문 등록 :2016-09-27 09:45수정 :2016-09-27 09:5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난민들 “난민 보호를 위해 힘써달라” 25일 캐나다 벤쿠버에 자리한 난민 보호 센터를 방문한 영국 왕세손 부부가 관계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밴쿠버/AFP 연합뉴스 25일 캐나다 벤쿠버에 자리한 난민 보호 센터를 방문한 영국 왕세손 부부가 관계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밴쿠버/AFP 연합뉴스 캐나다를 방문중인 영국의 윌리엄 왕세손과 케이트 왕세손비가 캐나다의 난민 보호 센터를 방문해 시리아 난민들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난민들은 영국 왕세손 부부가 난민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윌리엄 왕세손 부부는 25일(현지시각)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함께 벤쿠버에 자리한 난민 보호 센터를 찾았다. 비영리 기구가 운영하는 이 난민 센터는 주로 중동 출신의 난민들에게 무료 영어 교육을 제공하며, 취업 서비스와 임시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다. 25일 캐나다 벤쿠버에 자리한 난민 보호 센터에서 난민 어린이가 케이트 미들턴 왕세손비에게 꽃다발을 전하고 있다. 밴쿠버/AFP 연합뉴스 25일 캐나다 벤쿠버에 자리한 난민 보호 센터에서 난민 어린이가 케이트 미들턴 왕세손비에게 꽃다발을 전하고 있다. 밴쿠버/AFP 연합뉴스 영국 왕세손 부부는 이 곳에서 지난 8월 어린 두 딸과 함께 캐나다에 도착한 알라 마하미드(36), 요스라 마하미드(34) 부부를 만났다. 마하미드 부부는 시리아 출신인데, 전쟁과 가난을 피해 요르단으로 떠났다가 지난해부터 캐나다가 3만여명의 시리아 난민들을 받아들이면서 캐나다로 오게 됐다. 아직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요스라는 통역을 통해 “캐나다에서는 안전함을 느낀다. 훨씬 안전하다”고 전했다. 알라 역시 “영향력이 있는 왕세손 커플이 난민들을 도울 수 있도록 세계 지도자들을 설득할 수 있으면 좋겠다”며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전해달라”고 전했다. 24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빅토리아공항에 도착한 영국 왕세손비 가족이 비행기에서 내려오고 있다. 빅토리아/AFP 연합뉴스 24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빅토리아공항에 도착한 영국 왕세손비 가족이 비행기에서 내려오고 있다. 빅토리아/AFP 연합뉴스 윌리엄 왕세손 부부는 지난 24일 캐나다에 도착했으며 조지 왕자와 샬럿 공주도 동행했다. 왕세손 부부의 영국 방문을 두고 시리아를 떠나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티마 쿠르디는 와의 인터뷰를 통해 “왕세손이 영국에 돌아가서도 난민들을 위한 활동을 이어나갔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쿠르디는 세 살배기 시리아 난민인 아일란 쿠르디의 이모다. 아일란 쿠르디는 지난해 9월 유럽으로 향하다 터키 보드룸 해변에서 주검으로 떠밀려온 사진이 공개된 뒤 전 세계적인 추모 여론이 인 바 있다. 캐나다는 지난 2월부터 4개월간 약 2만5000여명의 난민을 받아들였다. 같은 기간 영국이 1600여명의 난민을 받아들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영국은 오는 2020년까지 2만여명의 난민을 받아들이겠다고 발표한 바 있지만, 독일이나 캐나다에 비해 난민 수용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 국제사회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international&kisano=762901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정세균 “정상적인 국감 위해 일정 2~3일 연기하자”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정치일반 정세균 “정상적인 국감 위해 일정 2~3일 연기하자” 등록 :2016-09-26 10:49수정 :2016-09-27 11:3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일정 조정 여부 주목 새누리당의 사퇴 요구로 정치적 압박을 받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26일 오전 국회 본청 의장실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의 사퇴 요구로 정치적 압박을 받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26일 오전 국회 본청 의장실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회의장이 국정감사 일정을 2~3일 늦추자고 제안했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에 반발해 의사일정을 거부하고 있는 새누리당을 설득해 정상 국감을 치르려면 일정기간 냉각기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정 의장은 26일 오전 의장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와 만나 “반쪽 국감을 그냥 진행하는 것보다 국감을 2~3일 연기하는 게 좋겠다. 국회를 정상화할 의무는 나한테 있다”는 취지로 일정 연기에 동의해줄 것을 설득했다고 한다. 우 원내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에서 국감을 진행하기로 결론 내린 상황이어서 일정 연기는 어렵다며 난색을 표한 반면, 박 원내대표는 “정 의장 제안에 일리가 있으니 소속 의원들을 설득해보겠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의 요청에 따라 “야당 단독으로라도 국감을 진행하겠다”고 했던 야당도 고민에 빠졌다. 국민의당 소속인 유성엽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은 “일정 조정은 좋은 반응”이라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고, 장병완 산업통상자원위원장은 오전에 시작했던 국감을 일단 중지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712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울산 조선산업 퇴직자 재취업 도와드려요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울산 조선산업 퇴직자 재취업 도와드려요 등록 :2016-09-21 11:46수정 :2016-09-21 20:3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울산시, 연말까지 11억여원 들여 조선 분야 종사자 재취업 지원 취업자문, 재취업박람회, 석유화학 플랜트 업종전환 교육 등 울산시가 지역 조선산업 퇴직자를 위한 재취업 지원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울산시는 조선산업 퇴직자의 재취업과 생계안정을 위해 다음달부터 올 연말까지 11억6000만원을 들여 조선 분야 종사자 기술고도화와 재취업 지원사업을 펴기로 하고, 21일 교육생 모집공고를 냈다. 이 사업은 취업 자문·지원과 지역 유망업종 이직교육으로 나뉜다. 취업 자문·지원 사업은 조선업 퇴직자의 재취업을 위해 취업전략 수립, 구직기술·채용정보 제공, 취업 알선 등을 선착순 50명에게 지원한다. 또 퇴직자 생계 지원을 위한 재무상태 진단과 재무계획 수립 자문도 선착순 75명에게 지원한다. 이와 함께 시는 ‘조선업 재취업박람회’를 열어 구인기업과 구직자를 연결해 주기로 했다. 지역 유망업종 이직교육은 조선업 핵심 기술인력의 국외유출을 막고 유사한 직종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사업이다. 특히 울산시는 해양플랜트 분야 경력 10년 이상의 조선업 퇴직자에게 석유화학업종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석유화학 플랜트 설계와 공정관리 전문기술 교육을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은 울산대와 울산종합비즈니스센터에서 △석유화학 플랜트 설계·시공관리 200명 △발전소 플랜트 설계·시공관리 120명 △플랜트 공정관리 80명 △플랜트 정보통신기술(ICT) 설비보전 80명 등을 대상으로 한다. 교육을 원하는 조선업 퇴직자는 울산산학융합원 누리집(ulsan-uic.kr) 또는 전화(052-259-1950)로 신청하면 된다. 김석겸 울산시 산업진흥과장은 “어려움에 부닥친 조선업 퇴직자들의 재취업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울산산학융합원과 조선업 희망센터가 협력해 퇴직자 480명에게 교육 등을 지원할 것이다. 전문 인력 역외유출을 막아 앞으로 울산 조선해양산업의 새로운 도약에도 대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009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배심원도 ‘김영란법’ 대상…법관·변호사도 직무 연관성 있어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사회일반 배심원도 ‘김영란법’ 대상…법관·변호사도 직무 연관성 있어 등록 :2016-09-27 12:04수정 :2016-09-27 13:4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법원행정처, 법관 대상 설명자료 배포 판결선고 미리 알려달라면 ‘부정청탁’ 담당 사건 안 맡은 변호사도 직무 연관성 있어 법원행정처가 전국 법관을 대상으로 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설명자료를 내부 전산망에 게시했다. 금품을 받지 않더라도 재판 관련한 부정청탁이 금지되고, 담당 사건을 맡지 않은 변호사와도 직무 연관성이 인정된다. 27일 법원행정처 윤리감사관실의 ‘청탁금지법 Q&A’를 보면 법관과 관련된 청탁금지법상 부정청탁은 ‘사건의 재판·심판·결정·조정·중재·화해 또는 이에 준하는 업무를 법령을 위반해 처리하는 행위’다. 형법과 변호사법 등이 부정한 청탁 대가로 금품을 받은 경우를 규제하는 것과 달리 청탁금지법은 부정청탁 자체가 문제가 된다. 법원행정처는 법원 업무와 관련된 부정청탁 사례로 △판결선고 전 합의 내용을 미리 알려달라는 부탁 △벌금형이 없는 범죄에 벌금형을 선고해 달라는 부탁 △협의이혼 신청당사자가 배우자에게 협의이혼 의사가 없음에도 판사에게 협의이혼 의사를 확인해달라는 부탁 등을 제시했다. 다만 벌금형 선고가 불가능한 사건에 벌금형을 선고해 달라고 대법원 누리집에 청원하거나 준비서면·탄원서에 적은 경우는 예외다. 법원 징계를 감면할 이유가 없는데도 감면해달라고 하거나 법원장에게 근무평정을 올려달라는 부탁도 부정청탁에 포함된다. 특히 법원행정처는 법관과 변호사, 법무사 등과의 직무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인정했다. 담당 사건을 맡은 변호사가 아니더라도 변호사는 언제든 직무관련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식사비를 각자 부담할 것을 권고했다. 변호사와의 더치페이가 어렵다 해도 식사 한도는 3만원을 넘지 못한다. 법관과 변호사가 돌아가면서 식사비 등을 계산해도 그 한도가 3만원을 넘거나 1회 100만원 이상의 금품을 받으면 청탁금지법에 위반된다. 또 법원행정처는 동료 법관은 직무관련자가 아니지만 법원장과 소속 법관은 직무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법원장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소속 법관을 지휘하고 감독할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법원장이 소속 법관에게 식사 등을 제공해도 괜찮지만 반대로 소속 법관이 법원장에게 청탁금지법이 규정한 한도를 넘어서는 식사나 금품을 제공하면 법 위반 사항이다. 합의부 재판장과 배석판사는 직무 관련성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법원행정처는 재판장이 배석판사에게서 금품 등을 받지 않는 등 신중하게 접근하라고 밝히고 있다. 다만 재판장 입장에서 재판부 참여관, 실무관, 속기사는 직무관련자로 판단했다. 한편 법원 업무와 관련해 청탁금지법 적용을 받는 대상은 법관 외에도 국민참여재판 배심원, 민사 조정위원, 감정인, 집행관, 소년보호처분 위탁기관이 포함됐다. 지난 23일 법원 내부 전산망에 청탁금지법 설명자료 등을 게시한 법원행정처는 앞으로 전국 법원을 찾아 이 내용을 교육할 예정이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이슈김영란법 * 정부, 김영란법 개정 만지작…권익위 ”개정 검토 안해” * [왜냐면] 김영란법 국정농단사태로 유명무실해지나 / 김수인 * 청탁금지법 첫 과태료, 떡값 2배 9만원 부과 * 5만원 갈비세트…다이어트한 ‘김영란법’ 설 선물 세트 등장 * 달성군체육회, 체육복 무료제공 뒤 도로 회수해 망신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934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맞춤 학제 제공·동아리 지원… 학교가 길잡이 역할 하죠" * 김세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교육 전문가가 알려주는 영미권 대입 전략 "세계적 명문대 입학을 위해선 학교의 역할이 정말 큽니다. 학생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것부터 그들의 재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까지 모두 학교가 해야 할 일입니다." 대입(大入) 분야에서 전문가 중 전문가로 불리는 샌드라 코마스(Sandra Comas) EF국제사립학교 미국 뉴욕 캠퍼스 부교장이 무엇보다 강조하는 것은 학교의 역할이다. 공교육을 통해 어린 학생들의 숨은 능력을 찾아내고 발달시킴으로써 대입 성공은 물론, 더 나아가 세계 시민으로서의 삶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코마스 부교장의 생각이다. 그는 예일대에서 학사·석사·박사를, 스탠퍼드대에서 석사를 마쳤다. 지난해 EF국제사립학교로 오기 전엔 교수·입학사정관·교사·컨설턴트 등 다양한 교육 관계자로 근무했다. 오는 29일 한국을 방문하는 그와 이메일(e-mail)을 통해 미리 얘기를 나눴다. 샌드라 코마스(왼쪽) EF국제사립학교 뉴욕 캠퍼스 부교장은 “우수한 교과·비교과 커리큘럼과 완벽한 대입 전략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의 장을 열어주는 것을 교육 철학으로 삼고 있다”고 했다. 샌드라 코마스(왼쪽) EF국제사립학교 뉴욕 캠퍼스 부교장은 “우수한 교과·비교과 커리큘럼과 완벽한 대입 전략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의 장을 열어주는 것을 교육 철학으로 삼고 있다”고 했다./EF국제사립학교 제공 ◇IB 디플로마, 대학이 주목하는 학제 스웨덴 글로벌 교육 기업 EF가 운영하는 EF국제사립학교는 해를 거듭할수록 대입 실적이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다. 특히 뉴욕 캠퍼스는 올해 코넬대·유펜·카네기멜런대·UCL(영국)·홍콩과기대·ANU(호주) 등 내로라하는 대학 합격생을 대거 배출했다. 대학 합격률을 좌우하는 요소는 다양하다. 코마스 부교장에 따르면 학생이 중·고교 시절 이수한 학업 프로그램도 그중 하나다. 흔히 AP(대학 과목 선이수제) 이수 과목 수 등이 꼽힌다. 최근 주목받는 것은 국제 공통 고교 과정인 IB 디플로마(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프로그램이다. 코마스 부교장은 "IB 디플로마는 일반 고교 과정보다 자기주도적이며 도전적인 과제를 다룬다"며 "세계 2000여 개 명문대가 신입생 선발 시 IB 디플로마 이수 여부를 반영한다"고 했다. 많은 학업량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완수해낸 학생들이 대학에서 수업을 받을 만한 능력을 갖췄음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는 "실제로 EF국제사립학교에서도 IB 디플로마를 이수한 학생들이 매년 다수 명문대에 합격하고 있다"고 했다. EF국제사립학교 재학생들은 11학년 때 IB 디플로마와 A레벨(A-Level·영국 대학 입학 준비 과정)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골라 2년간 이수한다. 코마스 부교장은 "보통 여러 과목에 흥미를 가진 학생은 IB 디플로마를, 소수 과목을 더 깊이 배우려는 학생은 A레벨을 택한다"며 "자신에게 꼭 맞는 프로그램으로 깊이 있는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외 뉴욕 캠퍼스는 대입을 위해 SAT·ACT·TOEFL·IELTS 등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정규 수업도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대입 전문 상담팀 '필수' 코마스 부교장은 뉴욕 캠퍼스에 방과 후 프로그램이 활성화돼 있다는 점도 대입 결과 향상의 비결로 본다. 해외 명문대는 교과 못지않게 비교과활동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현재 뉴욕 캠퍼스에는 로봇·자전거·수학·과학·크로스컨트리·농구·치어리딩·골프·테니스·모의 UN·토론· 트랙·봉사·미술·체스 등 60개가 넘는 동아리와 스포츠클럽이 있다. 학생들의 취미가 점점 다양해지는 데다 일정한 조건만 갖추면 클럽을 개설할 수 있어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클럽 관리만 전담하는 교사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학생들에게 금전적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코마스 부교장은 "영미권 대입에서는 방과 후 어떤 활동을 어떻게 했는지에 따라 입시 결과가 뒤바뀌기도 한다"며 "이 때문에 학교 측은 동아리, 스포츠, 장·단기 현장 학습을 다각도로 보조한다"고 했다. 코마스 부교장은 대입에 영향을 미친 요소로 선진적인 교육 환경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70여 개국 학생(한국인 비율 5%)이 모인 곳에서 글로벌한 사고와 시각을 기를 수 있고 네트워크(동문)를 넓히며 추가적인 언어 습득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석사 이상 학위를 갖춘 교사 1명이 7명의 학생을 맡아 섬세하게 교육하고 대입 지도만 전담하는 전문 상담팀을 둔 것도 이 학교의 자랑이다. "학교 안에서는 맞춤형 커리큘럼으로 교과 교육과 시험 준비를 철저히 하고, 학교 밖에서는 흥미를 북돋아 다양한 일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입시 성과는 그 과정에서 나온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EF국제사립학교, 입학 설명회 EF국제사립학교가 영미권 보딩스쿨에 관심 있는 13~18세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2017년 1·9월 신입생 모집을 위한 입학 설명회를 서울과 제주에서 각각 연다. 예일대·스탠퍼드대 출신으로 하버드대 등에서 교수직을 지낸 샌드라 코마스 EF국제사립학교 부교장이 ‘영미권의 중·고교 교육법’과 ‘세계 명문대 입학을 위한 전략’을 들려준다. 최근 2년간 성적표와 여권 사본을 지참하면 효율적인 상담이 가능하다. ●일시: ▲제주_ 9월 30일(금) 오전 11시 ▲서울_ 10월 1일(토) 오후 2시 ●장소: ▲제주_ 신라스테이호텔 3층 미팅룸 ▲서울_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3층 포시시아홀 ●신청·문의: 010-4109-5171(문자 예약 시 학생 이름 기재)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이토를 떨게 한, 전덕기 목사와 청년들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칼럼 이토를 떨게 한, 전덕기 목사와 청년들 등록 :2016-09-27 17:07수정 :2016-09-27 19:5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곽병찬의 향원익청 이토에게 상동청년회는 ‘턱밑의 폭발물’과도 같았다. 이토가 심혈을 기울인 을사5조약 체결에 대해 장안에서 내놓고 반대운동을 했던 게 바로 그들이었다. 청년회는 체결 추진 때부터 상동교회에서 매일 구국기도회를 열어 여론을 환기했고, 정순만과 이희간은 외부대신 박제순의 집에 침입해 칼을 들이대며 결사반대를 압박했다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포로된 자에게 해방을! 억눌린 자에게 자유를! 고통받는 자에게 평안을!’ 전덕기가 스크랜턴에게 이어받은 복음의 사명이었다. 그것이 하나님의 공의라고 믿었다. 백범은 그런 그를 두고 이렇게 회고했다. “철저한 실천 신앙과 철저한 애국심을 강조했으며, 과제를 앞에 두고는 결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림 속 태극기 모양이 현재와 일부 다른 부분은 독립운동 당시의 태극기를 참조하였습니다. 1906년 여름, 서울 남창동 1번지 상동교회 담임목사 윌리엄 스크랜턴은 메리만 해리스 감독에게 이끌려 필동의 이토 히로부미 통감 관저로 갔다. 해리스는 미국 감리교 선교회의 한국과 일본 책임자로, 일제가 조선을 병탄한 것을 두고 ‘하느님의 축복’이라고 떠벌리던 지독한 친일파였다. 이토는 해리스를 시켜 스크랜턴을 불러온 것이었다. 이토는 이렇게 스크랜턴을 추궁했다. “상동교회 (엡윗) 청년회는 무슨 목적으로 결성됐나?” “선교 목적이다.” “3천~4천명이나 된다는데 모두가 신도인가.” “아닌 사람도 있다.” “사업 목적과 다른데 신자가 아닌 사람을 내보낼 수 없는가.” 이토의 요구는 청년회를 해산하라는 것이었다. 이토에게 상동청년회는 ‘턱밑의 폭발물’과도 같았다. 이토가 심혈을 기울인 을사5조약 체결에 대해 장안에서 내놓고 반대운동을 했던 게 바로 그들이었다. 청년회는 체결 추진 때부터 상동교회에서 매일 구국기도회를 열어 여론을 환기했고, 정순만과 이희간은 외부대신 박제순의 집에 침입해 칼을 들이대며 결사반대를 압박했다. 조약 체결 후엔 엡윗 청년회 전국연합회 회장 전덕기는 총회를 소집해 덕수궁 대한문 앞 ‘도끼 상소’와 종로에서의 대중집회를 결의했다. 이와는 별도로 을사오적 처단을 위해 평안도 장사들로 암살단을 조직했다. 당시 청년회 황해도 책임자가 김구였다. 결국 상동청년회는 11월 해산됐다. 스크랜턴은 이듬해 미국의 선교본부에 해리스의 교체를 건의했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선교사는 물론 목사직도 사임했다. 대신 전덕기를 상동교회 담임목사로 추천했다. 전덕기는 담임을 맡고 나자 더 큰 일을 벌였다. 청년회 열성 회원이었던 최남선은 훗날 이렇게 회고했다. “상동교회 뒷방에는 전 목사를 중심으로 이회영, 이상설, 이준, 이갑, 이승훈 등 지사들이 무시로 모여 국사를 모책하였는데, 그 방은 이준 열사의 헤이그 밀사 사건의 온상이었다.” 헐버트 선교사는 전덕기에게 1907년 6~7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열린다는 소식을 전했다. 전덕기는 이회영 등과 협의해 특사 파견을 상소하기로 했고, 처 이종누이인 김 상궁을 통해 고종에게 상소문을 전했다. 고종의 신임장은 헐버트를 통해 전덕기에게 전해졌다. 3인의 밀사 가운데 정사 이상설과 부사 이준은 청년회 회원이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여비를 마련해 건네준 정순만은 청년회 서기였고, 미국에서 통역사를 헤이그로 보낸 박용만은 부회장이었다. 상동청년회는 해산됐지만, 상동교회에는 청년학원이 있었다. 1904년 청년회가 세운 학교였다. 당시 다른 학교들은 대개 초등학교 과정이거나 일어나 영어, 측량기술 등만 가르치는 특수교육기관이었다. 그러나 상동학원은 처음부터 3년제 중등과정으로 출범했다. 교사도 각 분야 전문가들이었다. 국문학자 주시경이 국어, 동경물리학교 출신의 류일선이 수학, 스크랜턴 목사의 모친 메리 스크랜턴이 영어, 헐버트와 이동녕이 세계사와 국사, 김진호가 한문을 맡았다. 한국군 부교였던 이필주는 교련을 가르쳤다. 학생들은 목총을 메고 군가를 부르며 구보나 행진을 했고, 이는 일제에 대한 무언의 시위였다. 1907년에는 수업연한을 4년제로 하고 천문, 기하, 대수, 화학, 생물학, 경제학, 윤리학, 법학 등을 포함시켜 전문 지식인 양성에 주력했다. 전덕기는 성경 과목을 가르쳤다. 이승만이 잠깐 원장을 맡았고 애국지사 이회영, 남궁억, 조성환, 최남선, 장도빈, 노병선, 이중화 등도 학감 혹은 교사로 참여했다. 부설 야학도 설립해 일하는 이들도 배울 수 있도록 했다. 배화학교 교사였던 남궁억, 배재학당 부교장이었던 강매, 언론인 장지연 등 당대의 명사들이 교사였다. 청년학원은 이밖에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지 를 발간하고, 수학 전문지 도 냈다. 주시경 책임 아래 하기 국어강습회도 개설했다. 이들 교사진은 머잖아 구국운동과 독립운동의 거대한 뿌리 신민회 결성의 주춧돌이 되었다. 신민회는 1907년 4월 양기탁을 총감독, 이동녕을 총서기로 하여 출범했다. 안창호가 미국에서 귀국하고 불과 2개월 만이었다. 발족을 위한 논의와 준비는 1906년초 이미 시작되었다. 전덕기를 도와 청년회와 학원을 이끌던 김진호는 이렇게 전한다. “상동청년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에 잠깐 예배와 기도를 드리고 시사논평이 있었는데 … 청년회의 간부 몇 사람이 상동교회 지하실에서 따로 모여 결사구국을 목적하고 회를 조직하니 곧 신민회였다.” 발기인 7인 가운데 양기탁과 안창호를 제외한 전덕기, 이갑, 유동열, 이동휘, 이동녕 등은 청년회 회원이었다. ‘따로 모여 논의한 사람’ 중엔 이회영, 이승훈이 포함돼 있었다. 전덕기는 신민회의 재무와 서울 총감을 맡았다. 재무는 궂은일이었다. 신뢰가 없이는 맡을 수도 맡길 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런 일을 전덕기는 독립협회 시절부터 담당했다. 한번은 고종 황제가 청년학원을 위해 종로의 단성사 건물을 하사하려 했다. 전덕기는 관의 개입을 우려해 사양했다. 송병준이 사람을 시켜 거액을 희사할 뜻을 전해왔을 때도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하지만 필요할 때면 그의 숙부 소유의 가옥까지 저당 잡히기도 했다. 일제는 전덕기의 ‘암약’을 눈치채고는 있었지만, 함부로 다룰 수 없었다. 상동교회는 정동교회와 함께 미국 감리교 선교회의 중심 교회였다. 이토가 안중근 의사의 총탄에 절명했을 때에도 배후 세력으로 전덕기와 이른바 ‘상동파’를 지목할 정도로 위험시했지만, 억지로 조작까지 할 순 없었다. 1910년 말 안명근 군자금 모금 사건(안악사건)으로 신민회 조직이 드러났다. 기회만 엿보던 일제는 1911년 ‘데라우치 총독 암살음모 사건’을 조작해 양기탁, 이승훈, 윤치호, 유동열, 안태국 등 신민회 회원 및 애국지사 600여명을 검거하고 122명을 기소했다. 1심 재판부는 105명에게 유죄판결을 했다. 이른바 ‘105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1913년 7월 대구복심법원은 105명 가운데 99명을 무죄로 석방했다. 조작이었음을 재판부는 인정한 것이었다. 전덕기도 체포했지만, 처벌할 순 없었다. 다른 사람처럼 혐의를 조작해 처벌했다가는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었다. 전덕기는 3개월여 만에 풀려났지만, 그때 당한 고초로 지병인 폐결핵이 악화됐고, 3년 뒤 세상을 뜨게 된 원인이 됐다.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포로된 자에게 해방을! 억눌린 자에게 자유를! 고통받는 자에게 평안을!’ 전덕기가 스크랜턴에게 이어받은 복음의 사명이었다. 그것이 하나님의 공의라고 믿었다. 백범은 그런 그를 두고 이렇게 회고했다. “철저한 실천 신앙과 철저한 애국심을 강조했으며, 과제를 앞에 두고는 결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는 전도에 나서는 후배 목사들에게 ‘나막신과 마른 쑥, 의지(약식 관)’를 상비하라고 충고했다. 당시 빈민가였던 회현동 남·북창동 일대엔 전염병 등으로 죽어 아무도 거두지 않는 주검이 곳곳에 있었다. 그는 이런 주검을 거두어 장례를 치러주곤 했는데, 그럴 때면 부패한 시체에서 흘러나온 체액 때문에 나막신을 신고 방 안에 들어가야 했고, 악취를 막기 위해 마른 쑥으로 코를 막아야 했으며, 의지에 시체를 담아 장례를 치러야 했다. 총독부 기관지 1914년 3월23일치는 놀랍게도 그의 부음을 알렸다. “슬프다, 오늘날 세상을 떠난 전덕기씨여…”로 시작되는 기사는 비록 1단이었지만 23줄이나 되는 장문이었다. 총독부 기관지조차 외면할 수 없는 죽음이었던 것이다. 장례식에는 애국지사는 물론 가난한 사람, 병든 사람, 장사꾼, 천민, 창기들까지 몰려와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그는 경기도 고양군 두모면 수철리 묘지에 묻혔다. 하지만 일제는 그에게 유택도 허락하지 않았다. 이장을 강요해 그의 유해는 화장돼 한강에 뿌려졌다. 착잡하게도 일제말 교단 지도부는 천황에게 교회를 봉헌했고,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그를 외면했다. 전덕기와 상동파 청년들이 실천한 공의는 상동교회 박물관에 흔적으로 조금 남아 있다. 곽병찬 대기자 chankb@hani.co.kr 연재곽병찬의 향원익청 * [곽병찬의 향원익청] 벼슬? 코 묻은 떡이나 다투라는 건가! * [곽병찬의 향원익청] “젊은 그대여, 한반도를 짊어지고 달려라” * [곽병찬의 향원익청] 방배추, ‘주먹은 통쾌했고 구라는 시원했다’ * [곽병찬의 향원익청] 여자 동학농민군 ‘거괴’ 이소사의 꿈 * [곽병찬의 향원익청] 영원한 활화산, 4월의 제단 순례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3006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그리스 일부 학부모들 “난민 자녀 학교 입학 안돼”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국제아시아·태평양 그리스 일부 학부모들 “난민 자녀 학교 입학 안돼” 등록 :2016-09-26 16:25수정 :2016-09-26 23:0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전염병 감염 우려 있고 문화적 차이 커” 주장 지난해 9월 터키에서 소형보트를 타고 그리스의 레스보스섬에 도착하는 시리아 난민들. 그리스 정부는 난민 자녀들의 공립학교 입학을 허가했으나 지역민들 일부는 반발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해 9월 터키에서 소형보트를 타고 그리스의 레스보스섬에 도착하는 시리아 난민들. 그리스 정부는 난민 자녀들의 공립학교 입학을 허가했으나 지역민들 일부는 반발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 2월 시리아에서 그리스로 온 난민인 9살 소녀 마리야는 북서부 오라이오카스트로의 버려진 담배 공장에 임시로 만든 캠프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리스 보건 당국이 캠프 폐쇄를 요청했을 만큼 캠프의 위생 상태는 좋지 않다. 마리야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공부를 하고 싶어한다. 그리스 정부가 난민 자녀들에 대해 공립학교에 다니는 것을 허가해 공부를 할 길도 열렸다. 하지만 일부 그리스 학부모들은 “난민 자녀들이 전염병을 옮길 수 있고, 그리스인들과 문화적 차이가 크다”며 난민 자녀 그리스 학교 입학에 반대하고 있다고 가 25일 보도했다. 마리야는 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자신이 입고 있는 지저분한 옷과 맨발을 가리키며 “(그리스인들이) 이런 나를 학교에 들어가도록 해줄까요?”라고 되물었다고 는 전했다. 지난주 그리스 서부 필리피아다 학부모 단체는 지역 당국과 교육부에 난민 아동들이 그리스 아이들과 섞여 교육받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이들은 “우리는 어떤 조건에서도 이른바 비정상적 이민자들의 자녀들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들(난민 자녀들)은 (우리와) 완전히 다른 질병과 건강 상태로 다른 대륙에서 왔다. 우리는 종교적 광신을 허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라이오카스트로도 지역민들의 난민 자녀 학교 입학에 부정적인 곳 중 하나다. 이달 초 오라이오카스트로 학교 2곳의 학부모 단체는 난민 자녀들의 입학이 허가되면 학교 운동장을 점거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오라이오카스트로 학부모 단체를 인종차별적 공격을 한 혐의로 기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오라이오카스트로 시장인 아스테리오스 가보치스는 오라이오카스트로시에 너무 많은 난민이 있다고 호소했다. 시 인구는 3만명에 불과한데 난민 수는 그리스 전체 난민 6만명의 10%인 6000명이라고 전했다. 오라이오카스트로의 그리스 학부모인 아스테리오스 바토스는 “우리는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다. (난민 자녀 학교 입학을 위한) 제대로 된 선행 조처가 있는지를 걱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운동장 점거 계획에 반대했던 학부모인 카테리나 카라니콜라우는 “2월부터 이도메니에서 제노포비아(외국인혐오증)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international&kisano=762789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여당 유례없는 국감 거부…야 “미르·K 의혹 덮으려하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여당 유례없는 국감 거부…야 “미르·K 의혹 덮으려하나” 등록 :2016-09-26 22:51수정 :2016-09-27 11:4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국감 첫날부터 곳곳서 파행- 새누리당 129명 중 3명만 국정감사 출석 청와대 관련 의혹 산적한 상황 야 “국감을 볼모로 잡아” 성토 26일 집권여당 초유의 국정감사 거부가 현실화하며 이날 예정돼 있던 12개 국회 상임위원회의 대정부 국정감사가 곳곳에서 파행을 빚었다. 새누리당이 상임위원장을 맡은 국방위, 안전행정위, 정무위, 법제사법위,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5곳의 국감은 아예 열리지도 못했다. 이날 국감장에 모습을 드러낸 새누리당 의원은 전체 129명 중 외교통일위·환경노동위·보건복지위 간사 3명에 불과했다. 모두 야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상임위들로, 여당 간사들이 최소한의 ‘견제’를 위해 참석한 것이다. 이들 세 상임위를 비롯해 교육문화체육관광, 국토교통, 산업통상자원,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등 야당이 위원장인 상임위의 국감은 ‘반쪽’으로 진행됐다. 교문위의 교육부 국정감사에는 국민의당 유성엽 위원장이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부총리가)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참석하라고 얘기할 수는 없겠죠? 역할을 해주시면 금상첨화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일부 상임위에선 여당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야당 의원들의 질의 시간과 질문 문항 수를 갑작스레 크게 늘려, 야당 의원과 보좌진들이 애를 먹기도 했다. 가뜩이나 수세적일 수밖에 없는 국감에서 여당의 방어 없이 야당 쪽 공격만 받게 된 관련 부처 장차관들도 피곤한 기색을 보였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가 비상사태’ 발언이 무색하게, 국방부 국감에서는 장관과 장군들이 여당 의원들을 기다리며 시간을 보내야 했다. 새누리당은 국감 거부로 강경한 태세를 유지했으나, 마음이 편치 않아 보인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국감 거부 책임론’에 대해 “국감이 아니더라도 민생이나 안보 등 챙길 수 있는 것들을 잘 챙겨나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국감 파행 장기화에 대한 부담이 크다. 당장 미르·케이(K)스포츠재단 비리 의혹을 추궁할 국감이 줄줄이 파행하거나 미뤄진 것을 두고 비판이 쏟아진다. 27일에는 여당이 상임위원장(조경태 의원)을 맡은 기획재정위 국감 개최 여부가 불투명하다. 미르·케이스포츠재단 비리 의혹과 관련해 대기업으로부터 수백억원을 끌어모은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담당 부처인 기획재정부가 국감 대상이다. 또 교문위(전경련 및 최순실씨), 운영위(최순실씨 및 우병우 민정수석), 법사위(이석수 전 특별감찰관) 국감도 파행이 불가피하다. 새누리당으로서는 파행이 장기화할수록 권력형 비리 의혹에 대한 관심을 여야 정쟁에 대한 피로감으로 바꿔놓을 수 있다. 한 비박계 인사는 “당 대표는 청와대 의중을 실천하는 데 충실하다. 격렬히 저항하면 욕은 좀 먹겠지만 야당도 국민의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을 거란 판단을 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종대 정의당 원내대변인은 “국감을 파행으로 몰고 가려는 새누리당의 행태는 미르·케이스포츠재단, 최순실씨 등 청와대 관련 비리 의혹을 덮으려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안행위 야당 위원들은 국감이 무산된 뒤 따로 기자회견을 열어 “청와대에 충성하려고 국정감사를 볼모로 단식을 하는 이정현 대표의 행태에 슬픔을 느낀다”고 했다. 김남일 박승헌 송경화 기자 namfic@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882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정치 걷어찬 집권여당 대표의 단식 농성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정치 걷어찬 집권여당 대표의 단식 농성 등록 :2016-09-26 19:29수정 :2016-09-27 11:3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안보·민생 외치더니 국감 거부 여당 위원장 상임위 아예 안열려 이정현 대표 “정세균 의장 사퇴” 단식 ‘최순실 게이트’ 규명 원천봉쇄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와 관련해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간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26일 오후 국회 대표실에서 의원들의 지지방문을 받고 정진석 원내대표, 정갑윤 의원과 함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와 관련해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간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26일 오후 국회 대표실에서 의원들의 지지방문을 받고 정진석 원내대표, 정갑윤 의원과 함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시작된 26일, 평소 “안보·경제 위기”와 “민생”을 외치던 여당 의원들은 국회와 정부세종청사, 정부서울청사, 대법원, 국방부 등에 마련된 국감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북한 핵실험 등 안보 현안을 다룰 국방위, 지진 대책 등을 다룰 안전행정위를 비롯해 법제사법·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정무위는 아예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 모두 새누리당이 위원장을 맡은 상임위들이다. 이들 국감장에서 야당 의원들은 오후 3시까지 멀뚱하니 앉아 있다가 “새누리당은 당장 국감장으로 나올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흩어졌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위원장을 맡은 외교통일·교육문화체육관광·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산업통상자원·국토교통위는 야당 의원들만 참석한 채 ‘반쪽’으로 진행됐다. 그 시간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감장 대신 국회에 모여 ‘무한 투쟁’을 결의했다. 새누리당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통과를 문제 삼아, 당 최고위원회의를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 관철 비상대책위원회’로 바꿨다. 이정현 대표는 집권당 대표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이날 오후부터 정 의장 사퇴 요구를 내걸고 국회 집무실에서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김무성 전 대표와 원유철 전 원내대표 등 의원들은 릴레이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야당이 써온 수단인 ‘장외 투쟁’을 집권여당이 시작한 것이다. 안보·경제 위기라며 야당에 국정 협조를 요구해온 새누리당은 대화나 타협을 통한 해법 모색은 팽개친 채 정국을 극한 대결로 몰아넣고 있다. 집권여당으로서 ‘정치’를 포기한 모습이다. 전날 김 장관 해임건의안을 수용할 수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박근혜 대통령의 강경 기조에 맞춰가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의 이런 강경 투쟁은 야당이 통과시킨 김 장관 해임건의안을 무력화하고, 내년 대선을 앞두고 ‘야당 출신 국회의장’과 ‘다수 야당’에 밀리지 않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동시에,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과 최순실씨, 미르·케이(K)스포츠재단 의혹 등을 국감을 통해 규명하는 작업에도 힘을 빼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대야 투쟁’을 강화하는 사이, 오히려 야당과 정세균 의장이 여당을 달래며 국회 정상화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정 의장은 이날 오전 더민주와 국민의당에 국감을 2~3일 연기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더민주는 일단 국감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감은 민생을 돌보고 정부 실정을 견제하는 국회의 권능”이라며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 해결이 대단히 중요한 만큼, 해임건의안 후속조치는 후속조치대로, 국감은 국감대로 분리해서 의연하게 대처하는 집권여당의 모습을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페이스북에 “갈등을 만들어가는 새누리당 대표의 단식농성은 구정치 중 구정치다. 여당이 이렇게 하면 (갈등을) 풀어갈 명분이 없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832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우상호 “정세균이 중립성 위반? 턱도 없는 소리”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bar_title.jpg] 정치정치BAR 우상호 “정세균이 중립성 위반? 턱도 없는 소리” 등록 :2016-09-26 10:16수정 :2016-09-26 10:3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해임건의안-청문회 조정 역할해온 건 정진석도 잘 알아”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23일 저녁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를 앞두고 열린 교육 사회 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을 위해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저녁식사 시간을 주어야 한다며 발언대를 점거한 채 정세균 의장에게 정회를 요구하자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내려가서 이야기하자며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23일 저녁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를 앞두고 열린 교육 사회 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을 위해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저녁식사 시간을 주어야 한다며 발언대를 점거한 채 정세균 의장에게 정회를 요구하자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내려가서 이야기하자며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의사진행을 하며 어버이연합 청문회와 세월호 특별조사위 기간 연장을 언급한 정세균 국회의장의 발언을 중립성 위반이 아닌 ‘조정자 역할의 증거’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세균 의장은 지난 24일 새벽 김재수 장관의 해임건의안을 통과시키면서 “(야당에서) 세월호 아니면 어버이연합 둘 중에 하나를 내놓으라고 하는데, (새누리당이) 안 내놔. 그러니까 그냥 맨입으로는 안 되는 거지, 뭐”라고 발언한 것이 국회 홈페이지 영상회의록에 녹음된 형태로 공개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우 원내대표는 26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이번에 미국 방문했을 때, 또 얼마 전 여야 원내대표를 의장이 불러서 (정세균 의장이) ‘그거 해임건의안 꼭 해야 돼?’ 저한테 그러셨다”며 “저는 ‘해야 됩니다. 우리 당 의총 결정사항입니다’라고 말하니 ‘아유, 이거 시끄러워질 텐데 세월호나 어버이연합 같은 거 하나 받고 협치를 좀 하지’ 저한테 그렇게 말씀하신 적이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의 ‘맨입 발언’은 “조정을 해보려고 했던 것으로 세상이 다 아는 일”이라는 것이다. 우 원내대표는 “저는 해임건의안을 처음부터 세월호나 어버이연합하고 교환할 생각이 원래 없었다. 그런데 박지원 원내대표께서 그런 제안을 하셨고 또 정세균 의장도 이왕이면 너무 극한적인 대결하지 말고 서로 대화를 해 봐라, 권유하신 내용이 있다”며 “그건 정진석 대표도 잘 아실 거다. 세월호나 어버이연합이 야당이 받고 여당이 불리한 해임건의안을 하지 않도록 권유하신 것은 오히려 조정자 역할을 하신 거지 그게 중립을 위반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는 ‘세월호 특조위 기간 연장과 어버이연합 청문회를 관철시키려 흠결도 없는 김재수 장관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는 새누리당 주장에 대해 “턱도 없는 소리”라고 일축하며 “애꿎은 국회의장 갖고 그렇게 괴롭혀서 뭐 바뀌는 게 있겠나.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 반기문 쪽 “박연차 23만달러 의혹, 유령이 등장하는 소설” 반기문 쪽 “박연차 23만달러 의혹, 유령이 등장하는 소설” *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 ‘반반 기문’ 동행취재한 “나쁜 놈들”의 풀스토리 ‘반반 기문’ 동행취재한 “나쁜 놈들”의 풀스토리 * 반기문 ‘훈계’에 “대통령 하려고 파리 놀러가는 사람 없어요” 반기문 ‘훈계’에 “대통령 하려고 파리 놀러가는 사람 없어요” * 정두언 “‘반기문 종쳤다’는 말, 반 캠프분들도 공감” 정두언 “‘반기문 종쳤다’는 말, 반 캠프분들도 공감”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707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율곡의 이름으로’ 파주-강릉시 손잡는다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율곡의 이름으로’ 파주-강릉시 손잡는다 등록 :2016-09-23 16:00수정 :2016-09-23 17:0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다음달 8일 율곡문화제때 ‘본향-외가’ 자매결연 파주시, 율곡 소재 콘텐츠 개발 브랜드화 나서 율곡 이이 초상화 율곡 이이 초상화 조선 시대 대표적인 학자로 꼽히는 율곡 이이(李珥·1536∼1584) 선생의 본향인 경기도 파주시와, 율곡 선생의 외가(출생지)인 강원도 강릉시가 상생협력에 나선다. 파주시는 율곡 선생을 소재로 한 문화, 관광, 교육 부문 콘텐츠 개발을 통해 브랜드화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로 하고, 율곡문화제 개막일인 다음달 8일 강릉시와 자매결연을 맺는다고 23일 밝혔다. 두 지자체는 율곡과 어머니인 신사임당을 연계해 정기적인 학술대회와 문화 교류, 관광상품 개발·홍보 등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이어갈 방침이다. 율곡선생은 1536년 외가인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나 6살때 본향인 파주로 옮겨와 자랐으며 8살때 임진강변 정자인 화석정에서 시를 남기기도 했다. 파주 법원읍에는 율곡 선생 부부와 어머니(신사임당), 아버지(이원수), 형, 아들 등 가족묘 11기와 율곡 선생의 위패·영정이 봉안돼 있는 자운서원(사적 525호) 등 유적이 산재해있다. 파주시는 율곡 선생의 생가 복원에 나서는 한편, 율곡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관광체험 상품 개발, ‘공부의 신’ 청년 율곡 이이 따라잡기, 신사임당의 율곡 교육방법 재현 등 콘텐츠 개발을 추진한다. 또 율곡 이이 캐릭터와 스토리텔링, 기념품, 이모티콘 개발에 나선다. 교육 부문에서는 율곡 학당과 율곡 평생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율곡 발자취 국토순례 대장정, 율곡·신사임당 재조명 청소년 토론대회, 초중고 자유학기제를 연계한 율곡 이이 인성교육 프로그램 등을 추진한다. 한편, 율곡 이이의 유덕을 기리는 제29회 율곡문화제가 다음달 8∼9일 파주시 법원읍과 파평면 일대 율곡 선생 유적지에서 열린다. 율곡문화제는 8일 ‘구도장원공’ 율곡 선생의 과거급제 행렬과 관찰사 부임 행렬, 과거 급제자에게 주어지는 어사화 하사 장면 등이 재현된다. 자운서원에서는 추향제가 봉행되고, 관광객들이 한복을 입고 제향에 참관할 수 있는 ‘유생 생(生)! 체험’도 이뤄진다. 또 파주의 ‘3대 현인’으로 꼽히는 율곡 이이, 우계 성혼, 구봉 송익필 선생의 서간을 모아 엮은 이 문화제 기간에 발간된다. , 등을 읽고 생각을 나누는 독서토론회도 자운서원 광장에서 열린다. 9일에는 율곡백일장과 사임당미술제가 자운서원에서 열리고, 파주시민회관에서는 시민 500여명이 참석하는 율곡 바둑대회가 열린다. 유적지 잔디마당에서는 율곡 선생의 서간과 작품을 읽고 써보는 자경문 캘리그라피, 자운서원과 율곡선생을 배경으로 한 컬러링북 색칠하기 등 율곡 이이 배움마당이 마련된다. 파주시 관계자는 “파주는 율곡 선생의 선영과 제향이 이뤄지는 본향으로 가족묘 등 많은 유적이 산재해있지만 그동안 콘텐츠와 홍보 부족으로 지역 문화자원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출생지인 강릉시와 상생협력을 통해 파주의 이미지를 율곡 선생과 연계한 문화·관광·교육 대표도시로 키워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466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집권여당 유례없는 국감 거부…야 “미르·K 의혹 덮으려하나”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집권여당 유례없는 국감 거부…야 “미르·K 의혹 덮으려하나” 등록 :2016-09-26 19:51수정 :2016-09-27 11:3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국감 첫날부터 곳곳서 파행] 새누리당 129명 중 3명만 국정감사 출석 여당이 상임위원장인 상임위 5곳 올스톱 청와대 관련 의혹 추궁 미뤄져 야 “국감을 볼모로 잡아” 성토 한민구 국방부 장관(맨 왼쪽)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 등 새누리당 의원의 불참으로 국정감사가 지연되자 자리를 떠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한민구 국방부 장관(맨 왼쪽)이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김영우 국회 국방위원장 등 새누리당 의원의 불참으로 국정감사가 지연되자 자리를 떠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26일 집권여당 초유의 국회 국정감사 거부가 현실화하며 이날 예정돼 있던 12개 국회 상임위원회의 대정부 국정감사가 곳곳에서 파행을 빚었다. 새누리당이 상임위원장을 맡은 국방위, 안전행정위, 정무위, 법제사법위,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5곳의 국감은 아예 열리지도 못했다. 북한 핵실험 등 안보 문제와 지진 안전 대책, 경제 위기, 법조 비리 등을 다룰 국감이 올스톱한 것이다. 야당은 “청와대에 충성하려는 여당이 미르재단·케이(K)스포츠재단 비리 의혹 등을 덮기 위해 국정감사를 볼모로 잡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날 국감장에 모습을 드러낸 여당 의원은 전체 129명 중 3명에 불과했다. 외교통일위 여당 간사인 윤영석 의원은 국회의장의 편파적 국회 운영에 항의를 표시한 뒤 질의를 하지 않고 자리를 떴다. 환경노동위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자리만 지켰다. 보건복지위 간사인 김상훈 의원만 현안과 관련해 일부 질의를 했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야당이 위원장인 상임위 간사들은 국감장에는 가지 않더라도 국정감사를 모니터링하면서 (부당한 증인채택 등) 돌발상황을 제지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당부했다. 야당이 위원장인 교육문화체육관광, 외교통일, 환경노동, 국토교통, 산업통상자원, 보건복지, 농림축산식품해양위도 삐걱거렸다. 교문위의 교육부 국정감사에는 국민의당 소속 유성엽 위원장이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부총리가)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참석하라고 얘기할 수는 없겠죠? 역할을 해주시면 금상첨화겠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대법원 국감에서는 법사위 야당 간사인 더민주 박범계 의원이 새누리당 권성동 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보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일부 상임위에서는 불참한 여당 의원이 지역 민원성 질문을 야당 의원에게 대신 부탁하는 촌극이 빚어졌다. 야당 위원들만 참석해 반쪽으로 진행된 일부 상임위에선 여당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질의 시간과 질문 문항 수를 애초 예정된 것보다 크게 늘려, 갑작스럽게 이를 준비해야 하는 야당 의원과 보좌진들이 애를 먹기도 했다. 외통위에서는 주질의 시간을 의원 1인당 10분에서 15분으로 늘렸고, 산업위·농해수위 등에서는 보좌진들이 여당 의원들의 불참에 대비해 평소보다 질문 문항을 2배 가량 준비했다. 가뜩이나 수세적일 수밖에 없는 국감에서 여당의 방어 없이 야당 쪽 공격 시간과 횟수만 늘어나자 답변에 나선 관련 부처 장·차관들도 피곤한 기색이 역력했다. 국감 파행 원인제공자인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농정과 관련한 안건이 다뤄졌으나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야당 위원 들이 장관이 아닌 차관·차관보 등에게만 질문을 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3일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를 막기 위해 ‘장관 필리버스터’에 동참했던 이들이 집중 공격을 받았다. 환노위에서는 “답변을 길게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느냐”는 서형수 더민주 의원의 질문에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그런 요청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지만, 곧바로 같은 당 강병원 의원이 “그날 고용노동부 기조실장이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로부터 지시를 받고 장관에게 전달하는 것도 확인했다”며 거듭 추궁했다. 여당이 불참한 가운데 국감에 임한 일부 부처 기관장들의 뻣뻣한 태도가 야당의 거센 반발을 사기도 했다. 산자위에서는 전기요금 누진제와 관련한 주형환 장관의 답변 태도를 두고 장병완 위원장과 야당 위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새누리당은 일단 강경한 태세를 유지했으나, 마음이 편치 않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국감 거부 책임론’에 대해 “국감이 아니더라도 민생이나 안보 등 챙길 수 있는 것들을 잘 챙겨나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새누리당도 국감 파행 장기화에 대한 부담이 크다. 당 관계자는 “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 일단 27일까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당장 미르·케이(K)스포츠재단 비리 의혹을 추궁할 국감이 줄줄이 파행하거나 미뤄진 것을 두고 비판이 쏟아진다. 당장 27일에는 여당이 상임위원장(조경태 의원)을 맡은 기획재정위 국정감사 개최 여부가 불투명하다. 미르·케이재단 비리 의혹과 관련해 대기업으로부터 수백억원을 끌어모은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소관 부처인 기획재정부가 국감 대상이다. 이에 대해 정의당 김종대 원내대변인은 “이번 국정감사는 박근혜 정권 들어 쏟아져 나온 권력형 비리를 국민 앞에 고발하는 매우 중요한 국감이다. 국감을 파행으로 몰고 가려는 새누리당의 행태는 미르재단·케이스포츠재단, 최순실씨 등 청와대 관련 비리 의혹을 덮으려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안행위 야당 위원들은 국감이 무산된 뒤 따로 기자회견을 열어 “청와대에 충성하려고 국정감사를 볼모로 단식하는 이 대표의 행태에 슬픔을 느낀다”고 했다. 김남일 박승헌 송경화 기자 namfic@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841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수원대·청주대, 수천억대 적립금 쌓아두고 교육투자 인색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수원대·청주대, 수천억대 적립금 쌓아두고 교육투자 인색 등록 :2016-09-22 11:56수정 :2016-09-22 21:21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부실대’ 평가받은 수원대·청주대 3588억·2917억원 적립금 쌓아 사립대 중 적립금 1위는 홍익대 지난 5일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하위 등급을 받은 수원대와 청주대가 수천억원대의 적립금을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171개 사립대학 적립금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수원대와 청주대의 적립금이 각각 3588억원과 2917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수원대는 전체 171개 사립대 중에서 4위, 청주대는 6위를 차지했다. 역시 교육부 평가에서 부실대학으로 분류된 상지대도 적립금을 231억원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이들 대학이 등록금으로 학생들 교육에 투자하기보다는 적립금을 쌓는 데 치중하면서 ‘부실대’ 딱지를 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실시된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하위 등급(D+, D, E등급)을 받은 대학 66곳(일반대 32곳, 전문대 34곳)을 상대로 한 ‘대학구조개혁 후속 1차 이행점검 결과’를 지난 5일 발표했는데, 수원대, 청주대, 상지대는 디(D)등급을 받았다. 이에 따라 이들 학교는 내년도 정부 재정지원사업 신규 신청은 물론 대학구조개혁 평가 이전에 선정된 사업 지원까지 전면 제한된다. 대학에 대한 모든 국고 지원이 중단되는 것으로 사실상 퇴출 위기인 것이다. 특히 수원대는 적립금 쌓기에만 치중해 학생들로부터 등록금 반환소송까지 당했다. 수원대는 1심에 이어 지난 7월 2심까지 패소해 학생들에게 등록금 일부를 내줘야할 처지다. 안민석 의원은 “대학이 학생들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투자하지 않고 적립금만 쌓아두는 것은 대학 본연의 임무를 방기하는 처사”라며 “등록금 장사 관행을 없앨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 학생들에 대한 교육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사립대 가운데 가장 많은 적립금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는 홍익대로 7172억원이었으며, 이화여대가 7066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211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김재수 해임안 표결 뒤 명암갈린 정진석·우상호·박지원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김재수 해임안 표결 뒤 명암갈린 정진석·우상호·박지원 등록 :2016-09-25 21:39수정 :2016-09-26 10:3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정진석 ‘처지 옹색’ vs 우상호 ‘맘고생끝 자신감’ vs 박지원 ‘몸값 올렸지만 신뢰에 흠’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지난 24일 새벽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해임안 정국’을 지휘한 여야 3당 원내사령탑의 정치적 명암도 극명하게 갈렸다. 정세균 국회의장이 24일 자정을 앞두고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날짜 변경으로 인한 본회의 차수 변경을 선포하자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국회법 위반을 주장하며 강하게 확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회의장이 24일 자정을 앞두고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날짜 변경으로 인한 본회의 차수 변경을 선포하자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국회법 위반을 주장하며 강하게 확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해임안 정국에서 이렇다 할 정치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해임안 상정을 앞둔 23일 의원총회에서는 오전부터 “어떤 식으로 부결시킬지 단계적 방안을 세워야 한다”는 요구가 쏟아졌지만 뾰족한 수를 내놓지 못했다. 시간끌기를 위해 꺼낸 ‘국무위원 식사권’ 요구와 사상 초유의 ‘장관 필리버스터’ 등의 대응책은 정치권 안팎의 비웃음을 샀다. 해임안 가결 직후 사퇴 의사를 밝혔다가 의원단의 만류로 중도 퇴진의 불명예는 피할 수 있게 됐지만, 원내사령탑으로서 처지는 한결 옹색해졌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새누리당의 국정감사 보이콧 등 정국현안에 대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새누리당의 국정감사 보이콧 등 정국현안에 대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게도 해임안 표결은 결과를 장담하기 어려운 승부수였다. ‘공조’를 약속했던 국민의당이 해임건의안 제출에 불참하면서 위기감은 한층 커졌고, 당내에선 “전략가인양 큰소리 치더니 노회한 박지원에게 시종일관 끌려다닌다”는 비판이 나왔다. 해임안 표결을 앞두고선 ‘부결 땐 원내대표가 책임질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까지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그는 단 한명의 표결 불참자 없이 당력을 결집시켜 해임안 통과의 ‘1등 공신’이 됐고, 임기 반환점을 앞둔 원내사령탑으로서 ‘확실한 전리품’을 챙겼다. 우 원내대표 쪽 관계자는 “내색은 안했지만 마음고생이 심했다. 해임안 가결로 자신감을 찾게 됐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2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2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해임건의안 공조’를 약속하고도 막상 해임안을 제출할 때가 되자 ‘당내 반대 여론’을 이유로 몸을 뺐다. 표결 결과가 불확실해지자 새누리당과 더민주는 경쟁하듯 그에게 매달렸다. 내부의 반대를 이용해 대외 교섭력을 높인 셈이 됐다. 시선을 국민의당에 집중시킨 뒤엔 청와대의 완강한 태도와 호남의 텃밭 여론을 이유로 분위기를 해임안 찬성으로 몰아갔고, 결국 내부 이탈을 최소화하면서 해임안 가결을 이끌어냈다. 박 원내대표의 현란한 협상술은 거대양당 사이에 낀 제3당의 몸값을 극대화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그 과정에서 정당이 지녀야 할 ‘정치적 신뢰’에 적잖은 상처를 입혔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668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미니 인공장기’는 실험실의 쥐와 원숭이를 구할까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과학과학일반 ‘미니 인공장기’는 실험실의 쥐와 원숭이를 구할까 등록 :2016-09-26 14:01수정 :2016-09-26 14:42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미래] 동물실험 대체 오가노이드의 가능성 국내 실험동물 희생 연 250만마리 그러나 동물에 멀쩡한 약물이 사람에 치명적 결과를 낳기도 한다 줄기세포 이용한 인공장기 만들어 장·심장·간·신장 순환 체외실험 효능·독성 더 정확한 판독 가능해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의 정초록 책임연구원이 장기 유사체인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동물실험 대체용 ‘생체모사 비교 시스템’을 작동해 보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의 정초록 책임연구원이 장기 유사체인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동물실험 대체용 ‘생체모사 비교 시스템’을 작동해 보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드라마에 임신의 메타포로 여전히 헛구역질(입덧)이 등장하지만 화장실에서 임신키트를 들고 있는 모습이 훨씬 현대적이고 과학적으로 느껴진다. 20세기 초라면 어땠을까? 임신부의 소변에서 ‘융모 생식샘자극’(hCG) 호르몬이 발견된 것은 1920년대였다. 태반에서 분비되는 이 호르몬을 이용해 임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법은 쉽지 않았다. 임신 여부를 알려면 살아 있는 토끼의 귀에 소변을 주사한 뒤 해부를 해서 토끼의 난소에 항체가 생겼는지를 확인해야 했다. 지금이야 약국에서 몇천원이면 임신키트를 살 수 있지만, 토끼를 쓰지 않고 hCG 호르몬을 검사하는 법을 알아낸 것은 1960년대에 들어서였다. 그동안 수많은 토끼들이 인간의 임신을 확인하느라 목숨을 내놓아야 했다. 제약회사에서 의약품을 생산할 때 하는 발열성 실험이라는 것이 있다. 의약품 생산 과정에 세균에 오염되면 내독소가 쌓여 사용한 사람에게서 열이 난다. 현재도 발열성 실험에 토끼가 사용된다. 하지만 지금은 ‘생물학적 내독소 시험’(LAL시험)이라는 동물대체시험법이 함께 쓰인다. 투구게의 혈액에 의약품을 섞었을 때 굳으면 내독소가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방법은 197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이 났다. 동물대체시험법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한해 몇억마리의 실험동물들이 희생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실험실에서 숨져간 동물만 250만7천마리다. 2012년 183만4천마리보다 37%가 늘었다. 해마다 10% 이상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화장품법 개정안은 내년 2월부터 ‘동물실험을 실시한 화장품이나 동물실험을 한 원료를 사용해 제조한 화장품’은 수입·유통·판매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2013년 3월 화장품에 대한 모든 동물실험이 금지되고 있다. 국내에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표준화한 13개 대체시험법(가이드라인)이 등록돼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실험동물 수가 줄어들지 미지수다. 동물실험의 대안은 실험에 쓰이는 동물 전부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거나 일부분이라도 줄여보자는 것이다. 1959년 영국의 동물학자 윌리엄 러셀과 미생물학자 렉스 버치는 이라는 책을 발간해 이른바 ‘3R’ 원칙을 주창했다. 할 수 있는 한 실험동물의 수를 줄이고(Reduction), 실험 전 대체방법이 없는지 찾으며(Replacement), 실험 중 동물이 고통을 받지 않도록 실험 절차를 명료하게 해야 한다(Refinement)는 것이다. 동물실험은 인간과 동물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됐다. 2세기 로마 의사인 갈레노스가 염소·돼지·원숭이를 해부한 이래 동물은 인간을 이해하는 ‘도구’로 사용돼왔다. 19세기 중반 프랑스 생리학자 클로드 베르나르는 ‘어떤 병이 동물에게서 재현될 수 없다면 그 병은 존재한다고 볼 수 없다’며 동물실험 지상론을 폈다. 그는 남의 집 애완동물을 훔쳐다 실험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였을까, 그의 부인과 딸 심지어 그의 제자까지 동물실험 반대 단체 설립에 뛰어들었다. 20세기 독성학이 발전하면서 동물실험은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1937년 당시 새로운 항생제(설파닐아마이드)를 복용한 107명이 사망하자 동물에게 이 약물을 시험했고 동물들이 죽었다. 이 사례로 모든 약물검사에 동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잡았다. 인간-동물 공유질병 단 2%뿐 하지만 인간의 질병 3만여 가지 가운데 동물과 공유하는 건 단 2%도 안 되는 350여개에 불과하다. 약품이 종간 다른 효과를 보인 사례는 적지 않다. 1957년에 입덧 같은 메스꺼움을 없애는 탈리도마이드를 복용한 임신부가 팔다리 발달이 결여된 해표지증 기형아를 낳는다는 사실이 보고됐다. 쥐, 토끼, 개, 햄스터, 영장류, 고양이, 돼지 등 동물들에서는 기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1962년에야 탈리도마이드는 리콜됐다. 그사이 1만2천명의 신생아들이 물갈퀴를 가지거나 사지가 전혀 없이 태어났다. 반면 페니실린은 동물실험을 하지 않아 살아남았다. 1929년 플레밍은 페니실린이 세균을 죽인다는 것을 알고 토끼에게 실험을 했지만 아무 반응이 없었다. 달리 해볼 일 없는 위중한 환자에게 투여한 뒤 페니실린의 효능이 입증됐다. 플레밍이 만약 기니피그나 햄스터를 대상으로 실험했다면 페니실린은 역사에서 사라졌을지 모른다. 페니실린은 기니피그나 햄스터를 죽이고 쥐에게는 기형을 유발한다. 진통제 타이레놀은 고양이에게 부신기능부전을 일으키고, 아스피린은 생쥐에게 선천성 기형을 야기하며, 애드빌은 개에게 신부전증을 일으킨다. 사람과 동물은 유사하지만 결코 같지 않은 것이다. 의약품 검증의 가장 좋은 방법은 임상시험이다. 하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기에 약물에 독성이 없다는 것이 입증돼야 가능하다. 나치의 유대인 생체실험, 일제의 731부대 인체 실험, 미국 터스키기 매독 실험처럼 인간을 마루타로 삼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동물대체시험법으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거나 배양세포와 장기배양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인 실리코(in silico)라 불리는 컴퓨터 독성 예측 프로그램은 화학물질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검색해보면 70% 정도의 정확도로 독성 스크리닝이 된다. 배양한 세포에 약물을 투여해 얼마나 많은 세포가 죽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또 한마리 동물에서 적출한 많은 각종 장기로 많은 수의 동물을 이용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인체와 닮은 조직을 만들어 실험하는 것이다. 3차원 인공피부는 이런 측면에서 주목받는 방법이다. 포경수술 뒤 남은 포피의 상피세포를 2주일 동안 배양하면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인공피부가 만들어진다. 다만 이 피부를 계속 재생해 쓸 수가 없어 포경수술 뒤 남은 피부 조각이 끊임없이 공급돼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약물은 사람 몸속에서 흡수-분포-대사-배설의 네가지 과정을 거친다. 입으로 약을 먹으면 식도와 위, 십이지장, 소장을 거치면서 혈관으로 흡수된다. 간과 심장을 거쳐 온몸 구석구석으로 퍼져나간 약물은 간과 신장(콩팥)에서 오줌으로 배설되거나 대장을 거쳐 항문으로 배설된다. 주사를 맞거나 피부에서 흡수된 약물은 혈관을 통해 직접 간과 심장에 배달된다. 약물은 이 과정에 약효를 보이기도 하고 독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인체를 빼닮은 아바타를 만들어 약물을 실험한다면 좋겠지만, 설령 과학적 현실이 된다 해도 여전히 인권과 윤리 측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2009년 네덜란드 연구팀은 해답을 내놓는다. 생명과학연구소(휘브레흐트연구소)의 한스 클레버르스 박사는 생쥐의 직장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배양해 내장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오가노이드는 인간 장기의 기능을 지닌 유사체를 말한다. 미니장기라 불리기도 한다. 2013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매들린 랭커스터 박사가 대뇌피질 등 인간 뇌 속성을 일부 보유한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었다. 뇌를 닮은 오가노이드는 소두증이 지카 바이러스의 잠재적 위험성이라는 점을 증명하는 데 좋은 시험관 모델로 활용됐다. 지금까지 배양된 오가노이드는 15가지가 넘는다. 오가노이드를 활용하면 몸 밖(인 비트로)에서 약물이 마치 몸 안(인 비보)에서처럼 작용하듯이 실험을 할 수 있다. 국내 동물실험 대체연구 세계서도 주목받아 ‘러쉬 프라이즈’ 전부문 후보 올라 “한국팀 신진연구자 수상 가능성” 지난달 말 찾은 대전 대덕연구단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의 줄기세포연구센터에서는 여느 생화학실험실에서처럼 약물이 담긴 시험관들이 자동 장치에 놓여 회전을 하고 있었다. 옅은 붉은색의 액체 속에 기포 말고도 지름이 몇㎜에 불과한 하얀 부유물들이 떠다녔다. 연구 책임을 맡고 있는 정초록 박사는 “얼핏 보면 하얀 찌꺼기 같지만 간 세포들이 서로 뭉쳐 오가노이드를 형성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간세포의 체외 배양은 평평한 배양접시에 영양분인 배지를 깔고 그 위에 세포주를 넣어 자라게 하는 2차원적인 방법을 썼다. 하지만 이렇게 배양한 세포는 간세포의 고유 대사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연구팀은 좀더 기능을 잘하는 간세포를 만들기 위해 간 세포주와 혈관세포, 이들을 지지해주는 기저세포(섬유아세포)를 섞어 3차원으로 배양해 간 스페로이드(덩어리)를 제작했다. 간은 뼈에 비해 부드럽고 쫀득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간세포는 이런 환경에서 생존 및 기능이 좋아진다. 이러한 점에 착안해 생명연 정경숙 박사 연구팀은 하이드로젤을 재료로 간과 유사한 스캐폴드(세포 사이의 지지체)를 제작하고, 3차원 간 오가노이드를 완성했다. 연구팀에 의해 탄생한 간 오가노이드는 유전체적으로 실제 간과 70% 가까이 일치했다. 몸 밖에서 몸 안처럼 독성 실험 정초록 박사는 ‘실험동물 대체용 인공실험체(NOCS) 구현 사업’을 이끌고 있다. 사업의 출발은 운명적으로 시작됐다. 생명연은 2012년 대내외적으로 연구개발 아이디어 공모전을 열었다. 당시 같은 연구팀의 임정화 연구원이 “동물실험을 대체할 기술을 개발하자”는 아이디어를 내 응모를 했고 최우수상을 받아 소규모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지난해에는 연구원 고유사업으로 채택됐다. 정 박사가 동물실험 대체에 관심을 갖게 된 건 한국인의 암 유전자를 발견한 것이 계기가 됐다. ‘이투-이피에프 유비퀴틴 캐리어’(UCP)라는 긴 이름의 단백질이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에니그마’라는 세포 안 단백질이 암세포 증식에 영향을 줘 항암제 내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단백질들을 타깃으로 신약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했지만 동물실험 단계에서 독성 때문에 실패했다. 정 박사는 “실험실에서 세포주로 효능과 독성을 검사하는 인 비트로 검사와 동물 체내에서 보는 인 비보 검사 결과가 차이가 있었다. 또 동물에서 보이는 효과가 과연 사람한테 정확하게 나타날까 궁금증도 생겼다”고 말했다. 비용도 적지 않았다. 화합물 1개의 독성 여부를 보는 데만 화합물 투입군, 대조군, 비교군, 세포주 실험군 등 네 그룹에 1마리에 6만원씩 하는 마우스 6마리씩을 배정하면 140만원이 든다. 화합물 10개면 1천만원이 훌쩍 넘어간다. 그것도 자신이 직접 했을 때 얘기다. 동물실험 전문업체에 맡기면 배로 뛴다. 이런 경험들은 정 박사로 하여금 실험동물을 대체하는 좀더 획기적인 생체모사 기술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인공실험체 사업의 목표는 신약 개발 단계에서 비임상시험 또는 전임상시험이라 불리는 동물실험 단계를 실제 장기를 가지고 몸 밖에서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간 오가노이드처럼 여러 장기를 모사한 유사장기들로 구성된 ‘생체모사 비교 시스템’을 구축중이다. 흡수를 담당하는 장 오가노이드와 대사를 담당하는 간 오가노이드를 주축으로 하고, 독성의 대상이 되는 심장, 뇌, 신장 오가노이드를 서로 연결해 우리 몸과 비슷한 생리작용이 체외에서 실현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갖가지 장기 오가노이드는 만드는 방법도 가지각색이다. 장 오가노이드는 유도만능(IPS) 줄기세포에 특정 단백질을 넣어주면 장처럼 꼬불꼬불한 모양의 세포덩어리들이 만들어진다. 긴 대장이나 소장 전체를 만드는 것은 아니고 장의 기능을 갖춘 장 한 조각을 만드는 것이다. 오가노이드는 1~2㎜밖에 되지 않는다. 김장환 생명연 줄기세포연구센터장은 “신경, 곧 뇌 오가노이드는 실험실 차원에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독성 실험을 하려면 브레인블러드배리어(BBB)라는 딴딴한 막을 만들어 약물이 이것을 뚫고 들어오는 과정을 모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장도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심장 근육세포를 분화시킨 다음 특정 스캐폴드에 넣어 만든다. 심장 세포를 공처럼 뭉쳐 만들어서는 심방과 심실이 나뉘어 있고 판막까지 있는 진짜 심장을 모사할 수 없다. 심실 안에 혈액을 넣어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2~5㎜ 크기의 미니 심장을 만드는 게 목표다. 생명연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하고 있는 강선웅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심장이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것은 심장세포 표면에 있는 통로(채널)를 통해 칼슘이나 포타슘을 흡수했다 배출하는 걸 반복해서다. 심장 오가노이드 표면에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평가시험용 채널’(HERG채널)을 만들어 약물 후보 물질의 반응 여부를 보려 한다”고 말했다. 신장(콩팥)은 재흡수와 배출 두 기능이 있다. 신장은 대사 작용이 끝난 찌꺼기를 오줌으로 배출하기도 하지만 일부는 모세혈관이 털뭉치처럼 꼬여 있는 사구체를 통해 재흡수한다. 사구체를 모사하기가 쉽지 않아 신장 오가노이드는 아직 개발중이다. “인공실험체로 동물 희생 20% 줄일 것” 정초록 박사는 “2020년까지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동물실험의 20% 정도를 대체하면 성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상용화하면 생체모사 배양장비를 400만~500만원 정도에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화합물 1개의 독성 동물실험에 들어가는 비용 절반 수준이다. 생체모사 배양장비는 오가노이드만 바꿔주면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 연구팀은 2025년까지 환자 맞춤형 비임상시험 평가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정 박사는 “암 환자에게서 적출한 암세포를 체외에서 평가해 어떤 약물이 효과가 있는지 신속하게 결과를 도출해야 환자 생전에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지금처럼 장시간·고비용이 드는 마우스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는 암 환자 생존기간에 치료법을 찾아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근 국내에서도 동물대체시험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태성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보건연구관은 “지난 4월 오이시디 국가조정자회의에 국내에서 개발한 대체시험법이 ‘업무계획’으로 채택됐다. 업무계획은 가이드라인 채택 전에 진행되는 국가간 자문과 의견 수렴 단계를 의미하는데 최종 결정되기까지 1~2년 걸린다. 오이시디 위원회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 국내 3개 기관이 연구개발한 ‘유세포 분석을 이용한 국소림프절 시험법’은 면역세포에서 림프구가 증식하는 정도를 계량화해 면역독성을 시험하는 방법이다. 올해 동물대체시험 분야 국제상인 ‘러쉬 프라이즈’ 5개 부문 수상자 후보에 한국팀이 모두 포함된 것은 국내의 동물실험 대체에 대한 관심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러쉬 프라이즈는 영국 수제화장품 업체가 2012년부터 과학·교육·홍보·로비·신진연구자 등 5개 부문에서 동물실험 대체를 위해 공로가 있는 인물이나 단체에 주는 상이다. 올해 22개국에서 55개 팀이 최종 후보 명단에 올랐다. 상금은 총 35만파운드(약 5억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김경민 이화여대 약대 교수가 과학 부문에, 최병인 가톨릭대 교수와 이귀향 박사가 교육 부문, 실험동물 구조단체 비글구조네트워크가 홍보 부문, 화장품법 개정안을 제출한 문정림 전 의원이 로비 부문, 김미주 연세대 치대 연구조교수가 신진연구자 부문에 후보로 선정됐다. 올해 수상자는 10월말 결정되며 시상식은 11월초부터 캐나다와 영국을 거쳐 11월18일에 우리나라에서 마지막으로 열린다. 그동안 일본에서는 수상자가 나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없었다. 김경민 교수는 “올해 시상식이 한국에서 열리는 등 러쉬 프라이즈 쪽이 아시아에서 활동하는 신진연구자 지원을 선포한 터여서 우리나라 젊은 연구자의 수상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글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인포그래픽 김은정 기자 ejkim@hani.co.kr ‘러쉬 프라이즈’ 수상 트로피. 러쉬 코리아 제공 ‘러쉬 프라이즈’ 수상 트로피. 러쉬 코리아 제공 연재미래 : 커버스토리 * 한국은 왜 ‘4차 산업혁명’이 안 보일까 * 5년 뒤 국내 태양광 시장잠재력, 원전 34기에 육박 * ‘보일러 펑펑 틀어라’ 하고 원전 더 짓겠다고? * 촛불과 엘이디의 조화…알파고 시대에 뜨는 ‘적정기술’ * 당신의 스마트폰에 스무개의 도시광산 광맥이 있다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cience&kisano=762741 과학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朝鮮칼럼 The Column] 청소년을 궁지로 모는 '노력하면 된다' * 강규형 명지대 교수·현대사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9 노력하면 된다는 허구적 신화 강요하는 교육은 정신적 폭력 지나치게 많은 대학·대학정원 부산물로 생겨나 사회적 문제 개개인 적성과 한계치 판단해 사회 적응시키는 제도 구축해야 강규형 명지대 교수·현대사 강규형 명지대 교수·현대사 콘돌리자 라이스 전 미국 국무장관의 어렸을 적 꿈은 피아니스트였다. 재능도 있었고 열심히 연습했다. 그런데 어느 날 자기보다 어린 소녀가 자신이 흉내도 내지 못할 수준의 연주를 하는 것을 보고 원래 꿈을 접고 정치학자의 길을 택했다. 그리고 성공했다.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다다오는 잘 알려졌듯이 권투선수였다. 역시 어느 날 일본 챔피언의 스파링 경기를 보고는 그 경지에 도달할 수 없음을 직감하고 자기의 재능이 꽃필 수 있는 인테리어와 건축가의 길로 진로를 틀었다. 두 사람이 원래 희망 분야를 추구했다면 미친 듯이 해도 라이스는 그저 그런 피아니스트, 다다오는 3류 복서가 됐을 것이다. 한국 교육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그중 하나가 "하면 된다" 또는 "누구든 노력하면 못할 일이 없다"는 신화를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것이다. 아마도 교사가 학생에게 가장 많이 하는 얘기가 "노력하면 못할 것이 없다"는 격려성 거짓말이고, 교사가 학부모에게 가장 많이 듣는 얘기가 "우리 애가 머리는 좋은데 노력이 부족해서 성적이 안 좋다"는 안쓰러운 탄식이었을 것이다. 인간에겐 누구나 나름의 재능이 있고 노력을 통해 이를 최대한 계발해야 한다. 그러나 분야마다 개개인의 재능 편차는 실질적으로 엄청나게 존재한다. 많은 사람이 우사인 볼트처럼 빨리 달리기를 원한다. 그러나 아무리 죽으라 노력해도 단거리 달리기에서 볼트의 수준 근처라도 갈 수 있는 사람은 전 세계적으로 극소수에 불과하다. 어떤 분야에서건 대성공을 하거나 큰 명성을 얻는 것은 타고난 재능과 거기에 걸맞은 노력이 결합했을 때인 경우가 많다. 큰 재능을 갖고 태어났어도 노력하지 않는 천재는 성공하지 못하거나 빨리 시들기 십상이다. 필자는 차범근 선수의 팬이었다. 책의 한 부분으로도 출간됐다. 차씨의 활약을 보면서 필자는 축구 선수가 되고 싶다는 허황한 꿈을 잠시 꿨었다. 아직도 나는 잠자리에서 꿈을 꾸며 가끔 이런 장면을 본다. 그라운드를 휘젓고 대포알 같은 슛을 쏘는 나의 모습을. 그러나 필자가 차 선수보다 훨씬 더 열심히 축구 연습에 매진했다 해도 이 분야에서 나의 최대 한계치는 실업 축구는커녕 조기 축구 수준이었을 것이다. 한국 교육은 특히 공부와 시험 잘 보기라는 분야에서 극한의 경쟁을 유도했다. 우리 교육은 아직도 과거제도라는 공평하지만 획일적 제도의 전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나의 잣대를 놓고 한 줄로 세우는 획일적 교육은 득도 있었지만 오류도 많았다. 그러면서 노력하면 다 된다는 허구적 신화를 학생들에게 강요하는 거대한 정신적 폭력의 도가니를 구축했다. 부산물로서 엄청나게 많은 대학과 대학 정원이 생겨났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현재 한국 사회의 큰 숙제가 됐다. 사회가 원하는 인재와 학교가 배출하는 인재가 판이한 미스매치가 일어났다. 기대 수준은 황당한 수준으로 폭발하는 상황에서 청년실업은 치솟는데 정작 산업 현장에는 일손이 없어 인력을 수입하는 기괴한 노동구조도 생겨났다. 영국의 고(故) 다이애나 왕세자빈은 원래 귀족 출신이었다. 그러나 중등교육에서 학업에 재능을 보이지 못해 대학 진학이 아닌 직장 생활을 권고받고, 고등학교 졸업 후 보육원 보조원과 같은 소박한 직업 생활을 하던 중 찰스 왕세자를 만나 이른 나이에 결혼했다. 한국에서는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이다. 어려서부터 학생들의 적성과 재능을 평가해서 미리 진로를 나누고, 학생과 부모는 그것을 스스럼없이 택하는 교육체계는 다른 나라에서는 아주 보편적인 제도이다. 한국과 같은 정신세계였으면 "더 노력하면 되는데" "귀족(양반)이 대학을 못 가다니 창피하지도 않으냐" 같은 얘기를 들었을 것이고, 그런 사람이 왕세자빈이 되는 것도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했던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이제 점차 낮아지고 있다. 대학 입학이 어려워져서가 아니라 대학을 나와도 취직이 어렵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입시라는 획일적 기준도 다소 완화돼서 다양한 분야에서 꿈을 펼치려는 분위기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필사적으로 추진해야 할 교육의 다변화, 대학과 대학 정원 감축, 더 나아가서 대학원의 대폭 감축 등은 걸음마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입시와 입시 이외의 분야에서도 무조건 노력하면 된다는 신화를 걷어내고 사람 개개인의 적성과 그 한계치를 합리적으로 판단케 해서 사회에 적응시키는 분위기와 제도를 추구해야 할 때가 왔다. 우리는 너무 오랫동안 청소년들에게 엄청난 정신적 폭력을 가하는 사회였다.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서울 고등학생들, 원하는 선택과목 이웃학교 가서 듣는다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서울 고등학생들, 원하는 선택과목 이웃학교 가서 듣는다 등록 :2016-09-19 11:46수정 :2016-09-19 11:5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서울시교육청, ‘개방-연합형 교육과정’ 운영 11개 학교 3권역 묶어 16과목 265명 참여 같은 권역이면 옆 학교 가서 과목 이수 가능 일반고 학생들이 이웃 학교에 가서 원하는 선택 과목을 들을 수 있는 ‘개방-연합형 교육과정’이 올해 2학기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4월 ‘일반고 전성시대’ 사업의 일환으로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교육과정 계획’을 발표하고,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원하는 선택 과목이 인근 학교에서 개설될 경우 이동해 수업을 듣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현재 일반고가 학생별 다양한 진로 희망 등을 수용하지 못하고 문·이과 이분법적으로만 운영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기 위해 나왔다. 시교육청은 올해 2학기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 뒤 내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난 8월 시교육청이 시범 권역과 참여 학교를 공모한 결과, 강서구·구로구·노원구 세 개의 권역에서 11개 학교가 16개 과목을 개설하고 265명의 학생들이 시범 운영에 참여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서울 노원구 상명고에서는 ‘영상 제작의 이해’ 과목을 개설했는데, 기존 교육과정에서는 상명고 학생만 이 과목을 이수할 수 있지만 이제는 노원구의 시범 운영 고교 6곳에서 원하는 학생이라면 상명고로 이동해 이 과목을 들을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 중등교육과 담당자는 “시범운영 기간에는 학생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주로 방과 후에 수업을 개설했고,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정규 교육과정 운영시간에도 수업을 개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시범 운영에 참여한 학교당 2000만원 이내의 운영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계획과 관련해 고교 현장에서 학교간 이동에 따른 안전문제, 출결관리 등 치밀한 준비와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교원 단체들의 의견을 반영해 시교육청은 오는 연말까지 ‘학교 간 협력교육과정 누리집’을 구축해 학생모집, 수강신청, 출석 관리 등을 하게 할 방침이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1641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황교안, 미르·K재단 의혹 제기에 “의법조치” 엄포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황교안, 미르·K재단 의혹 제기에 “의법조치” 엄포 등록 :2016-09-23 16:48수정 :2016-09-25 13:4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유언비어 규정 “책임져야” 강경 두 재단 설립 관련해선 “법 절차 따라…아무 하자 없다” 황교안 국무총리(왼쪽)가 2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국무총리(왼쪽)가 2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 분야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국무총리는 23일 미르재단과 케이(K)스포츠재단의 모금 과정을 둘러싼 각종 의혹 제기에 대해 “의혹은 누구든 이야기할 수 있지만 의혹제기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며 “사실에 의한 주장을 하는 게 옳다. 이런 유언비어, 불법에 해당하는 것은 의법조치도 가능한 게 아니냐”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이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난무하는 비방’, ‘확인되지 않은 폭로’라고 규정하는데 황 총리는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이처럼 답했다.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해명 대신 의혹 제기 자체를 ‘국론분열 행위’로 몰아붙이는 강경 발언을 쏟아낸 데 이어 이번엔 국무총리가 ‘처벌’까지 거론하며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황 총리는 “확인해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법 절차에 따라 (재단 설립 허가를) 했고, 아무 하자가 없다고 답하고 있다. 틈틈이 확인해보면, 현재까지 근거가 확인된 게 없다”고 말했다. 정 의원이 이어 “하루 만에 법인 허가가 나오고 창립총회 회의록이 조작되고 단기간에 800억원에 이르는 돈을 걷고 그 설립 과정에서 청와대 수석과 대통령의 비선 실세가 개입했다는 주장이 근거가 없다면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황 총리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그는 “하루 만에 법인 인가가 났다는데 기간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제대로 났느냐가 중요하다. 사전에 문화부에 의견 묻고 자문 구해서 충분히 준비됐기 때문이다. (기업들로부터) 많은 모금을 한 것도 역시 많은 준비가 있었고 각 기업마다 사회공헌활동에 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디스팩트 시즌3#20_글로벌 극우의 득세+최순실 게이트 후속] 바로가기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036654&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디스팩트 시즌3#19_대기업에서 수백억 끌어모은 미르재단의 비밀] 바로가기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이슈최순실·박근혜 게이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재계총수 특검수사’ 사설 비교해보기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단 * [야! 한국 사회] 사법권의 독립? 뭐라? / 이정렬 * [김종구 칼럼] 박 대통령, ‘셀프 내란죄 수괴’라 불러야 옳다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473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2천명 ‘사드 촛불’ 앞에서 자작시 낭송…상상도 못했던 일이죠”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문화책과 생각 “2천명 ‘사드 촛불’ 앞에서 자작시 낭송…상상도 못했던 일이죠” 등록 :2016-09-25 18:14수정 :2016-09-26 15:23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지난해 실직한 뒤 귀농하려고 노모 입원해있는 성주에 땅 장만 정부 ‘성산포대 사드배치’ 발표 “시로 반대하자” 3편 직접 낭송 “성주 항쟁 변화 따라가기 벅차 전자파 말한 첫 시가 이젠 낡아” ‘사드반대 시’로 주목 김수상 시인 김수상 시인. 김수상 시인. 대학을 다니던 1980년대에는 시는 변혁에 복무해야 한다고 믿었다. 중년이 되어서 젊었을 때 쓴 시가 부끄러웠다. “리얼리즘(현실참여) 흉내만 낸 얼치기 시”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를 다시 써 47살에 등단했다. 49살이 되던 지난해엔 첫 시집 을 냈다. 김수상(50) 시인 얘기다. 그는 요즘 ‘사드 반대 시인’으로 불린다. 이시영 시인은 그의 시가 우리 시대 리얼리즘의 한 전형을 보여준다고 치켜세웠다. 쉰살이 되어 진짜 참여시인이라는 소리를 듣게 된 김 시인을 지난 20일 대구 범어시장 근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시인은 우연이라고 했다. “지난해 초 다니던 회사가 문을 닫았어요. 재취업이 힘들어 귀농하려고 성주군 성산리에 농지와 택지 800평을 샀어요. 왕대추나무도 심었죠.” 지난 7월13일 정부는 성산리 성산포대에 사드를 배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가 산 땅은 포대 바로 밑에 있었다. 분노가 치밀었다. “제가 할 수 있는 게 뭘까 생각했어요. 시를 쓰겠다고 맘먹었죠.” 첫 사드 반대 시 ‘너희는 레이더 앞에서 참외나 깎아라, 우리는 싸울 테니’는 사드 레이더 앞에서 참외를 깎아 먹겠다던 여당 의원의 발언에 분노한 시다. 지역 온라인 매체인 에 기고하고 촛불문화제에서 직접 낭송했다. 시인은 정부의 일방적인 배치 결정을 두고 “너는 기승전이 없이 왔다./ 이야기가 없이 왔다./ 무작정 왔다./ 결론으로만 왔다/. 통보로만 왔다”고 탄식했다. “우리의 노동을 거칠게 대했다./ 우리의 정갈한 밥상을 발로 차 엎었다”고 참외 농사를 걱정하는 농민의 울분을 대변했다. 지난 14일 발표한 시 ‘저 아가리에 평화를!’은 시위에 나선 여성을 비하한 군수의 망언에 대응한 것이다. 시인은 우리 모두 술집 하고 다방 하는 것들이라면서, “술집 하고 다방 하는 것들은/ 촛불을 들고 사드를 반대하면 안 되는 것이냐” “술병도 울고 찻잔도 분노에 떠는데/ 성주의 술집이여, 촛불을 높이 들자!/ 성주의 다방이여, 촛불을 사수하자”고 외쳤다. 시인은 촛불문화제에서 자신이 쓴 4편 가운데 3편을 직접 낭송했다. “제가 자발적으로 2천명 앞에서 낭송했어요. 꿈에도 생각 못한 일이죠. 성주에서 받은 문학적 에너지가 저를 이끌고 가고 있음을 느낍니다. (이전에) 저는 (이런 시를 쓸) 문학적 깜냥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했죠.” 시인은 지난해 낸 첫 시집 서문에서 “(내 시는) 모두가 몸 근방 50미터 안의 이야기들”이라고 토로했다. “세월호 시를 한편 쓴 적은 있었지만, 저는 외부보다는 내면에 더 관심이 있었죠. 연대에도 소극적이었어요.” 그러니 지금의 변화가 그에게 놀랍게 느껴지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 성주에서 일어나는 일은 따라가기 벅찰 정도입니다. 제가 처음 쓴 사드 반대 시가 지금은 낡아 버렸어요.” 첫 시에선 사드 배치로 전자파가 오면 참외 농사가 힘들어질 것이라는 얘기를 했다. “한달 새 구호가 달라졌죠. 지금은 평화 문제와 반전반핵을 이야기하죠. 촛불은 거대한 학습장입니다. 집회 참석 할머니가 국회의원이 잘못 말한 국방비 총액을 고쳐주기도 하죠.” 자신의 시가 호응을 얻은 이유를 묻는 말에 그는 “저 자신의 이야기라 절실했던 모양입니다. 낭송을 염두에 두고 말맛을 최대한 살려 쓴 것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했다. 경북 의성이 고향인 시인은 고향 땅을 팔고 귀농지로 성주를 선택했다. “치매 증세가 있는 노모가 성주의 요양병원에 입원해 있어요. 의성보다는 성주에서 여생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 것 같아 땅을 샀죠. 매입 뒤엔 성주군 농업기술센터에서 6개월 귀농 교육을 받기도 했어요.” 그는 성주문학회 회원이기도 하다. “땅을 산 뒤 200m 인근에 고형폐기물 공장이 들어선다고 해서 주민들과 열심히 싸워 한숨 돌리는가 했는데 바로 사드가 왔죠. 허허.” 시인은 2002년 이혼 뒤 홀로 두 아이를 키우면서 살아왔다. 큰딸은 대학을 다니고 막내아들은 중학생이다. 실직 뒤엔 관공서 등의 ‘하청 글쓰기’로 생활하고 있다. “하청 글쓰기를 하다 머리가 아파 잠시 쉬는 틈에 (사드 반대 시를) 씁니다. 시 쓰는 데는 20~30분밖에 걸리지 않아요. 안에 뭔가 있었던 것처럼 시가 나옵니다.” 영남대 경제학과 84학번인 시인은 대학 때 ‘문화운동’에 뛰어들었다. 재학시절 대구 노동자문화예술운동연합 문학분과 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파업 공장을 찾아다니며 담벼락에 벽시를 걸었죠. 일종의 문화선동대였어요.” 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운동’을 내려놓은 뒤 학원 경영, 결혼정보회사 관리직, 여성교양지 기자 등으로 살았다. 그러다 2005년 시와 다시 만났다. “이혼 뒤 우울증으로 고통을 겪으면서 ‘죽기 전에 시 공부를 하자’고 결심했죠. 계명대 문예창작학과 대학원에 등록해 이성복 시인의 강의를 들었어요.” 그는 이 시인의 강의를 노트 3권에 옮겼다. 지난해 이 시인이 펴낸 시론집 중 하나인 은 이 노트를 토대로 한 것이다. 그는 이 시인이 제자 20여명과 격주에 한번 하는 공부 모임(본유)에도 참여하고 있다. 지금은 불교 경전을 공부하고 있다고 했다. “시인은 언어를 부리는 사람이며 칼끝을 시인 자신에게 겨누는, 그래서 시인이 망가지는 글이 좋은 시라는 이 시인의 시론에 공감해요.” 김 시인은 자신의 사드 반대 시를 두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융합’이라는 평이 나온다며 “저의 당면 문제인 사드 문제가 해결되면 문학다운 시를 쓸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글·사진 강성만 선임기자 sungman@hani.co.kr 연재짬 * “내 조각품 욕먹는 것 보면서 난 ‘복받은 작가’란 생각” * 보수 개신교 지도자의 작심발언 “교회도 재벌도 개혁해야 한다” * “치유위해 연극 올린 세월호 엄마들 배우 다 됐네요” * “탄핵의 그날 촛불시민들에게 따뜻한 국밥 한그릇” * “15년 전 박경리 선생 뵈었지만 ‘토지’ 번역은 상상 못했죠”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culture&kisano=762628 문화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강원도교육청, 추경에 누리예산 일부 편성키로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강원도교육청, 추경에 누리예산 일부 편성키로 등록 :2016-09-22 17:12수정 :2016-09-22 21:1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운영·인건비만 편성, 보육료는 미편성 방침 고수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 방침을 고수하던 강원도교육청이 한발 물러서 일부 예산을 편성하기로 했다. 민병희 강원교육감은 22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어 12개월 치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운영·인건비) 158억원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은 그동안 어린이집 누리예산은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며 한 푼도 편성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강원도 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은 보육료는 카드사가, 운영·인건비는 강원도청이 부담해왔다. 민 교육감은 “어린이집 보육에 교육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위법이고 교육감 소관사무가 아니지만 강원도청의 어려움, 보육교사들의 생존권 등을 고려해 오랜 고민과 논의 끝에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 조처로 강원도청과 보육교사 등은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강원도는 매달 14억원의 운영·인건비를 부담해왔다. 하지만 현재 카드사가 대납하고 있는 496억원에 이르는 보육료 문제는 갈등의 불씨로 남아 있다. 올해 강원도 어린이집 누리예산은 보육료와 운영·인건비 등을 더해 654억원이다. 도교육청은 운영·인건비는 편성하겠다고 물러섰지만, 올해는 물론이고 내년에도 보육료는 편성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민 도교육감은 “무상보육을 공약한 대통령과 정부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않으면 이 문제는 절대 풀리지 않을 것이다. 대통령 공약인 무상보육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선 누리과정 관련 법령의 정비와 별도 국비 지원, 교육예산 확충밖에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284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평생교육단과대 ‘정원미달' 속출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평생교육단과대 ‘정원미달' 속출 등록 :2016-09-22 16:06수정 :2016-09-22 16:15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9개 학교 중 7개 학교 미달…5개 학과엔 지원자 0명 정부가 올해부터 시행한 ‘평생교육 단과대학’(평단)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이 2017학년도 신입생 모집에 나섰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 평단 지원자 수가 모집정원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입시업체인 종로학원하늘교육이 낸 ‘2017학년도 평단 원서접수 결과’ 현황을 보면, 평단사업에 선정된 대학 9곳 가운데 인하대(0.89대 1), 서울과기대(0.78대 1), 한밭대(0.7대 1), 부경대(0.66대 1), 동국대(0.38대 1), 제주대(0.32대 1), 대구대(0.15대 1) 등 7곳이 평단 모집정원보다 지원자 수가 적었다. 명지대(1.35대 1)와 창원대(1.11대 1) 2곳만이 미달사태를 면했다. 대구대의 지역평생교육학과, 사회적기업·창업학과, 도시농업학과, 재활특수교육학과, 제주대 재직자전형 실버케어복지학과 등 5개 학과에는 한 명도 지원하지 않았다. 평단 사업은 고졸취업자와 30살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을 대학 내 단과대학(학부)에서 시행한다는 내용이다. 이 사업을 둘러싼 논란은 최근 ‘미래라이프단과대학’ 설립을 추진하다 무산된 ‘이화여대 사태’에서도 불거진 바 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253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추석 때 받은 아이들 용돈, 뺏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추석 때 받은 아이들 용돈, 뺏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등록 :2016-09-20 21:02수정 :2016-09-20 21:0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양선아 기자의 베이비트리] 아이 용돈 교육 잘하면 마음 부자로도 키운다 비영리 사단법인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에서 제공하는 용돈 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 아이들이 용돈기입장 쓰는 법을 포함한 용돈관리법에 대해 배우고 있다.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제공 비영리 사단법인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에서 제공하는 용돈 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 아이들이 용돈기입장 쓰는 법을 포함한 용돈관리법에 대해 배우고 있다.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제공 “엄마, 이번 추석 때 받은 돈은 내 마음대로 써도 되지? 내가 사고 싶었던 장난감 다 살 거야. 아이~ 신나~.” 김나영(41·서울 마포구)씨의 아들 태훈(8)이가 싱글벙글 웃으며 말한다. 태훈이는 추석에 할아버지에게 5만원, 큰아버지에게 5만원, 이모들에게 3만원을 받아 총 13만원이라는 거금이 생겼다. 김씨는 아이의 말에 어떻게 답해야 할지 고민이 됐다. 태훈이가 더 어릴 때는 어른에게 용돈을 받으면 거리낌없이 엄마에게 주었다. 김씨는 그 돈을 아들 이름의 통장에 차곡차곡 저금했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이 있듯이 아이가 받은 용돈을 모아 나중에 아이 대학등록금으로 쓸 계획이었다. 물론 아이 통장에 넣지 않고 가끔은 김씨가 장보는 데 돈을 쓰기도 했다. 그런데 아들이 이제는 어른들이 준 돈을 자신의 돈이라고 주장하고 나서니 약간 당황스럽다. 김씨는 “엄마가 네 통장에 저금할 테니 그 돈을 달라고 할지, 아니면 아이에게 돈을 사용할 권한을 줄지 아직 결정을 못 내렸다”고 말했다. “돈 다룰 줄 아는 경험 있는 어른으로” 다수의 어린이 경제교육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면, 아이가 지폐와 동전의 가치를 구별하고 물건을 살 때 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아는 단계라면 용돈 교육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대략 그 시기는 이르면 만 4~5살이고, 늦어도 초등학교 입학한 뒤부터는 용돈 교육을 시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용돈 교육이란, 부모가 아이에게 일정한 돈을 정기적으로 주고 그 돈을 아이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용돈 관리를 통해 수입, 지출, 저금, 기부, 소비, 투자 등의 경제적 개념을 아이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미국의 개인자산관리 인기 칼럼니스트 론 리버는 에서 “용돈의 가장 큰 장점은 인내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이라며 2011년 뉴질랜드에서 진행된 한 연구를 소개한다. 돈 가치 아는 경제적 개념은 기본 참을성, 호기심, 균형감까지 이르면 만 4~5살부터 시작 너무 적게 줘도, 너무 많아도 탈 처음엔 하루에 한번 주다가 점차 기간 늘려 주 2회, 주 1회 등으로 계약서 작성하고 기입장 쓰게 확인하되 문책하지 않아야 시험성적이나 함께해야 할 집안일엔 추가용돈 보너스 주지 말아야 명절·생일 등 특별한 날 목돈은 전액 통장 넣고 스스로 관리하도록 당시 1000명의 출생부터 32살까지를 추적 연구했더니, 어린 시절 자제심이 부족했던 사람들은 자제심이 많았던 사람들에 비해 저축도 덜 하고 집이나 주식을 소유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용상의 문제도 많았다. 연구진은 이 연구를 통해 어린 시절 자신이 속한 사회적 계층이나 지능지수보다 자제심의 유무를 통해 성인이 되었을 때의 금전적 문제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론 리버는 “용돈 교육은 부모가 아이를 15~20여년 동안 돈을 다루어본 경험이 있는 어른으로 키워낼 기회”라고 말한다. 그는 또 돈의 가치를 이용해 아이에게 참을성, 겸손, 관대함, 호기심, 균형감 같은 덕목을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태훈이 어머니도 올 추석 때 아들이 받은 용돈을 본격적인 용돈 교육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나이별로 규모와 쓰임새 정해야 아이에게 언제 얼마를 주고 어떤 방식으로 용돈 교육을 해야 할까? 일본의 금융교육 전문가 사카키바라 세쓰코는 에서 “용돈을 너무 적게 주면 앞으로의 즐거움이나 목적을 위해 돈을 모으는 습관을 기를 수 없고, 너무 넉넉히 주면 아껴 쓰고 절약하는 마음을 키울 수 없다”고 말한다.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에서 용돈 교육을 꾸준히 해온 정민주 금융교육 강사는 연령별로 적절한 용돈의 규모와 용돈 쓰임새를 정할 것을 권한다. 6~7살 정도의 아이라면 처음에는 매일 100원씩 돈을 주고 절약하는 습관과 참는 습관을 길러준다. 매일 100원씩 모아 일정 돈이 모이면 일정 금액을 저금한 뒤, 나머지 돈으로 아이는 원하지만 엄마가 잘 사주지 않는 과자나 학용품, 장난감 등을 살 수 있도록 허용한다. 처음에는 용돈을 하루에 한번 주는 것부터 시작해서 주 2회, 주 1회, 2주에 1회로 간격을 늘려나간다. 초등학교 1~2학년 정도가 되면 주 2회를 주되 한 번에 500~1천원 범위가 적당하며, 초등학교 4학년 정도가 되면 일주일에 2천~3천원이 적절하다. 초등학교 6학년까지는 한 주당 용돈이 5천원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정 강사는 “아이에게 용돈을 주기로 했다면 아이와 충분히 의견을 나누고, 용돈 계약서를 반드시 작성하라”고 말한다. 계약서에는 용돈 액수와 시기, 저축 비율을 포함한 사용 범위, 추가 용돈 받는 방법, 그 외 용돈과 관련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반드시 명시한다. 용돈을 주면 반드시 일정 액수를 저금할 수 있도록 하되, 저축 비율은 받은 금액의 50% 이하로 정한다. 또 용돈기입장을 작성하고 부모가 확인한다는 사실도 명시한다. 단, 부모는 용돈기입장을 확인하되 어디에 썼는지는 추궁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부모가 사용처를 꼬치꼬치 따지기 시작하면 아이는 용돈을 사용한 이유를 솔직하게 적지 않고,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설이나 추석 등 특별한 날 아이가 친척들로부터 받은 목돈은 아이 통장에 전액 넣어주고 통장은 스스로 관리하도록 하는 게 좋다 한겨레 자료사진 설이나 추석 등 특별한 날 아이가 친척들로부터 받은 목돈은 아이 통장에 전액 넣어주고 통장은 스스로 관리하도록 하는 게 좋다 한겨레 자료사진 부모가 사줘야 할 것과 용돈으로 사게 할 것 부모가 용돈을 주기 시작하면 아이를 위한 물건을 살 때마다 ‘용돈도 주는데 이것을 내가 사줘야 하나’라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부모가 아이에게 용돈을 주는 목적은 인내심을 가르치고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다. 따라서 기본 학용품이나 책 등은 부모가 사주되, 아이가 자신이 좋아하는 샤프펜슬이나 꼭 필요하지 않은데 자신이 원하는 학용품, 장난감, 친구 생일 선물 등을 스스로 용돈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아이가 5천원 이상의 고가의 장난감을 갖고 싶어하거나 자신이 원해서 피자나 치킨 등 외식을 하고 싶어하면 비율제를 적용한다. 부모와 아이가 6 대 4나 7 대 3의 비율로 비용을 분담하는 것이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에게 시험 점수를 높이면 용돈을 올려주겠다거나 집안일을 도우면 용돈을 주겠다는 식으로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부에 관련된 것이나 자기 방 치우기, 가방 챙기기, 책 읽기, 장난감 정리와 같이 스스로를 위해서 하는 것에 대해 용돈을 추가로 지급해서는 안 된다. 집안일 역시 마찬가지다. 설거지나 방 청소 같은 가족 모두가 함께해야 할 일에 추가 용돈을 지급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정 강사는 추가 용돈을 지급해도 좋을 일은 아이 스스로 ‘조금 힘들구나’라고 느낄 만한 것이어야 한다고 못 박는다. 실내화 빨기, 구두닦기, 엄마 아빠가 요청한 신문 스크랩, 분리수거 날에 맞춰 재활용 쓰레기를 버리는 분리수거책임제, ‘일요일 대청소 전담’ 등 집안일 전담제, 전기 절약 등이 추가 용돈 지급이 가능한 일들이다. 추석 때 친척들로부터 받은 목돈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아이들에게는 “이것은 너무 큰 돈이고, 나중에 네가 꼭 필요할 때 써야 한다”고 말하고 아이 통장에 전액 넣어준다. 이때 반드시 아이가 통장을 스스로 관리하도록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이면 일정 부분은 아이에게 떼어주고 아이 스스로 저축하고 통장을 관리하도록 한다. 용돈기입장을 쓰는 것도 중요하다. 초등학교 1~2학년에게는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 정도만 기록하도록 한다. 거스름돈 계산이 어려워 기록 자체를 싫어하는 아이도 있기 때문이다. 결산을 포함한 제대로 된 용돈기입장은 3학년 이상부터 꾸준히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1945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서울시, 도시철도 내진보강 200억↑…대피시설 위치제공 앱 개발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서울시, 도시철도 내진보강 200억↑…대피시설 위치제공 앱 개발 등록 :2016-09-23 11:06수정 :2016-09-23 22:1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공공건축물·도로시설물 등 내진성능평가와 공사…2020년까지 5480여억 다음 달 19일 시민 참여 지진대피훈련 경주 지진피해 지역에 복구비 3억원 지원 서울시가 도시철도 내진보강공사에 200억원을 더 쓴다. 지진이 나면 대피할 위치도나 행동요령 등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한다. 서울시는 23일 지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6월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세웠지만, 지난 12일과 19일 경주 인근에서 발생한 지진 관련해 내용을 보강하기로 했다. 보강하는 주요 내용은 시민 이용이 많은 시설물의 내진 보강 강화, 정보 전달 체계 강화, 체험형 훈련과 교육 확대 등이다. 이용객이 많은 도시철도 내진보강 공사에 내년도 예산 2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한다. 1~4호선 53.2㎞ 구간의 내진 설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서울시는 2020년까지 도시철도, 공공건축물, 도로시설물, 학교시설, 하수처리시설 등에 5480여억원을 들여 내진성능평가와 내진보강을 할 예정이다. 내진율이 26.8%뿐인 민간건축물은 중앙 정부와 협의해 재산세와 취득세 감면 등을 추진한다. 행정자치부는 내진 설계 의무가 없는 건축물을 내진 보강할 경우 취득세와 재산세를 감면하는 방안을 지난 21일 발표했다. 다음 해 상반기까지 지진 관련 정보를 파악하기 쉬운 ‘서울안전앱’(가칭)을 개발한다. 지진 발생정보, 시민 행동요령, 대피시설위치도 등을 제공한다. 이번 경주 일대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났지만 시민들은 대피시설이 어딘지 알 수 없다는 지적이 일었다. 지진 합동훈련도 한다. 다음 달 19일 오후 서울 강동구 고덕 3단지 재건축 단지에서 시민 3400여명이 참가하는 합동훈련을 한다. 지진 규모 6.8이 발생했을 상황을 가정해 대피, 구조 연습을 한다. 지진을 경험하지 못해 두려움이 큰 만큼 미리 지진을 체험해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도 늘린다. 동작구 보라매 시민안전체험관과 광진구 광나무 시민안전체험관, 소방서 안전체험교실 7개소와 체험차량에서 규모 5.0~7.0의 지진을 체험해볼 수 있다. 서울시는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를 통해 경주 등 경북 지진피해 지역에 재해복구비 3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431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납 농구공, 중금속 각시탈…초등 학습교구 72% 유해물질 초과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사회일반 납 농구공, 중금속 각시탈…초등 학습교구 72% 유해물질 초과 등록 :2016-09-22 16:50수정 :2016-09-22 16:58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초등학교 체육 시간에 사용하는 공과 계주용 바톤 등에서 기준치의 최대 20배에 이르는 납이 검출되고, 환경호르몬은 최대 312배 초과 검출되는 등 초등학생들의 학습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돼 있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민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여성환경연대, 발암물질 없는 사회만들기 국민행동 등 시민단체들과 함께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체육교구 24개 제품과 학습교구 11개 제품 등 총 35개 제품에 대해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수치를 조사한 결과, 72%인 25개 제품에서 중금속인 납은 어린이제품 공통안전 기준보다 최대 20배,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는 최대 312.7배 초과 검출됐다고 22일 밝혔다.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25개 제품은 모두 폴리염화비닐(PVC) 소재로 만들어졌다. 조사대상이 됐던 농구공 6개 제품 중 절반인 3개에서 중추신경계 교란물질인 납이 대량 검출됐다.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 유해물질공통안전기준이 허용한 납의 검출 허용치는 300ppm(1㎏ 중 300㎎)이지만, 3개 농구공에서는 기준을 훌쩍 초과해 4181~6007ppm이 검출됐다. 미니축구공에서는 5004~5114ppm이, 배구공에서는 1148ppm이 검출됐고, 계주 바톤에서는 색깔별로 1642~2670ppm이 검출됐다. 내분비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프탈레이트의 안전기준은 0.1%(1㎏ 중 1000㎎)이지만, 조사대상이 된 6개 농구공 중 5개 농구공에서 프탈레이트가 15.23~31.27% 검출됐다. 최소 152배에서 최대 312배 기준치를 초과한 것이다. 배구공 한 제품에서는 268배, 야구 글러브 한 제품에서는 116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가 검출됐다. 얼굴에 쓰는 학예회용 각시탈과 하회탈 등 탈 제품 4종에서는 최소 14배에서 최대 18배의 프탈레이트가 검출됐다. 초등학생들의 체육교육에 사용되는 체육교구에서 유해물질이 대량으로 검출된 원인은 체육용품이 성인도 사용하는 범용기구란 이유로 유해물질 관리가 안 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부터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이 시행되면서 산업통상자원부는 13살 이하 어린이가 사용하는 제품은 ‘유해물질 안전기준’이 적용된 케이씨(KC) 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농구공과 배구공 등은 학교를 비롯한 교육현장과 체육시설에서 어린이들이 사용하지만 어린이제품으로 분류되지 않아 규제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김민기 의원은 “학교에서 사용 중인 체육교구와 학습교구가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에 심각하게 노출된 것이 확인된 만큼 정부의 철저하고 적극인 조사와 관리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271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새누리당, 김재수 해임건의안 방어용 ‘변종 필리버스터’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새누리당, 김재수 해임건의안 방어용 ‘변종 필리버스터’ 등록 :2016-09-24 09:24수정 :2016-09-25 13:4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대정부질문 답변 나선 총리·장관 장광설 답변 ‘시간끌기’ 한밤 본회의장 단상 점거 “저녁밥 먹고 하자” 요구로 정회도 야당이 낸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처리가 예정된 23일, 국회는 해임건의안 표결을 막으려는 새누리당의 집요한 ‘지연 작전’에 밤늦게까지 진통을 겪었다. 특히 해임건의안 표결에 앞서 진행된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황교안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이 평소보다 장황한 답변으로 여당의 시간끌기에 동참하는 이례적인 풍경이 연출됐다. 급기야 새누리당은 저녁 8시께 “저녁밥을 먹고 하자”며 본회의장 단상까지 점거했다. 여소야대 구도 속에 여당과 총리, 장관까지 동참한 ‘변종 필리버스터(의사진행방해)’로 이날 대정부질문은 심야까지 진행됐다. 앞서 이날 오전 10시부터 예정돼 있던 대정부질문은 오전 9시부터 시작한 새누리당 의원총회가 계속되면서 결국 오후 2시로 미뤄졌다. 대정부질문 답변자로 나선 국무위원들은 평소보다 긴 답변으로 일관했다. 국회법상 질문자인 국회의원의 발언시간은 15분으로 정해져 있지만 국무위원 답변시간에는 제한이 없다. 이 때문에 전날까지 의원별로 30분 안팎에서 끝났던 대정부질문 시간은 한없이 늘어졌고, 정우택 새누리당 의원의 경우 질문은 짧게 하고 황 총리의 긴 답변을 듣는 방식으로 55분을 끌기도 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은 이날 저녁 7시51분 대정부질문이 진행중인 본회의장 단상으로 올라가 “국무위원들과 여당 의원들이 저녁식사를 못하고 있다”며 30분간 정회를 요구하기도 했다. 30분 가까운 소동 끝에 정세균 국회의장은 결국 9시까지 정회를 선포해야 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를 방해하려는 꼼수”라고 비판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저녁 8시30분 정회 뒤 기자들과 만나 “국무위원 밥을 가지고 의사진행을 방해하는 여당은 처음 봤다”며 “국민들이 다 보고 있는데 정치적 품격이 있으면 좋겠다. 참 아이디어가 궁색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도 “대통령 눈치 보느라 총리, 장관 등 국무위원들마저 필리버스터를 하는 행태는 우리 역사상 박근혜 정부가 처음이다.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김남일 송경화 기자 namfic@hani.co.kr [언니가 보고있다 #34_‘친구 없는 사람’의 ‘동네 친구’, 최순실] IFRAME: https://w.soundcloud.com/player/?url=https%3A//api.soundcloud.com/track s/284239509&color=ff5500&auto_play=false&hide_related=false&show_commen ts=true&show_user=true&show_reposts=false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530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진보냐 보수냐” 경기도 황당 면접에 인권위 조사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진보냐 보수냐” 경기도 황당 면접에 인권위 조사 등록 :2016-09-21 16:35수정 :2016-09-21 17:3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최종 면접서 정치성향 직접 추궁 지원자 “차별 행위” 진정…도 “면접관 전문성 강화할 것” 경기도 산하기관인 평생교육진흥원이 직원 채용을 위한 최종 면접 과정에서 응시생의 정치적 성향을 추궁하는 질문을 한 것으로 드러나 국가인권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다. 21일 경기도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7월13일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 정규직 공채 과정에서 김아무개 지원자가 “진보인지 보수인지 말해달라” 등의 질문이 오간 최종 면접을 거친 뒤 결국 탈락했다. 당시 김씨는 면접관인 ㅎ위원(ㅁ리서치 부장)이 대놓고 정치적 성향을 묻는 질문에 “굳이 따지자면 진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고, 이에 ㅎ위원으로부터 “왜 진보라고 생각하는지 말해달라”고 재차 추궁하는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이날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은 산하 사업단인 지무크(G-MOOC·단장 윤여준) 추진단에서 일할 4급(서기관급) 1명과 5급(사무관급) 4명을 뽑기 위해 지원자 20명을 상대로 최종 면접을 진행 중이었다. 면접에는 문아무개 지무크 추진단 본부장 외에 4명의 외부 위원이 참가했다. 남경필 경기지사의 공약인 지무크는 쌍방향 온라인 교육강좌 사업으로, 지무크 추진단장에 국민의당 창당을 도왔던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 임명되어 눈길을 끌었다. 지원자 김씨는 탈락 이후 “채용 과정에서 직업 자격의 검증과 무관한 질문을 하는 것은 차별적 행위”라며 국가인권위에 진정했다. 경기도는 채용 논란이 일자 “심사위원과 수험생 사이에 지무크 참여 콘텐츠 중 정치적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는 대화 중에 이러한 질문이 나온 것으로 안다”며 “면접 심사시 차별 등 불공정 질문을 하지 않도록 서약서를 작성했는데 앞으로 면접관 전문성 강화와 사전교육을 철저히 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인권위는 경기도 평생교육진흥원에서 면접시험 자료 등을 제출받아 조사를 벌이고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063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틔움교실'·'아주 사소한 고백' 등 청소년 맞춤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현대해상 현대해상은 지난 7월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에 현대해상 도서관 ‘마음심(心)터’를 개관했다. 현대해상은 지난 7월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에 현대해상 도서관 ‘마음심(心)터’를 개관했다./현대해상 제공 2012년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사회공헌팀'을 신설한 현대해상은 아동,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활동을 중점적으로 펼치고 있다. 먼저 '소녀, 달리다' 프로그램은 서울지역 50여개 초등학교에서 3~6학년 여학생 40여명을 대상으로 달리기를 접목한 인성교육을 실시한다. 매 학기 수업 말미에 운영되는 '달리기축제'는 4.21㎞를 완주한 소녀들이 아프리카의 소녀들에게 보낼 선물을 고르게 함으로써 달리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사회공헌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아주 사소한 고백'은 학교폭력, 학업 스트레스 등 청소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고민을 말할 곳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교육부 및 (재)푸른나무청예단과 함께 2012년부터 진행해온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청소년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민을 이야기하고 상호 공유함으로써 마음의 치유를 받게 된다. 아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인 '틔움교실'은 청소년 인성전문 교육기관 (사)밝은청소년과 손잡고 상대적으로 인성교육을 받을 기회가 부족한 아동양육시설 소속 아동들을 대상으로 맞춤 인성교육 프로그램이다. 아동들은 인성 전문 선생님으로부터 1년에 걸쳐 교육을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자존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미래를 설계해보는 기회를 갖게 된다. 한편 현대해상은 2013년 2월부터 세계적인 비영리단체 '아쇼카'와 사회적 기업가 후원 파트너십을 맺고 아쇼카 한국지부의 창립파트너로 참여한 이후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아쇼카는 미국 워싱턴DC에 본부를 둔 국제 비영리 조직으로 1980년 설립된 이래 전 세계 70여개국에서 약 3000명의 사회 혁신가들을 '아쇼카 펠로우'라는 이름으로 발굴 및 지원하는 세계 최대 사회혁신가 네트워크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선발된 한국 아쇼카 펠로우는 총 7명이며 올해 3명의 신규아쇼카 펠로우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밖에도 현대해상은 미취학 아동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2015년부터 어린이 교통안전 뮤지컬과 음악대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 직원과 직원 가족이 참여하는 'Hi-Life 패밀리 봉사단'은 국립공원과 하늘공원 일대에서 나무를 심는 '희망 한 그루', 독거노인 어르신들께 전달하는 '사랑의 도시락' 만들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583만가구 지역 건보료, 내년 월평균 2만원 인하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여당 불참 속 김재수 해임안 표결 돌입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정치국회·정당 여당 불참 속 김재수 해임안 표결 돌입 등록 :2016-09-24 00:41수정 :2016-09-24 00:52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정세균 의장, 23일 밤 11시57분 대정부질문 중단 선언 24일 0시18분 본회의 개회, 해임안 상정 새누리당 집단 퇴장 속 야3당 표결 참여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상정·표결을 막기 위한 새누리당과 국무위원들의 국회 대정부질문 시간끌기가 정점으로 치닫던 23일 밤 11시57분. 강은희 여성부 장관의 긴 답변을 끊고 정세균 국회의장이 “자정이 가까워져 차수를 변경한다”며 본회의 산회를 선포했다. 마지막 질문자로 나서 국무총리, 법무부 장관, 환경부 장관, 교육부총리, 복지부 차관, 여성부 장관까지 답변자로 불러 원론적 질문과 장황한 답변으로 ‘대정부질문 필리버스터’를 1시간30분째 이어가던 이우현 새누리당 의원이 허에 찔린 듯한 표정을 지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 여당 의원들은 일제히 자리에서 일어나 단상 앞으로 몰려갔다. 정 원내대표는 “부끄러운 줄 알라. 헌정사에 치욕적 오점을 남기는 독재적 날치기 의장입니다”라고 소리쳤다. 정 의장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24일 0시가 되자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의 출석은 어제까지였다. 돌아가셔도 좋다”며 대정부질문을 종료시켰다. 여당의 시간끌기에 동참했던 황교안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은 바로 일어서지 않고 자리를 지켰다. 그새 여당 의원들은 “민주주의 파괴한 정세균은 물러나라!”고 연호했다. 정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석 바로 밑에서 “부끄러운 줄 알아!”라고 소리쳤다. 20분 동안 소란을 피우던 새누리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에서 집단 퇴장하자, 정 의장은 새벽 0시18분 차수 변경한 본회의를 개회하고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을 상정한 뒤 곧바로 무기명 투표에 부쳤다. 정 의장은 “의사진행과 관련해 국회법을 검토했고 국회법 절차에 따라서 의사진행을 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 원내대표는 본회의장을 나온 뒤 취재진에게 “정 의장과 더불어민주당은 오늘 저지른, 헌정사상 유례 없는 비열한 국회법 위반 날치기 처리에 대한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협치는 끝났다”고 했다. 국회법에 따라 본회의는 하루 1회만 열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자정을 넘겨서라도 처리해야 할 안건이 있을 경우 차수를 바꿔 새로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 지난해 12월2일 밤 11시58분, 당시 정의화 국회의장은 예산안 처리를 위해 본회의 산회를 선포하고 차수를 변경한 뒤 이튿날 새벽 본회의를 열어 예산안을 처리한 바 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politics&kisano=762524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맛있는 교육정보] 올림피아드교육, 창업 프로젝트 설명회 外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올림피아드교육, 창업 프로젝트 설명회 플립러닝 기반의 '말하는 수학' 유투엠을 운영하는 올림피아드교육이 10월 7일(금) 오전 10시 30분 밀레니엄 서울 힐튼호텔 주니어볼룸에서 창업 지원 프로젝트 설명회를 연다. 설명회에서는 20억 규모의 유투엠 창업지원금 대상과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고, 서울지역 가맹범위 확대 등 플립러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공개한다(예약 필수). ●문의: 1899-0949 창의영재 코딩교육 단기집중반 모집 조선닷컴 교육센터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의영재 코딩교육 단기집중반(4주 과정) 수강생을 모집한다(선착순 마감). 그 밖에 네덜란드어, 폴란드어, 스웨덴어 Flex 대비반 수강생도 모집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조. ●신청·문의: (02)3701-2922 academy.chosun.com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해외 장학생 42개국 3700여명… 글로벌 문화체험단 1만3000여명… 경제교육 12만6000명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0년 3월 사회복지법인 미래에셋박현주재단을 설립해 소외된 계층과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지원하고 있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사회복지법인 설립은 고객의 부를 키우는 대한민국 대표 투자금융그룹의 역할을 넘어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며 "기업 이익의 사회환원을 실천하며 사회에 대한 기여와 봉사를 통해 소외된 이웃과 더불어 사는 따뜻한 사회를 만드는데 일익을 담당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은 훌륭한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국가와 사회에 책임을 다하는 것이란 믿음으로 장학사업을 펼치고 있다. 국내 장학생 2495명, 해외 교환장학생 3767명, 글로벌 투자전문가 장학생 122명 등 누적 장학생 선발인원이 6300명을 넘었다. 특히 해외 교환장학생 프로그램은 한국의 인재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넓은 세계에서 지식 함양 및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래에셋의 대표적인 사회공헌사업이다. 미국, 캐나다, 유럽 등 선진국부터 중국, 인도, 브라질 등 대한민국의 대학생이 전세계 42개국으로 파견됐다. 초,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미래에셋 우리아이펀드 가입자 중에서 선발, 운용 및 판매보수에서 각 15%씩 적립된 청소년금융기금으로 해외를 방문하여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 대장정 프로그램과 경제적인 어려운 저소득층 어린이들에게 해외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글로벌 문화체험단'을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1만3320명이 참여했다. 아울러 '우리아이 경제교실', '우리아이 경제박사', '우리아이 스쿨투어' 및 '금융인턴십' 등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2만6731명에게 경제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미래에셋그룹은 2012년 7월 교육과학기술부와 함께 교육기부에 앞장서는데 동참하는 MOU를 체결하고 적극적인 인재육성 사업을 진행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1월에는 교육기부 인증마크를 획득하였으며 제1회 교육기부대상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미래에셋의 해외 교환장학생 프로그램은 한국의 인재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넓은 세계에서 지식 함양 및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래에셋의 대표적인 사회공헌사업이다. 미래에셋의 해외 교환장학생 프로그램은 한국의 인재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넓은 세계에서 지식 함양 및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래에셋의 대표적인 사회공헌사업이다./미래에셋자산운용 제공 미래에셋은 경제적 양극화 현상과 가정의 해체 등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은 어린이, 청소년들이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바른 인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프로그램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희망듬뿍(Book)' 사업을 통해 저소득층 및 도서벽지의 아동과 청소년을 선정, 대상자의 연령대에 맞는 도서를 지원한다. 이는 아동들이 도서관이나 시설에 기증된 도서를 '공유'하는 것이 아닌 가정에서 자기만의 책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불어 열악하고 위험한 시설에 놓인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 환경을 업그레이드 해주는 '희망의 공부방 새단장' 사업과 매년 여름과 겨울 방학을 이용해 청소년들의 비전설계를 지도해주는 '청소년 희망보드 프로젝트'도 실시하고 있다. 미래에셋 측은 사회공헌사업 외에도 나눔 문화 확산에 솔선 수범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박현주 회장은 2010년 배당금 전액을 이 땅의 젊은이들을 위해 사용하겠다고 약속, 지난 6년간 약 184억원을 기부했으며, 2011년 11월부터 미래에셋그룹 임원들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천과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매달 급여의 1%를 솔선수범하여 기부하는 '미래에셋 1% 희망나눔'에 동참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인의 기부액만큼 회사에서 동일한 금액을 기부하는 매칭그랜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렇게 조성된 기부금은 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비 지원, 공부방 시설 개보수 등 사회복지사업에 사용된다. 미래에셋 임직원으로 구성된 미래에셋 봉사단은 54개의 아동보육, 장애인, 노인시설 등 다양한 사회복지시설과 연계하여 김장나눔, 연탄 후원 등 정기적인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고객의 부 증대에 기여한다는 금융기업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며 "'돈을 벌고 난 이후'가 아니라 '돈을 벌면서' 우리 사회와 함께 가겠다는 신념 아래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희망나눔은 계속 될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사회를 더 따뜻하게… 미래의 희망을 위해…금융권, 사회공헌 활발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KB금융그룹 미래사회의 주역 청소년·다문화 사업에 중점 대학생 멘토·장애청소년 멘티 KB희망캠프가 대표적 3년간 400여명에 꿈 찾아줘 KB청소년음악대학 KB레인보우사랑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주요 금융기관들은 저마다 특색 있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KB금융그룹은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과 '다문화' 사업에 중점을 둔 사회공헌활동을 펼치는 것이 특징이다. KB금융그룹의 대표적인 사회공헌은 'KB 희망캠프'다. 대학생 멘토와 장애청소년 멘티가 한 팀을 이뤄 다양한 진로 탐색과 체험 활동, 그리고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장애 학생 스스로 진로를 설정,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3년부터 2015년 까지 3년동안 약 400여명의 장애청소년들이 각자의 꿈을 찾고 키우는 기회를 가졌으며 올해에도 120명의 장애청소년들이 참여하고 있다. KB희망캠프를 통해 미래의 꿈을 이룬 사례도 나오고 있다. 보석 디자인에 관심이 있던 청각장애인 이소현(22) 씨는 2014년에 KB희망캠프를 통해 다양한 체험을 하면서 자신의 재능을 개발했고 2015년에 희망하던 주얼리 회사에 취업했다. 이후 KB희망캠프에서 받은 도움을 후배들에게 돌려주고 싶어 2015년에는 멘토로 KB희망캠프에 다시 참여하여 청각장애가 있는 중학교 3학년 후배에게 그간의 경험을 나눠주기도 했다. 또 지체장애 1급인 김경휘(18) 군은 성우의 꿈을 키우던 중 KB 희망캠프를 통해 방송국 방문 기회를 얻게 됐다. 성우들이 활동하는 생생한 현장을 체험하고 직접 마이크 앞에도 설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김 군은 "성우선생님 앞에서 직접 원고를 읽고 조언을 받는 소중한 경험을 통해 미래에 대한 더욱 확실한 목표를 그릴 수 있게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KB청소년음악대학'은 음악에 대한 재능과 꿈이 있는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수준높은 음악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각 지역별 6개 대학교(강원대학교, 경상대학교, 나사렛대학교, 상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조선대학교)와 연계하여 전국에서 선발된 소외 청소년 120명에게 음악교육을 지원한다. 2013년 8월부터 시작됐으며 음악적 재능이 뛰어나지만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수준 높은 예술교육과 인성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KB금융그룹 측은 "수혜학생 중 많은 수가 예술고등학교에 진학하고 전국단위 음악대회에서 우승 또는 입상하고 있으며, 특히 2016년에는 7명의 학생이 음악대학교에 진학하는 등 소외청소년의 예술적 잠재력 성장과 자아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기관들의 사회공헌활동은 꽤 적극적이다. 고객의 재산을 불린다는 가장 자본주의적인 분야에서 수익을 추구하지만 사회에 대한 기여와 봉사를 잊지 않는다. 바로 ‘따뜻한 자본주의’의 실천이다. 주요 금융기관들의 사회공헌활동을 모았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대신증권의 이화영아원 방문, KEB하나은행의 어린이 미술대회 개최, 한국투자증권의 도서벽지 어린이 서울체험, 한화생명의 지역사회 맞춤형 봉사활동, 현대해상의 교통안전 음악대회, 그리고 KB금융그룹의 ‘KB 희망캠프’ 모습. 금융기관들의 사회공헌활동은 꽤 적극적이다. 고객의 재산을 불린다는 가장 자본주의적인 분야에서 수익을 추구하지만 사회에 대한 기여와 봉사를 잊지 않는다. 바로 ‘따뜻한 자본주의’의 실천이다. 주요 금융기관들의 사회공헌활동을 모았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대신증권의 이화영아원 방문, KEB하나은행의 어린이 미술대회 개최, 한국투자증권의 도서벽지 어린이 서울체험, 한화생명의 지역사회 맞춤형 봉사활동, 현대해상의 교통안전 음악대회, 그리고 KB금융그룹의 ‘KB 희망캠프’ 모습./KB금융그룹 제공 다문화 아동 지원프로그램으로는 'KB 레인보우 사랑캠프'와 'KB스타비 꿈틔움 다문화 멘토링' 등이 있다. 'KB 레인보우 사랑캠프'는 KB의 사회공헌 핵심분야인 청소년·다문화 가정에 대한 경제금융교육 및 다양한 문화 체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시작된 사회공헌 활동이다. 올해는 지난 5월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에서 다문화 가정 어린이 210명과 KB금융그룹 임직원 봉사자 등 총 5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캠프가 열렸다. 참가 어린이들은 첫날 경제금융에 대한 기초지식을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체득하는 시간을 보냈으며, 둘째날에는 KB의 임직원과 1대1로 매칭되어 마술공연 관람 및 다양한 놀이기구 체험 등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냈다 'KB스타비(飛) 꿈틔움 다문화멘토링'은 대학생 봉사자가 다문화 가정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글 교육과 학습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초등학생은 1대2, 중·고등학생은 1대1 멘토링을 통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학습을 도와주고 있다. 또 개별 및 그룹별 문화체험활동 지원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 문화 체험을 돕고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개선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으며, 연간 10가족, 40여명의 다문화 가족의 모국방문 지원을 통해 다문화 가족의 소통과 화합을 지원하고 있다. 'KB스타비(飛) 꿈틔움 다문화멘토링' 의 스타비(飛) 멘토는 전국 40개 지역아동센터 인근에 소재한 대학 및 대학원 재(휴)학생 중에서 선발되어 6개월간 활동하게 되며, KB국민은행에서는 장학증서 및 장학금, 학습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확인증을 발급해 주고 있다. KB금융그룹 관계자는 "국내 대표 금융그룹으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완수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가장 존경 받는 기업시민'을 목표로 진심과 최선을 다해 이웃에게 다가가는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 나가겠다"면서 "앞으로도 핵심 분야인 '청소년'과 '다문화'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KB만의 사회공헌 모델을 정립하고 KB금융그룹의 사회공헌활동이 국민의 경제적 지위향상과 건강한 금융생태계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착한도서관서 책 읽는 착한 목소리… 시각장애인 위한 오디오 콘텐츠 제작 * 박정욱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SC제일은행 ‘SC제일은행 착한도서관프로젝트’는 일반인들의 목소리 기부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이다. ‘SC제일은행 착한도서관프로젝트’는 일반인들의 목소리 기부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이다./SC제일은행 제공 SC제일은행은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사회공헌활동 장려를 위해 매년 이틀간의 유급 자원봉사 휴가를 제공하고 있다. 임직원 주도의 사회공헌 활동을 '쉐어앤케어(Share & Care)'로 명명, 매달 환경·교육·여성 등을 주제로 유관 NGO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다각적인 봉사활동을 진행 중이다. 구세군자선냄비본부와의 '시각장애인 점자확충사업'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 정보 단말기 보급, 일반 도서 문자화를 통한 컨텐츠 접근성 개선사업 등을 진행한 바 있다. ㈔전국재해구호협회와는 '희망T캠페인'을 펼쳐 전 세계 기후난민 어린이에게 희망T 및 영양결핍치료식을 전달했고, ㈔사랑밭과는 '사랑의 배냇저고리' 캠페인으로 미혼모 및 저소득가정 신생아를 위한 배냇저고리 제작활동을 펼쳤다. 특히 일반인들의 목소리 기부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는 'SC제일은행 착한도서관프로젝트'는 여행책, 영화, 미술작품 및 서울시 문화재 100선 묘사, 시각 장애 청소년을 위한 경제교육 등을 주제로 현재까지 총 1050종의 새로운 오디오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 기부했다. 또 2만1400부 이상의 오디오북과 점자책 역시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를 통해 전국의 모든 맹학교와 시각장애인 단체·기관에 기부했다. 올해 진행된 'SC제일은행 착한도서관프로젝트 시즌5'는 시각장애 청소년을 위한 경제교과서 제작을 목표로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진행됐다. 금융감독원의 금융교육 표준안을 바탕으로 경제교육 전문가, 시각장애인 유관단체와 협의를 거쳐 초, 중학생에게 꼭 필요한 150개의 경제교육 키워드를 선정했으며, 시각장애 청소년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135개의 동화형 콘텐츠와 ATM, 화폐 등 금융관련 사물이나 기기를 설명하는 15개의 묘사형 콘텐츠를 개발해 경제와 생활금융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구성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1대 다수' 소통 돕는 온라인 청중 응답 시스템 제공 * 김세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아이티앤베이직 '심플로우' 요즘 각광받는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은 소통을 중시하는 학습 방식이다. 일방적 강의 대신 학생들이 교사나 다른 학생들과 묻고 답하며 지식을 쌓는다. 이 과정에서 활용되는 질문하기·듣기·설문·발표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온라인 청중 응답 시스템 심플로우(symflow)를 개발·서비스 하는 ㈜아이티앤베이직이 이 같은 내용에 대한 교사·교수 연수를 스마트교육학회·광운대·광주대 등에서 최근 진행했다. 심플로우는 질문하기·설문 응답·발표 자료 보기 등 다양한 기능으로 교육 현장에서 1대 다수의 소통을 돕는 시스템이다. 별도 앱 설치나 기계 구매 없이 홈페이지에 로그인하면 사용할 수 있다. 소규모 워크숍 형식으로 열린 이번 연수에서는 심플로우 대표 기능인 ▲학생들이 쉽게 질문하도록 돕는 업플로우 ▲교사가 설문으로 학생의 이해 정도를 실시간 확인하는 다운플로우 ▲자료를 쉽게 공유하는 발표 자료 보기 등으로 효과적 소통을 이끈 다수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동영상을 쉽게 첨부하는 법, 여러 클래스를 동시에 진행하는 법 등 실질적인 팁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현재 심플로우에는 8000여 개의 계정이 생성돼 있다. 주로 초·중·고 교사와 대학교 교수들이며, 최근 삼성전자·LG 인화원·롯데 인재개발원 등 대기업 사내 교육에 활용되면서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민경욱 아이티앤베이직 대표는 "다양한 질문을 하면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정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심플로우는 개인 사용자에게 기본 기능이 포함된 무료 계정을 제공한다. 홈페이지에서 가입하면 유료 요금제인 베이직 서비스를 3개월간 무료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학교·기업·기관은 홈페이지에서 신청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활용법 안내 워크숍을 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symflow.com) 또는 관리자 이메일(ask@itnbasic.com)을 통해 문의 가능하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김영란法 논란' 취업자 학점부여, 특례로 해결한다 * 김연주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0 학칙으로 규정 마련하면 가능 교육부가 각 대학이 학칙으로 특례 규정을 마련하면 취업한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할 수 있다고 26일 밝혔다. 지금까지 많은 대학이 졸업 전 취업한 학생들이 수업에 출석하지 않아도 학점을 줬는데,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부정 청탁'으로 법 위반이라는 논란이 있었다. 교육부는 "고등교육법 시행령은 대학의 성적 관리 사항은 학칙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대학들은 학칙에 정하지 않고 조기 취업 학생들에게 학점을 부여해왔다"며 "학칙으로 조기 취업 학생들에 대한 특례 규정을 만들어 거기에 따라 학점을 부여하면 김영란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단, 학칙에 특례 규정을 둘 때 교육과정이 부실하게 운영되지 않도록 학점 부여 요건, 절차와 충분한 대체·보완 방법을 잘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키워드 정보] 김영란법이란?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일상이 '수학'인 세 친구 "힘 모으니 사고력이 쑥쑥" * 박기석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 수정 : 2016.09.26 11:52 세계수학올림피아드 금상 수상자를 만나다 최근 수학교육은 학생의 창의사고력을 길러주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정부는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을 기본 방향으로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수립, 추진했다. 교육현장에 '거꾸로 교실(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이 도입되는 등 단순한 주입식 교육은 사라지는 추세다. 세계수학올림피아드(WMO·World Math ematical Olympiad)는 트렌드를 한껏 반영한 초중생 대상 수학경시대회다. 이야기 형식의 스토리텔링형 문제, 다방면의 지식을 융합해야 풀어낼 수 있는 융합형 문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수학 이론을 확인하는 실생활 연계 문제 등을 접할 수 있는 대회다. 지난 8월 서울대에서 WMO 세계대회(World Final)가 국내 최초로 열렸다. 이 대회에서 금상을 받은 6인 중 3인에게 수학을 즐기는 방법에 대해 들어봤다. ※참가자 명단(왼쪽부터) ※참가자 명단(왼쪽부터) 강지원(서울 대도초 4)군, 유형린(서울 경인초 6)군, 김민순(서울 을지초 6)군./한준호 기자 Tip 1 생활 속 수학공부로 흥미 붙여라 WMO 세계대회 금상 수상자 3인은 공통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수학 공부를 했다. 학원에서 선행학습, 문제풀이만 하는 학생들에게 시사점을 던져준다. 김민순군은 일곱살 때부터 수학을 주제로 한 책을 꾸준히 읽고 있다. 처음에는 동화책으로 시작했다. 구구단이나 수학 규칙, 명제 등 수학 개념을 쉽게 알려주는 책이었다. 그는 "개념씨 수학나무(그레이트북스)라는 책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며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수학 동화 덕분에 수학에 흥미를 가지게 됐다"고 했다. 수학과 관련한 책을 읽자 단순히 수학 문제를 푸는 것보다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것이다. 유형린·강지원군은 평소 숫자에 관심이 많다. 유군은 선행학습 대신 사고력을 키워주는 수업을 하는 수학학원에 다녔다. 학생이 토론 등을 통해 스스로 개념을 이해하는 게 핵심이다. 교사는 조력자 역할에 집중한다. 유군은 "네 자리 숫자의 비밀번호를 규칙에 맞게 맞히는데 선생님은 힌트만 준다"며 "실생활과 연관된 수학 개념을 스스로 익히면서 경우의 수, 확률 개념을 익혔다"고 했다. 강군은 인터뷰 도중에도 음료수 캔에 적혀 있는 숫자를 관찰할 정도로 수학 공부를 즐겼다. 그는 "주변을 둘러보면 숫자(수학)와 관련돼 있는 게 너무나 많아서 계속 수학공부를 하게 된다"며 웃었다. Tip 2 친구와 공부하면 학습효과 '업' 이들은 WMO가 단체전을 함께 진행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고 언급했다. 친구들과 함께 힘을 합해 문제를 풀면서 학습효과가 높아졌다는 말이다. 개인전, 지필고사로 이뤄지는 대부분의 수학경시대회와 크게 다르다. 특히 WMO는 외국 학생들과 문화교류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세계 각지에서 온 수학 영재들과 함께 교류할 수 있는 기회다. 강군은 "다른 나라 친구들이랑 교류하면서 내 생각을 말할 기회가 있어 좋았다"며 "다른 친구들 생각을 듣고 내 생각을 합하면 더 좋은 생각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았다"고 했다. 올해는 영국, 중국, 캐나다 등 8국 81명이 대회에 참가했다. 대회가 끝나고 중국, 태국에서 온 학생 1명씩 총 2명이 유군의 집에서 홈스테이를 했다. 이들은 식사와 게임을 함께하면서 친교를 나눴다. 김군도 단체전의 장점을 강조했다. "개인전으로 치르는 다른 경시대회는 친구들이 다 적이에요. 그런데 WMO에서는 나랑 같은편이 있으니까 조금 더 자신감이 생기고 혼자가 아니라는 생각 덕분에 마음이 편안해져요. 내가 실수하거나 실패해도 위로해줄 수 있는 친구들이잖아요. 외국 친구들과 영어로 소통하는 게 쉽지는 않았지만 멀리서 온 친구들과 같이 이야기하는 게 신기하고 좋았어요." 지난 8월 서울서 열린 2016 WMO 세계대회 현장 모습. 학생들이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풍성하다. 지난 8월 서울서 열린 2016 WMO 세계대회 현장 모습. 학생들이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풍성하다./조선일보 DB Tip 3 대회 출전하면서 동기 부여해 어느 정도 수학에 흥미가 있는 학생이라면 경시대회에 참가하는 것도 동기 부여에 효과적이다. 객관적으로 자신의 실력을 파악하고 선의의 경쟁을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유군은 4학년 때 WMO 세계대회의 국내 예선대회인 '전국 창의융합수학능력 인증시험'과 '창의적 수학토론대회(CMDF)'에 출전했지만 WMO 진출권은 얻지 못했다. 유군은 노력 끝에 1년 뒤 다시 도전해 결국 WMO 세계대회에서 금상까지 따냈다. 김군이 본격적으로 수학공부에 매진한 것도 경쟁심 덕분이다. 김군은 4학년 때 처음 학원을 다니며 다른 친구들보다 먼저 문제를 풀고 싶다는 마음을 갖고 수업에 집중하게 됐다. WMO에서 금상을 타고 나서 더 큰 꿈도 꾸게 됐다. 그는 "이번에는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앞으로도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강군도 주요 대학이 개최하는 초등생 대상 수학경시대회에 자주 출전했다. 강군은 "WMO는 수학과 관련한 퍼즐, 게임을 통해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어 다른 경시대회보다 더욱 재밌다"고 강조했다. 이들처럼 WMO에 참가하려면 국내 예선과 본선을 거쳐야 한다. WMO의 예선전 역할을 하는 '전국 창의융합수학능력 인증시험'은 오는 10월 23일 전국에서 개최된다. 여기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은 11월 20일 서울대 체육관에서 열리는 '창의적 수학토론대회(CMDF ·Creative Math Debating Festival)'에 나갈 자격을 얻는다. CMDF 성적 우수자는 WMO 아시아대회·세계대회에 출전할 수 있다. 2017 WMO 세계대회는 내년 하반기 중국서 열릴 예정이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임직원 급여 1%씩 모은 '드림펀드' 110억원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삼성화재 삼성화재는 사회공헌 활동 통합 브랜드인 '드림 아이(Dream I)'를 갖고 있다. 손해보험업 고유의 '안전'과 관련된 사업들을 추진하면서'아이'들의 꿈을 이루기 위한다양한 사업을 지속해 나간다는 뜻을 담고 있다는 것이 삼성화재 측 설명이다. '드림아이' 발표와 함께 삼성화재는기존에 진행하던 사회공헌활동의 명칭을 새로운 브랜드에 맞게 변경했다. 급여의1%를기부하여 조성된 기금은 '드림펀드'로, 사회공헌 활동리더들은 '드림서포터'로, 부서별 지속봉사 활동은 '드림쉐어'로 각각 정했다. 또 저소득계층 아이들이 이용하는 낙후된 어린이 놀이공간을 보수·조성하는 '드림놀이터', 교육현장에 꿈을 심어주는 학교숲 조성사업인 '드림스쿨',사회적지원이 필요한 아이들을 부서별로 1명씩 매칭하여 지속적으로 연락하고 후원하는 '1부서1아동 결연사업'등 아이들의 꿈을 이루기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재원은 임직원들의 급여의1%를 모아만든 '드림펀드'다. 드림펀드는2001년9월에시작하여올 8월까지110억4000만원을모아 사회공헌사업에 사용됐다. 삼성화재는 2014년부터세계 최고 권위의 지속가능경영 기업평가지수인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지수에 편입됐다. DJSI 월드지수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 뿐만 아니라 환경적, 사회적 성과를 종합 고려하여 선정된다. 삼성화재 측은 "회사의 경영활동이 사회, 고객, 주주의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고객과 사회에게 안심을 제공하는 손해보험사로서사회적 책임경영을 다하려는 노력의 결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화재는 임직원들 급여의1%를 모아 만든 ‘드림펀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드림펀드는 2001년 9월에 시작하여 올 8월까지 110억 4000만원을 모았다. 사진은 안민수 대표가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한 책장 만들기를 하고 있는 모습. 삼성화재는 임직원들 급여의1%를 모아 만든 ‘드림펀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드림펀드는 2001년 9월에 시작하여 올 8월까지 110억 4000만원을 모았다. 사진은 안민수 대표가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한 책장 만들기를 하고 있는 모습./삼성화재 제공 삼성화재는 자동차 보험과 관련한 교통문화 개선 사업에도 적극적이다. 민간 유일의 교통안전 연구기관인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와 자동차 전문 박물관인 '삼성화재교통박물관'을 중심으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학술활동, 교통안전 정책개발과 제도개선 지원, 계층별 교통안전교육 등 올바른 교통문화 전파에 힘쓰고 있다. 또 교통사고유자녀 지원사업(학자금 지원, 교복 지원 등), RC공헌사업인 어린이 등하교길 교통안전환경을 위한 '해피스쿨'사업 등 손해보험 업의 본질에 맞는 교통문화사업을 대표사회공헌활동을 선정,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밖에 순직경찰유자녀 지원(총 169명) 사업, 순직소방관 유자녀 지원사업,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꿈터공부방 운영 등 지속적으로청소년들의 학업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화재는 장애인들을 위한 사회공헌 사업에도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1995년부터 '안내견학교'를 운영해 온 삼성화재는 올 8월까지 총 188두의 안내견을 시각장애인에게 기증했다. 또 시각장애학생 장학금 지원사업, 장애·비장애 우수통합 학급 시상제도 운영, 장애인 사회적응 훈련 프로그램 및 RC(설계사) 사회공헌사업인 장애인거주환경 개선 프로젝트 '500원의 희망선물' 등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는 사회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08년 10월 교육부 및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와 사회적 협약을 맺고 '청소년 장애인식개선 드라마'를 매년 1편씩 제작, 배포하고 있다. 이 드라마는 매년 전국 5000여 개 중고등학교에서 170만명의 학생들의 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기부전용 사이트 운용 … 소외계층위한 도서관 400여개 구축 * 박정욱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신한카드 지난 9일 서울 마포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정진엽(왼쪽에서 세번째) 보건복지부 장관과 신한카드 김영호 부사장(오른쪽에서 세번째) 등이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참여 업무협약을 맺었다. 지난 9일 서울 마포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정진엽(왼쪽에서 세번째) 보건복지부 장관과 신한카드 김영호 부사장(오른쪽에서 세번째) 등이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참여 업무협약을 맺었다./신한카드 제공 '아름人(아름다운 사람)'이라는 사회공헌 브랜드를 갖고 있는 신한카드는 전국 400여개 '아름인 도서관' 구축, 기부 전용 사이트 '아름인(arumin.shinhancard.com)'과 기부 전용 '아름다운 카드'를 통한 기부문화 확산, 금융경제교육, 사회적 약자인 소외계층 지원, 환경보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신한카드의 사회공헌 대표 프로그램인 '아름인 도서관'은 소외계층 아동에게 친환경 독서 환경과 아동, 청소년 권장도서를 지원함으로써 교육 양극화라는 사회적 문제 해결과 미래 세대 육성을 목표로 지난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전국에 있는 지역아동센터와 종합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총426개의 아름인 도서관을 구축했다. 올 연말까지 450여개의 아름인 도서관을 만들 예정이다. 아름인 도서관은 신한카드의 기부금 외에 임직원과 고객이 모은 성금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고객과 시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아름인 도서 기부 캠페인'을 통해 모아진 책들을 신규 도서로 바꿔 기존 아름인 도서관에 공급하고 있다. 신한카드 임직원들은 아름인 도서관에서 '아름인 금융교실'을 열어 지역 아동들에게 경제 활동의 기본적인 원리 등을 이해하기 쉽도록 가르치는 등 재능 기부에도 앞장서고 있다. 아름인 도서관 뿐만 아니라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를 방문해 금융경제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한카드는 9월 초 서울 마포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과 신한카드 김영호 부사장 등 참여기업 및 대학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에 참여하기로 업무협약을 맺었다. 한편 금융권 최초의 기부 전용 사이트 '아름인(arumin.shinhancard.com)'은 2005년부터 2015년 까지 카드 결제나 포인트 결제를 통해 총 누적 48억여원을 기부하는 등 국내 기부 전용 사이트의 대표 채널이 되고 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아름인 사이트는 주요 사회복지단체와 사회공헌 실시 기업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실력 맞춤형 문제집 서비스… 효율적인 성적 향상 기대 * 김세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소프트펍 '풀자북스' 박희종 소프트펍 대표. 박희종 소프트펍 대표. "왜 1등급 학생과 5등급 학생이 똑같은 문제집으로 공부해야 할까요?" ㈜소프트펍의 에듀테크 스타트업 풀자북스가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어댑티브(Adaptive) 문제집 서비스는 이 같은 의문에서 시작됐다. 모든 학생의 수준이 저마다 다른데 시중에 나와 있는 몇몇 교과서와 문제집으로 학습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박희종 소프트펍 대표의 생각이었다. 소프트펍은 지난 수년간 스마트 교육 플랫폼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30만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해온 교육업체다. 박 대표는 "그간 얻은 경험과 기술을 오프라인 출판 문제집에 적용하면 좋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고 했다. 풀자북스 어댑티브 문제집 서비스는 기존 인쇄물 문제집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문제풀이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뒤 그에 적합한 문제를 문제은행에서 골라 맞춤형 문제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박 대표는 "기존 오프라인의 학습 방식인 인쇄물 문제집에 스마트 ICT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에듀테크"라며 "각자 수준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문제집을 활용하면 자기주도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성적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풀자북스는 전국 200여 개 지점을 운영 중인 토즈 스터디센터 및 2만여 명의 재원생을 보유한 학원 그룹 명인에듀와 제휴해 고 3 수험생을 대상으로 한 파이널 모의고사에 어댑티브 문제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론 온·오프라인 교육 유통업체들과 손잡고 다양한 관련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조만간 개인 사용자를 대상으로도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라며 "학습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학습 코칭 시스템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방문 학습 시장이나 문제집 출판 시장을 대체할 강력한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다차원 읽기, 한 번 학습으로 5번 읽은 효과 얻어 * 오선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아이포트폴리오·EBS 리딩클럽 538년 역사를 가진 옥스포드 대학출판부의 명작 리더스 시리즈가 EBS 리딩클럽(www.ebsreadingclub.com)을 통해 디지털로 재탄생했다. 단순히 영어 도서를 PDF로 띄워 보던 기존 전자책과 달리 5세대 전자책 기술이 적용돼 클릭 한 번으로 미국·영국 발음을 번갈아 가면서 들을 수 있고, 문장을 터치만 해도 자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문제 풀이 자동 채점 기능은 물론 옥스포드 영한사전을 이용한 실시간 단어 검색 기능 등 외국어 학습에 필요한 멀티미디어를 탑재해 강남 엄마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실제로 EBS 리딩클럽에서 주최하는 학부모 세미나는 매회 전석 매진을 기록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열린 서울 송파 세미나에는 360명의 학부모가 참석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학습의 중요성과 교육법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영어교육 전문가들의 컨설팅 아래 고안된 EBS 리딩클럽의 5단계 학습법은 '다차원 읽기', 즉 멀티디멘션 리딩(multi-dimension reading)으로 불린다. 언어 자각력을 높이는 게임으로 시작해 텍스트를 가린 채 소리만 듣고 스토리 유추하기, 책의 핵심 문장을 듣고 따라 읽기 등 5단계의 과정을 모두 거치면 한 권을 마치 5번 읽은 듯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희경 옥스포드 대학출판부 한국지사장은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리딩 콘텐츠와 한국 교육시장에서 오랜 경험을 쌓아온 EBS 미디어와의 만남으로 한국 어린이들에게 영어를 배울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돼 기쁘다"고 전했다. EBS 리딩클럽은 6개월 또는 12개월 단위의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다음 달부터 유·초등 자녀를 둔 학부모의 수요에 맞춰 태블릿과 결합한 상품을 에듀팡을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학교 행사 간식·모바일 커피 쿠폰 보내도 '불법' * 박기석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학부모가 알아야 할 ‘김영란법’ "스승의 날에 선생님께 드릴 약소하면서도 괜찮은 선물이 뭐가 있을까요?" 오는 28일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학부모들은 이 같은 고민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김영란법의 정식 이름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약칭은 청탁금지법이다. 교사를 포함한 공직자 등 법으로 규정한 대상에게 부정청탁을 하거나 금품 등을 건네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이다. 학부모가 교사에게 경제적 이익을 주면 학부모와 교사 모두 처벌을 받는다. 법 시행을 앞두고 학부모·교사가 알아야 할 김영란법의 핵심을 정리했다. ◇어린이집 교사 등 대부분 선생님 법 적용 영유아 자녀를 둔 학부모라면 자녀가 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법 위반을 염려하지 않아도 될까?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학부모가 무심코 김영란법에 저촉될 수 있다. 초·중·고교뿐만 아니라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대학교수 등 학부모가 만나는 선생님의 대부분이 김영란법의 적용 대상이기 때문이다. 학교장과 교직원, 학교법인 임직원, 기간제 교사, 학교와 직접 계약을 맺은 영양사 등도 포함된다. 김영란법은 부정청탁을 하거나 금품을 준 사람, 받는 사람 모두를 처벌한다. 학부모가 교사에게 금품을 제공했는데 교사가 이를 거절하고 신고했다면 학부모만 처벌을 받는다. 대가성 없이 부정청탁만 하거나 특별한 요청 없이 금품만 건네는 행위 모두 불법이다. 한국교총 교권국의 김희환 변호사는 "이전에는 직무관련성과 금품 등 수수가 동시에 이뤄져야 뇌물죄로 처벌을 받았지만 김영란법 시행 후에는 부정청탁이나 금품 등 수수 행위 중 하나만 발생해도 처벌한다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 고쳐매지 말라 학부모와 교사 사이에 김영란법의 예외가 적용될 여지는 거의 없다.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부모는 자녀를 매개로 직무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학부모가 지나가는 말로 교사에게 자녀의 수행평가 점수를 올려달라고 하더라도 과태료 처분을 받는다. 교사도 거절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 않으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을 내야 한다. 학생이 청탁에 관여했다면 상황이 복잡해진다. 학생이 학부모에게 권유해 학부모가 대신 청탁하면 학생, 학부모 모두 과태료 부과 대상이다. 이해당사자인 학생이 제 3자인 학부모를 통해 부정청탁을 했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학생 A가 친구인 B의 수행평가 성적을 올려달라고 교사에게 부정청탁을 했다면 A는 처벌 대상이다. 한편 이해당사자인 학생이 자신의 성적을 올려달라고 직접 부정청탁을 하는 경우에는 김영란법으로 처벌받지 않는다. 벌칙 조항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직접 부정청탁을 한 학생은 학교 교칙에 의해 징계를 받거나 정도에 따라 공무집행방해죄 등을 적용받을 수 있다. 학교 폭력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 부모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자리 외에 교사를 따로 찾아가 가해자 엄벌을 요구하는 경우도 부정청탁이 될 수 있다. 김덕희 서울시교육청 청렴총괄팀장은 "공개적으로 행위를 요구하거나 단순 확인·문의처럼 정당한 민원 제기 등 일부 예외에 해당하지 않으면 모두 처벌 대상"이라고 했다. ◇3만원 이하 식사라고 무조건 허용 아냐 교사 등 김영란법 적용 대상에게 접대할 수 있는 상한선으로 3(식사)·5(선물)· 10(경조사비) 원칙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교사와 학부모 관계에서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 ▲부조의 목적으로 제공될 때에만 예외로 허용하는데 이 요건을 충족하기는 매우 까다롭다. 예컨대 학기 초 학부모가 자녀의 담임교사를 처음 만나 친교를 다지고 스승의 날에 4만원짜리 선물을 주는 행위는 법 위반이다. 김덕희 팀장은 "학부모와 교사가 자녀와 관계 없이 오래전부터 친분이 있었다면 사교라는 예외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자녀 때문에 처음 만난 학부모·교사 관계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했다. 교육현장에서 선의로, 관행처럼 이뤄지던 일들은 대부분 불법행위가 될 수 있다. 학부모가 담임교사에게 모바일 커피 쿠폰을 선물하거나, 상담 시 음료수를 주고, 체육대회 등 학교 행사 진행 시 교사에게 간식을 제공하는 일은 액수와 관계 없이 불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 같은 선물은 예외 사유인 '원활한 직무수행'에 해당되지 않는다. 김희환 변호사는 "부정청탁이나 금품 등 수수가 허용되는 예외 사유를 학부모가 구체적인 사안별로 판단하기가 어려워 학부모의 학교 참여권 등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고 조언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예술·체육 분야 꿈 꾸는 아이, 매월 50명 지원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의 ‘참벗나눔봉사단’에서 시행한 도서벽지 어린이 서울문화체험 행사. 한국투자증권의 ‘참벗나눔봉사단’에서 시행한 도서벽지 어린이 서울문화체험 행사./한국투자증권 제공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3년부터 '매칭그랜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매월 임직원이 기부하는 금액만큼 회사에서도 동일한 금액을 1:1로 매칭시켜 사회공헌사업 기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렇게 마련된 기금은 매월 특기적성 개발을 지원하는 '꿈을 꾸는 아이들' 프로젝트와 각종 사회공헌활동 사업비로 활용된다. '꿈을 꾸는 아이들'은 한국투자증권과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손을 잡고 학업, 예술, 체육 분야의 재능 있는 학생 50여명을 선발해 특기, 적성 개발비를 매월 지원하는 장기 사회공헌 프로젝트다. 한국투자증권은 또 '참벗나눔봉사단'을 운영하고 있다. 2013년 본사 임직원 31명으로 출범한 봉사단은 현재 본사 및 전국 영업지점 임직원 78여명으로 확대돼 소외된 이웃과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주말 시간을 활용한 '도서벽지 어린이 초청 서울문화체험', '사랑나눔 주말 돌보미' 등 주말 봉사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청운보육원에서 진행된 '사랑나눔 주말 돌보미' 프로그램에는 40여명의 봉사단이 참여, '음식봉사', '돌맞이 아기 돌잔치 행사', '키즈까페' 체험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쳤다. 또 작년 충남 논산지역 위탁 시설 초등학생 초청 이후 올해도 진행된 '도서벽지 어린이 서울문화체험 초청행사'에는 서울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문화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강원도 영월 폐광지역 초등학생 25명을 초청, 다양한 체험활동을 펼쳤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밖에도 2008년부터 FC서울 프로축구단과 파트너쉽을 체결하고, 문화적으로 소외된 아동들을 초청해 매년 '행복나눔 어린이 축구교실'을 진행해오고 있다. FC서울 선수들이 직접 강사로 나와 축구 기본기 교육, 미니축구게임 등 다양한 축구 수업을 진행한다. 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저소득층 자녀들을 초청해 금융회사의 특성을 살린 맞춤형 어린이 경제교육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올해도 지난 7월 등촌 종합사회복지관 초등학생 40명을 초청, 참벗나눔 봉사단들과 함께 경제교실을 실시하였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알립니다] 대구·대전·인천 개최… 초등맘 대상 무료 브런치에듀 열립니다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다음 달 대구·대전·인천에서 '초등맘 브런치에듀'가 무료로 열린다. ▲교육제도 변화에 따른 현명한 진로 선택(조진표 와이즈멘토 대표) ▲초등부터 준비하는 대입 로드맵(송재열 공부혁명대장) ▲성조숙증, 내 아이가 벌써 사춘기?(소아청소년과 교수) ▲성적 오르는 스스로 학습법(박형원 SH교육그룹 자기주도학습연구소장) 등 강연이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 받는다(지역별 강연 프로그램은 홈페이지 참조). ●대상: 초등 자녀를 둔 학부모 ●일정: ▲대구_ 10월 12일(수) 경북디자인센터 ▲대전_ 10월 18일(화) 대전서구문화원 ▲인천_ 10월 25(화) 인천여성복지관〈오전 9시 40분~오후 1시〉 ●접수: edu.chosun.com/bredu ●문의: (02)724-7836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전국 144개 봉사팀의 지역 맞춤형 활동… 적극적인 사회공헌 펼쳐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한화생명 한화생명은 본사 및 전국 7개 본부 144개 봉사팀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역맞춤형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본사 및 전국 7개 본부 144개 봉사팀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역맞춤형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한화생명 제공 한화생명은 2004년 7월 '한화생명 봉사단'을 창단하며 단순히 기부금을 전달하는 소극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내의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위해 땀과 정성이 배인 꾸준하고 적극적인 사회공헌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한화생명은 항상 신입사원 교육과정을 봉사활동으로 시작한다. 땀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모든 생명이 존중 받는 건강한 세상 만들기'라는 생명보험의 나눔 정신을 심어주기 위한 것. 입사와 동시에 한화생명 봉사단의 일원으로 활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화생명은 본사 및 전국 7개 본부 144개 봉사팀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역맞춤형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도란도란 원예교실'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을 돕기 위해 방과 후 교실과 조부모를 위한 동화 구연, 종이 접기 등의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음악교실, 원예 활동, 요리 교실 등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역량 강화를 돕고 있다. '드림탐험대 골목대장'은 대구지역 다문화 가정 아이들 80여명과 함께 고령 개실마을에서 야생화 심기, 도적굴 탐방 등 문화탐방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으로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지원을 이어나가고 있다. '한화생명 골목길 소방서'는 부산 전포동 지역의 노후주택과 전통시장 등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화재 취약지역에 소화기를 설치해 화재 발생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프로그램으로 부산 전 지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결혼이주여성 3년차 이내를 대상으로 한국요리와 밑반찬 강습을 해 주는 충청지역본부의 '행복을 나누는 밥상', 호남지역본부가 광주 동구청과 협약을 맺고 지역의 어르신들을 위한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함께 만드는 마을'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특화된 봉사활동을 펼쳐 나가고 있다. 한화생명은 이외에도 2013년부터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연계고용 협약을 체결하여 장애인들이 생산한 천연비누 세트를 매년 6300여개 구입해 고객 사은품으로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고용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간접 지원하고 있다. 10월에는 내수 살리기의 일환으로 농촌체험캠프, 직거래장터 등 농촌을 돕는 활동도 전국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해외법인 현지 직원 위한 本社 순환 근무 'GMP' 실시 * 류정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포스코 이미지 크게보기 포스코가 해외 법인의 우수 현지 직원을 선발해 본사 근무 기회를 주는‘GMP’프로그램 참여자들이 포항제철소 현장을 찾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는 올해부터 해외법인 현지 직원을 위한 본사 순환 근무 프로그램 'GM P(Global Mobility Program)'를 마련해 해외 직원들이 일체감을 갖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이를 통해 해외법인의 우수 직원들은 한국 본사에서 5개월간 해당 해외법인에서 부여받은 프로젝트 과제 등 현업을 수행하면서 포스코 고유의 일하는 방식을 체득한다. 본사는 해당 국가와 법인에 특화된 전문 지식과 기술을 더 가까이 접하고, 해외법인은 현지 직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본사의 일하는 방식을 흡수하고 인적 네트워크도 구축하게 된다. 포스코차이나·포스코멕시코·포스코마하라슈트라(인도)·포스코-VHPC(베트남)·크라카타우포스코(인도네시아) 등 5개 법인의 현지 직원 6명이 지난 7월 한국으로 들어와 12월까지 진행되는 2016년 1차 GMP 과정을 밟고 있다. 1주차 교육에선 포스코 역사·CEO 경영철학·포스코의 혁신방법론 등을 학습했고, 7월 중 5일간은 포항제철소 현장 교육을 받았다. 제선부·제강부·열연부·STS압연부·생산기술부 등 공정별 학습을 통해 일관제철소(고로를 갖춘 제철소)를 직접 경험한 것이다. 포스코는 작년부터 사우디, 이란 등 중동 지역 국가들과의 업무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중동에 관심이 많은 권오준 회장은 지난 6월 입사 전후로 중동 국가를 경험한 포스코그룹 직원 10여명과 도시락을 함께 먹으며 중동 지역 비즈니스에서 주의할 점, 시장 성장 가능성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한편, 실적이 부진했던 포스코의 인도네시아·베트남 등 해외 철강법인의 실적은 개선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법인은 슬라브(쇠판) 가격이 상승해 전분기 대비 적자 규모가 439억원 축소됐고, 중국 스테인리스스틸 생산법인 장가항포항불수강(ZPSS) 역시 니켈 등 원료 가격이 상승하면서 함께 오른 판매 가격 덕분에 전 분기에 이어 흑자를 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발언대] 학교 옥상 활용해 태양광 발전을 * 우진용 충남 당진 고대중 교장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2 우진용 충남 당진 고대중 교장 우진용 충남 당진 고대중 교장 경주 지진 이후 온 국민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무엇보다 걱정은 지진 위험지역인 월성에 6기, 고리에 8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있다는 것이다. 수년 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지켜본 우리로서는 강 건너 불이 아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가졌다는 일본도 속수무책이니 우리도 현실을 냉정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원전 없이 생활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화력발전소를 추가 건설하는 것도 환경 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친환경 발전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태양광 발전이라고 본다. 학교 옥상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을 제안한다. 이미 강원도 태백시를 비롯한 몇몇 자치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다. 나도 교장으로서 추진하다가 성사 직전에 접은 경험이 있다. 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업자 신뢰도 문제, 교육 공동체의 여론 수렴 등 특정 학교가 단독 추진하기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따른다. 자치단체와 교육청이 힘을 합치면 한결 수월할 것이고,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한다면 속도와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학교 옥상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에는 네 가지 이점이 있다. 먼저 여름철 옥상 아래의 교실들은 복사열 때문에 학생과 선생님들 모두 고생하고 있다. 태양광 패널이 만들어주는 그늘은 이 복사열의 감소에 효과가 있다. 둘째로 학교 옥상 대부분이 출입을 금한 채 비어 있으니 태양광 발전에 최적이다. 유휴 공간 활용 차원에서도 의미가 있다. 셋째로 초기 시설 및 관리를 업자가 전담하니 당장 부담이 없고, 오히려 옥상 임대료를 받을 수 있어 이를 학생 복지에 활용할 수 있다. 넷째로 환경이나 과학교육 체험장 같은 교육 시설로도 활용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은 원전의 위험과 화력 발전의 환경오염 문제를 극복할 대안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가능한 다른 곳도 많다. 아파트 옥상이 그렇다. 화재 대피 등 기본 공간만 확보하고 나머지는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의무화하는 것도 방안이다. 전국의 학교 옥상을 태양광 발전에 활용하면 원전 하나를 건립하는 정도의 효과가 있다는 말도 들었다. 사실 여부를 떠나 무시할 수 없는 규모일 것이다. 태양광 발전을 각 학교 옥상에 대대적으로 설치하면 관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침체된 경제를 되살리는 데도 일조할 것이다. [키워드 정보] 태양광발전이란?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청년·기업 잇는 '잡 매칭데이' 전국 확대… 취업난 해소 힘써 * 박정욱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지난 2012년부터 중소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과 함께 청년취업을 위한 사회공헌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으뜸기업-으뜸인재 매칭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청년에게는 새로운 희망을, 중소기업에게는 새로운 인재를 찾아준다'는 개념의 이 사업은 취업희망자를 모집해 일자리를 알선해주는 기존의 취업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중소기업 인식개선 연수를 시작으로 청년 구직자들의 직업 선택과정 전반을 돕는다. 또한 취업 후에도 직무역량 강화 연수와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해 취업자들의 조직 적응력을 강화시켜 참여기업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올해는 그 동안 수도권에서만 실시하던 취업역량강화연수 및 잡 매칭데이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지역 강소기업과 우수인재의 매칭을 지원하는 징검다리 역할에 앞장서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정규직 취업 후 6개월 이상 유지할 경우에는 기업 채용장려금 지원과 사내 멘토·멘티 동반 해외산업연수 등을 지원하는 등 정규직 채용 및 장기근속 유도를 위한 효율적인 사후관리 체제를 갖추고 있어 중소기업과 인재 모두가 만족하는 일자리 매칭사업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자랑했다. 올해 진행되는 4차 사업은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 및 직무교육 강화 등을 통한 사업체계 개선으로 민관 협력 일자리 창출 사업의 발전적 모델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취업역량강화연수 및 잡 매칭을 지방지역으로 확대하고, 지역별 강소기업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여 해당지역 우수인재와 매칭하는 지역밀착형 일자리 사업 체계 구축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신한은행 조용병 은행장(오른쪽에서 세번째)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임채운 이사장(오른쪽에서 네번째)이 지난 5월 ‘중소기업 인력난과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한은행 조용병 은행장(오른쪽에서 세번째)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임채운 이사장(오른쪽에서 네번째)이 지난 5월 ‘중소기업 인력난과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신한은행 제공 상반기에는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과 취업에 지친 청년 구직자의 힐링을 위해 서울을 시작으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수원 등 6개 지역에서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유명 MC와 전문 패널, 청년 대학생들이 인생, 꿈, 직업 등에 대해 진솔하게 대화하고 토론하며 걱정과 고민을 함께 나누었다"며 "청년 대학생들에게 기존의 일방향 교육을 벗어나 실질적인 소통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중소기업 인식개선 사업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큰 토크콘서트였다"고 말했다. 하반기에는 8월 수도권 지역을 시작으로 9월 충청·경북지역, 10월 호남지역, 경남지역 등 지역 거점별로 취업역량강화연수 및 잡 매칭을 진행하고 있다. 취업역량강화연수는 ▲취업성공을 위한 이미지 메이킹 ▲자신감 향상을 위한 스피치 리더십 ▲이력서 및 자소서 작성방법 ▲채용대비 모의 면접 및 코칭 ▲중소기업 CEO 특강 등으로 3박 4일간 진행되며,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학생들의 재미와 흥미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취업연수 마지막 날 실시되는 잡 매칭데이에는 기존 대규모 박람회와 달리 해당지역의 30여개 강소기업이 참가해 지역 으뜸인재와 으뜸기업간의 교류의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신한은행과 중진공은 대학, 인재, 중소기업, 추진기관 각 참여자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 체계를 구축해 명실상부한 완생형 인재 육성 및 매칭 프로그램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중소기업 인식개선 확산과 우수인력의 지역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따뜻한 금융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하반기 취업연수 및 잡 매칭데이의 총 모집인원은 본 사업 참여대학의 학생 및 일반참여자를 포함한 600명 내외로, 참가비는 무료이며 선착순으로 모집 마감한다. 행사 참가신청은 으뜸기업·으뜸인재 매칭사업 홈페이지(http://www.firstjob.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행사 관련 자세한 문의는 중소기업연수원 정책연수팀(031-490-1355/1238)으로 하면 된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매년 100명씩 장학금 지원…탈북청년 한국사회 정착 도와 * 박정욱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하나금융그룹 KEB하나은행(은행장 함영주·www.kebhana.com)은 이달 초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가을'이라는 주제로 '제24회 KEB하나은행 자연사랑 어린이 미술대회' 본선을 개최했다. 1993년부터 개최한 'KEB하나은행 자연사랑 어린이 미술대회'는 올해로 24회째를 맞이한 전통있는 어린이 미술대회로 매년 2만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참여하고 있다. 환경부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식 후원하는 이번 대회엔 예선에 2만여점의 작품이 출품됐고 전문가 심사를 거쳐 저학년 100명, 고학년 100명 총 200명의 본선 진출자를 선발했다. KEB하나은행 박종영 부행장은 환영사에서 "올해 역시 미술대회에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주신 어린이와 학부모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자연과 하나되는 마음을 소중히 간직할 수 있도록 KEB하나은행이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KEB하나은행은 미술에 관련된 봉사활동을 많이 한다. 최근엔 통일전망대에 KEB하나은행 가족들과 통일부 관계자, 이산가족, 실향민들이 함께 만든 '그리운 내 고향' 미술작품을 설치하기로 했다. 지난달 26일 명동본점에서 당행 임직원들과 통일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통일전망대에 영구 설치물로 제작될 미술 작품을 함께 만드는 봉사활동을 가졌다. 이날 봉사활동은 이산가족과 실향민 등이 직접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그림을 그리고 이를 통일전망대에 영구 설치물로 만들어 전시하는 '그리운 내 고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하나통일원정대' 합창단이 '고향의 봄' '홀로 아리랑'등의 노래 공연을 펼쳐 행사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켰다. '하나통일원정대'는 탈북청년모임인 'with-U'가 주축이 되어 하나금융그룹과 G&M글로벌문화재단의 후원, 통일부와 남북하나재단의 협력으로 지난 4월 탄생된 통일기원 합창 원정대다. 독도를 출발해 지난 7월 '민족통일의 상징'인 베를린 장벽에서 독일통일 당시의 감동을 체험하고 남북 평화 통일 의식을 고취, 평양에서 하나된 조국의 통일을 노래할 수 있기를 염원했다. 1993년부터 개최한 ‘KEB하나은행 자연사랑 어린이 미술대회’는 올해로 24회째를 맞이한 전통있는 어린이 미술대회로 매년 2만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참여하고 있다. 1993년부터 개최한 ‘KEB하나은행 자연사랑 어린이 미술대회’는 올해로 24회째를 맞이한 전통있는 어린이 미술대회로 매년 2만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참여하고 있다./하나금융그룹 제공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 다문화 사회 및 통일시대에 기여할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국장학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다문화·탈북학생 대상 매년 100명 씩 선발하여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3회째를 맞이한 멘토링 지원 사업은 장학금 전달 뿐만 아니라 다문화 인식제고를 위한 온·오프라인 교육 컨텐츠 개발, 보급 등의 사업으로 이루어진다. 또 탈북청년의 한국사회 정착을 위한 멘토링 및 취업을 돕기 위한 리크루팅 프로그램도 벌이고 있다. 2015년에는 5명의 임원 멘토와 15명의 멘티들이 월 1회 이상 만남을 갖고 워크숍을 진행했고 이 중 3명의 탈북청년을 은행원으로 채용해 금융인재로서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이밖에 2011년부터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소외계층을 위한 행복상자를 제작하여 직접 전달하고 있다. 2015년 2월 설맞이 행복상자를 시작으로 7월 방학맞이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행복상자, 9월 한마음행사와 연계한 행복상자, 11월 모두하나데이 행복상자까지 주기적으로 소외계층에게 다가서고 있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특히 모두하나데이에는 행복상자를 해외 개발도상국의 소외된 아동들에게도 전달하여 큰 호응을 받았다"며 "이제 연중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행복상자는 그룹의 중요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하나로 정례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26일엔 점심시간을 이용해 명동본점에 모인 임직원 120여 명이 소외계층을 위한 행복상자를 만들었다. 이날은 학용품으로 구성된 아동용 행복상자 700여개와 생필품, 식료품, 구급함 등 노인에게 필요한 품목으로 구성된 노인용 행복상자 400여개 등 총1111개의 행복상자를 만들었다. 만들어진 행복상자는 지역아동센터, 다문화 지원단체, 새터민학교, 구청 등에 전달했다. 이날 봉사활동에 참여한 120여 명의 임직원은 이웃과 함께하는 마음으로 점심 식사를 주먹밥으로 대신하고 점시시간을 할애하여 나눔 활동에 참여하여 그 의미를 더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이주민이 바꾼 유럽 인구지도… 英인구, 佛 턱밑 추격 * 런던=장일현 특파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가파른 인구 감소 겪던 EU… 1년 전에 비해 176만명 늘어 실업률 낮고 영어 배울 수 있어… 영국, 난민·이민자에 특히 인기 인구 내리막길 독일·스웨덴도 난민 포용으로 미래 기회 얻어 올해 영국 인구는 6534만명으로 독일(8216만명)·프랑스(6666만명)에 이어 유럽에서 '3등'이다.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독일에 이어 유럽에서 둘째로 인구가 많았지만, 1984년(세계은행 통계) 7만명 차이로 프랑스에 역전당했다. 두 나라 인구 차이는 2006년 261만명까지 벌어졌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흐름이 바뀌고 있다. 2004년과 2007년 EU에 가입한 동유럽 국가 출신 이민자들이 영국으로 대거 몰리기 시작한 것이다. 최근 2~3년 영국 유입 이민자는 한 해 30만명을 넘으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두 나라 인구 격차도 작년 말 132만명으로 줄었다. 유럽연합통계청(Eurostat·유로스타트)은 "프랑스 인구 증가는 대부분 출생에 따른 것이지만, 영국은 출생과 이민이 모두 많다는 게 특징"이라고 했다. 동유럽 출신 이민자와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난민이 유럽 인구 지도에 지각 변동을 불러오고 있다. 전반적으로 출생률이 저조한 가운데 이·난민을 적극 수용하는 국가는 인구가 늘고, 그렇지 않은 국가는 인구가 감소하는 양상이다. 이미지 크게보기 유럽 국가들은 인구 증가와 노동력 부족 해소 등을 위해 이·난민을 적극 수용하고 있지만, 이로 인한 테러와 치안 불안, 사회복지 비용 지출 증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지난 6월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가 가결된 데도 이런 이·난민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크게 작용했다. ◇영국, 반전의 드라마 쓰다 지난해 프랑스 총인구 증가는 24만6400명으로, 이 중 자연 증가는 20만600명이었다. 반면 영국의 총인구는 프랑스의 2배가 넘는 57만4100명이 늘었는데, 자연 증가는 17만4400명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대부분이 이민자다 . 영국 현지 외교 소식통은 "영국 실업률은 5% 안팎으로 프랑스의 절반밖에 안 되고, 경제성장률도 높아 일자리를 좇아 이민자들이 대거 몰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영어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환경도 영국 이민을 부채질했다. 영국은 향후에도 유럽 인구 판세를 뒤흔들 주역이다. 영국에선 "앞으로 10년 내 영국 인구가 프랑스를 재역전할 것"이라고 본다. 유로스타트는 2030년 영국 인구가 프랑스를 추월한 뒤 2050년엔 독일까지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독일처럼 난민 위주인 경우, 인구 증가 효과가 일시적이고 정세 안정에 따라 모국으로 돌아가기도 하지만, 영국처럼 이민 위주일 때는 자녀 출산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인구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독일·스웨덴 등도 난민 수용에 적극적 독일은 해외 난민 수용의 최대 수혜국이다. 독일은 2003년 8254만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이후 계속 내리막을 걸었다. 일본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령사회'인 데다 전후 베이비붐 세대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 비율은 작년 말 현재 21.0%로 프랑스(18.4%), 영국(17.7%)보다 월등히 높다. 하지만 시리아 등에서 난민을 받으면서 2014~2015년 단 두 해 동안 인구가 139만명이나 늘었다. 2008년 이후 7년 만에 8200만명대에 재진입했다. 메르켈 총리는 "난민의 대거 유입은 독일에 경제적, 사회적으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북유럽의 스웨덴도 난민·이민 포용으로 인구정책에 성공했다는 평을 듣는다. 스웨덴은 1960년 이후 한 번도 인구가 줄지 않았다. 최근 2년 동안 23만명이 넘는 난민을 받아, 독일에 이어 유럽 내 2위를 기록했다. ◇쪼그라드는 동유럽 국가들 2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EU도 난민 덕분에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EU는 지난해 사상 첫 인구 자연 감소를 겪었다. 사망자가 신생아보다 13만6200명이 더 많았다. 그러나 올해 1월 기준 인구는 작년보다 176만2600명 늘었다. 유로스타트는 "유럽 인구의 자연 감소는 가팔라졌지만 중동·아프리카 등에서 온 난민이 훨씬 많아 총인구가 증가했다"고 했다. 반면, 동유럽 국가들은 심각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인구 자연 감소가 계속되고, 영국·독일 등으로 젊은이들이 계속 빠져나가고 있는 탓이다. 동유럽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폴란드는 올 1월 1일 현재 3797만명으로 1989년 이후 27년 만에 처음으로 인구가 380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루마니아도 2014년 2000만명 이하로 떨어진 이후 갈수록 인구가 줄고 있다. 헝가리·불가리아는 지금 인구가 지난 1960년보다 적다. [나라 정보] 영국은 어떤 나라? [키워드 정보] 난민과 이민자의 차이점은?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與野, 수십조원 드는 '아동수당' 만지작 * 김성모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 또 다른 복지 포퓰리즘 우려 새누리 "6~12세 지원 방안 검토" 더민주도 아동수당법 발의 예고 국민의黨 "6세까지 月 10만원" 국감서 복지 분야 쟁점될 전망 전문가들 "저출산 해결 가능성 신중하게 검토하고 접근해야" 여야 정치권이 최근 '아동(兒童)수당' 카드를 꺼내고 있다. 각종 대책에도 '저출산' 문제 해결이 요원한 상황에서, 일정 연령 이하 자녀를 둔 가정에 일정 금액을 지급해 아이 키우는 부담을 줄이고 출산율도 끌어올리자는 취지다. 26일부터 열리는 국정감사에서도 아동수당이 복지 분야 주요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그러나 막대한 재원이 필요한 정책인데 '복지 포퓰리즘'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막대한 재원 필요 여야 모두 아동수당 도입을 만지작거리고 있지만 각론에선 차이가 적지 않다. 20대 국회 들어 아동수당 도입을 먼저 거론한 국민의당은 지난달 31일 '의원 워크숍'에서 "현재의 보육 체계를 유지한 채 0~6세 모든 아동에게 월 10만원 아동수당을 추가로 지급하는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12세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6세까지만 아동수당을 추가 지원해도 연간 2조5188억원이 더 필요하다. '아동수당'에 대한 각 당의 주장 새누리당 저출산·고령화 특별위원회 역시 지난 8일 첫 회의에서 아동수당 지급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 특위 장제원 위원장은 본지 통화에서 "(당론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5세까지는 보육 사각지대를 없애는 식으로 기존 틀을 강화하고, 6~12세 아동에게는 아동수당을 주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도 박광온 의원 등을 통해 본격 논의에 나섰다. 박 의원 측은 △기존 어린이집 지원은 유지한 채 가정 양육수당은 폐지하고 △만 12세 이하까지 자녀 나이에 따라 10만~30만원 아동수당을 주는 내용의 아동수당법을 곧 발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13조~15조원으로 예상되는 재원 마련은 아동수당세를 신설하는 식으로 상당 부분 해결하자는 주장이다.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위(위원장 나경원 의원)가 23일 마련한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만 15세까지 아동수당 30만원을 주자는 주장도 나왔다.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보육료, 양육수당 지원 등을 아동수당 제도로 통합하면서 만 15세까지 매달 30만원을 주고, 하위소득 50%까지 영유아에게 교육 바우처(월 15만원)를 추가로 주면 예산이 27조7710억원 들 것"으로 예상했다. ◇"도입 효과 등 충분한 연구·검토 필요" 이봉주 교수 자료에 따르면 아동수당은 1926년 뉴질랜드에서 처음 도입됐고, 프랑스(1932년), 영국·캐나다(1945년), 독일(1954년), 일본(1971년) 등 전 세계 90여 국에서 도입 중이다. OECD 국가 중엔 한국을 비롯 미국·멕시코·터키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3세 미만까지는 1인당 1만5000엔(약 16만4000원), 3세 이상부터 초등학생 사이의 경우 첫째·둘째는 1만엔(약 10만9000원), 셋째 이후는 1만5000엔이며, 중학생은 월 1만엔 등으로 지원된다. 아동수당을 도입하면 받는 사람들은 좋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복지예산이 급속히 늘어나는데 어디서 재원을 마련하느냐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정부도 막대한 재원을 들며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동욱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재원을 어디서 마련할지, 가정 양육수당이나 보육료 지원 제도 등 기존 제도와는 어떻게 연계해 운영할지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성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에서도 아동수당은 정치적 포퓰리즘의 영향으로 확대·축소를 반복하는 등 골머리를 앓고 있다"며 "한번 시작하면 되돌리기 어려운 복지 정책의 특성을 감안해 먼저 아동수당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지 충분한 연구와 검토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동수당 자녀 양육 부담을 줄이고 출산을 장려하자는 목적으로 일정 연령 이하 자녀를 둔 가정에 매달 지원하는 수당. 뉴질랜드(1926년)에서 처음 도입됐고 영국·프랑스·독일 등 주요 유럽 국가와 일본 등 90여 국에서 시행 중이다. 자녀를 어린이집·유치원에 보내지 않을 때 매달 지급하는 양육수당과는 다르다. [키워드 정보] 포퓰리즘이란 무엇인가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원어민 동영상 속 예문 보면서 단어·숙어 익혀 * 김세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디비 잉글리쉬 영어 공부를 할 때 단어나 숙어를 단순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실력을 높이기 어렵다. 실제로 원어민 사이에서 단어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야 효과적이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다양한 예시를 검색하거나 해당 단어가 쓰이는 동영상을 일일이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영어 학습 앱인 디비 잉글리쉬(www.divii.org)는 유용한 영어 공부 매니저다. 디비 잉글리쉬의 주요 기능은 크게 비디오 영어 사전과 이러닝북으로 나뉜다. 사용자가 앱 내 검색창에서 단어를 검색하면 인터넷에 떠다니는 해외 동영상 중에서 해당 단어나 숙어가 나온 장면만 찾아 제공한다. 전 세계에서 출판되거나 배포된 단어장·해외 뉴스·동영상·토익과 토익 스피킹 교재 등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창업자인 구민규 디비 잉글리쉬 대표는 미국 뉴욕에서의 MBA 과정, 다국적 팀 운영, 카투사, 무역 회사 경험 등을 통해 현재의 영어 교육이 실제 회화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외국인과 매일 대화하며 영어 실력을 다졌던 노하우를 모아 실무 영어 실력을 높여주는 앱을 제작해야겠다고 결심한 계기가 됐다. 그는 "원어민이 영어를 사용하는 장면을 보면서 알파벳을 배우거나 문법을 익히고 어휘를 늘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했다. 그는 인도에 개발 회사를 세워 세계적 수준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영입하면서 앱을 완성했다. 디비 잉글리쉬는 구글 추천 앱으로도 선정됐으며 현재 100개국에서 활용되고 있다. 디비 잉글리쉬는 구글플레이에서 무료로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 유명 출판사들과 영국 케임브리지 출판사의 그래머 인 유즈 대표 강사로 유명한 박상효 강사 등이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디비 잉글리쉬 블로그(blog.divii.org)나 이메일(support@divii.org)로 문의하면 된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일제하 서울 北村 개발은 민족 주거권 수호" * 이선민 선임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 제10회 민세학술대회 민족자본가 정세권 건양사 설립 "日 진출 막아야" 한옥 단지 조성… 조선어학회·물산장려회 등 지원 안재홍·이극로와 産·學·言 연대 "1920~30년대 집장사가 지어 분양한 것으로 알려진 서울 북촌의 도시형 한옥은 대표적 민족자본가였던 정세권이 우리 민족의 주거권과 한옥 형태를 지키기 위해 벌인 도시 개발의 산물이었다." 1935년 조선어학회 표준어사정위원들이 현충사를 방문하고 찍은 기념사진. 1935년 조선어학회 표준어사정위원들이 현충사를 방문하고 찍은 기념사진. 앞줄 맨 왼쪽이 정세권, 둘째 줄 왼쪽에서 둘째가 이극로, 넷째가 안재홍이다. /한글학회 지난 23일 서울 YMCA회관 2층 대강당에서 일제 치하 조선일보 주필·사장을 역임하며 민족운동에 앞장섰던 민세 안재홍(1891~1965) 선생과 동지적 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의 민족운동을 짚어보는 '제10회 민세학술대회'가 열렸다. 안재홍·이상재·이승복·이극로·정세권·김원봉 등 민족운동가들이 이념과 직업을 뛰어넘어 펼쳤던 활동을 검토한 이날 학술회의에서 특히 눈길을 끈 것은 당시 대표적 부동산 개발 회사였던 건양사를 이끌며 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했던 정세권(1888~1965)에 대한 재조명이었다. 발표를 맡은 서울대 환경대학원의 김경민 교수와 이지은 연구원에 따르면, 1920년 회사령이 철폐된 뒤 건양사를 설립한 정세권은 서울 가회동 일대를 비롯한 북촌의 한옥 대저택을 사들여 여러 채로 분할해 도시형 한옥을 지어 분양했다. 당시 서울 명동과 퇴계로 등 남촌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경성 거주 인구가 급증하면서 북촌을 넘보고 있었다. 정세권은 "일본인들의 북촌 진출을 막아야 한다"며 북촌 재개발에 나섰다. 정세권이 조성한 도시형 한옥은 북촌과 인근뿐 아니라 창신동·서대문·왕십리 등 교외까지 이르렀다. 정세권은 일제의 탄압으로 사업을 사실상 중단한 1940년까지 한 해 300채 정도의 한옥을 지었다. 1929년 2월 7일 자 조선일보 2면에 실린 건양사의 신축 한옥 주택 분양 광고. 1929년 2월 7일 자 조선일보 2면에 실린 건양사의 신축 한옥 주택 분양 광고. 정세권은 도시 개발로 얻은 부(富)를 민족운동에 사용했다. 조선물산장려회의 이사를 맡아 재정의 상당 부분을 부담했고 기관지를 발간했다. 조선어학회에는 회관을 지어 기증하고 운영비를 지원했으며 이 때문에 조선어학회 사건 때 수감됐다. 그는 또 신간회 경성지회에서도 활동했다. 정세권은 국내 민족운동의 중심인물이던 안재홍, 조선어학회를 이끌던 국어학자 이극로(1893~1978)와 유대가 깊었고 이를 토대로 산(産)·학(學)·언(言)의 연대 활동을 도모했다. 건양사는 조선일보와 주택 개선 공모전을 함께 개최했고 광고를 집중 게재했다. 역시 조선일보 사장을 지낸 월남 이상재 선생의 민족운동을 다룬 발표에서 김권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이상재는 개화기 이래 참여한 민족운동 단체에서의 인적 관계를 통해 민족 지도자로 성장해 갔다"고 분석했다. 독립협회 활동 때는 서재필·윤치호·남궁억·박은식 등의 지원과 협력에 의해 지도자로 떠올랐고, YMCA에서는 이승만·양기탁·전덕기 등 개신교 지도자, 게일·헐버트 등 외국인 선교사와 깊은 인적 관계를 형성하며 조직적 기반을 마련했다. 3·1운동 당시는 천도교·개신교·교육계 지도자들을 묶어준 배후의 주역이었다. 그가 안재홍 등이 주도한 신간회 창립 때 회장으로 추대된 것은 이런 교류와 협력을 통해 가장 존경받고 신뢰받는 민족 지도자가 됐기 때문이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사설] 野 갑질 계속하면 내년 大選이 심판대 될 것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12 야(野) 3당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 건의안' 단독 처리 여파가 국회 파행으로 이어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해임 건의안 수용을 거부하겠다고 했다. 새누리당도 오늘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 3당은 여당이 참여하지 않더라도 자기들끼리만 국감을 진행하겠다고 한다. 국정을 팽개친 강대강(强對强) 대결이다. 이 정부 들어 4년 가까이 반복된 일이다. 장관에게 문제가 있으면 국회가 불신임의 뜻을 모아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것은 행정부 견제라는 본연의 기능 중 하나다. 대통령은 그 뜻을 수용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이번엔 해임안 자체가 거야(巨野)의 힘을 보여주겠다는 식의 일방 독주였다. 해임안이 통과됐으니 당장 물러나라는 데 동의할 국민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다. 김 장관 해임 건의안을 강행 처리한 뒤에 국정 파행이 뻔히 예상되는데도 야당이 이렇게 밀어붙여야 할 만큼 절박하고 중요한 사정이 뭐였는지 납득할 수 없다. 많은 사람이 안보·경제가 모두 위기 상황인데 야당이 '힘자랑'이나 하는 것을 보며 혀를 차고 있다. 국무위원 해임 건의안은 재임 시 업무 수행의 문제점을 대상으로 한다. 취임한 지 얼마 안 되는 김 장관은 아직 해당사항이 없다. 인사청문회 때 지적된 문제들은 야당 의원들도 상당 부분 해명됐다고 했다. 김 장관은 자신의 부적절한 언행에 대해 즉시 사과도 했다. 그런데도 끝까지 물고늘어지는 것은 야당 권력의 폭력적 행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야권은 해임 건의안을 철회하는 조건으로 새누리당에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기간 연장, 어버이연합 자금 지원 의혹 청문회 개최 등을 요구했다고 한다. 정치적 흥정을 시도했던 것이다. 정부가 요청한 입법 현안에 관계없는 사안을 연계시키는 것은 야당의 고질병이다. 그래도 소야(小野)일 때는 '오죽하면…'이라는 동정이라도 받았다. 거야(巨野)가 먼저 장관 해임안을 제기해놓고 그걸 빌미로 정치 흥정을 한다는 것은 갑(甲)질일 뿐이다. 더민주당 출신 정세균 국회의장의 편파적·정파적 국회 운영은 심각한 수준이다. 국회의장은 여야 갈등을 중재·관리하면서 국회를 원만하게 끌고가는 자리다. 중립이 생명이다. 그런데 정 의장은 마치 야당의 행동대 같다. 정 의장은 24일 새벽 여당 원내대표에게 서류 통보만 한 뒤 의사 일정을 변경했다. 여당은 정 의장을 직권남용 등으로 형사고발키로 했다. 친정인 여당으로부터 온갖 비난을 들으면서 중립을 지키려 고민했던 전임 국회의장들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정 의장은 정기국회 개회사에 사드 문제 등에 대한 개인 정견(政見)을 담았다가 하루 넘게 국회 파행을 가져오기도 했다. 박 정부 들어 더불어민주당 등이 국회에 제출한 장관 해임 건의안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법무·교육부장관 등에 대해 네 번 냈다가 모두 폐기됐고 이번에 수적 우세를 바탕으로 가결시켰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이 거야(巨野)를 만들어 준 것은 대통령의 오기·독선을 견제하라는 뜻이었는데 야당은 힘을 얻자마자 똑같이 오만해졌다. 아마도 정부의 무능과 비리로 내년 대선(大選)도 따놓은 당상이라고 여기는 듯하다. 야권이 이번과 같은 갑질을 한두 번만 더 하면 내년 대선은 정부가 아니라 야당 심판대가 될 것이다. [인물 정보]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누구? [사설] 이석수 입 막으려고 갑자기 사표 수리했나 [사설] 백악관이 부인하지 않은 對北 선제 타격론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여기서 밀리면 大選까지 끌려다닌다… 오기 對 오기 * 최경운 기자 * 원선우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與·野, 국회 파행도 불사] - 새누리 "대통령 흔들기" "野 의도는 대통령 레임덕 불러 정권교체 쉽게 하려는 전략" 일각 "국감 거부는 부담" 시각도 - 野 "단독 국감, 失보다 得" 상임위 18곳중 10곳이 野위원장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 등 與 빠지면 진상규명 더 쉬워"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 건의안을 놓고 여야가 강하게 맞붙은 것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벌이는 '기 싸움'의 성격이 크다. 여기에서 밀릴 경우 이번 정기국회는 물론, 내년 대선 국면까지 상대에게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인식을 여야 공히 갖고 있다는 것이다. ◇국정감사 '보이콧'도 불사하겠다는 與 새누리당이 25일 정기국회 파행을 불사하고 국정감사 등 의사일정 거부를 검토하고 나선 것은 이번 사태를 그냥 넘길 경우 현 정부의 레임덕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야당이 여소야대(與小野大) 의석 수를 무기로 해임 건의안을 통과시킨 것 자체가 '대통령 흔들기'란 것이다. 이정현 대표가 이날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거짓 의혹으로 결국 대통령을 쓰러트려 레임덕으로 국정 혼란을 일으키고, 이를 핑계로 내년 대선에서 정권 교체를 하려는 것"이라고 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 대표는 이날 심야 의원총회에서 "(더민주는 대통령) 탄핵까지도 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도 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해임 건의안 처리를 신호탄으로 국정감사에서 박근혜 정부에 대한 야당의 공세가 최고조에 달할 것"이라며 "여기서 흐름을 끊지 않으면 현 정부가 식물 정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야당에 더 밀리면 새누리당 유력 대선주자의 윤곽이 어느 정도 공식화하기 전까지 여권은 리더십 공백을 맞을 수도 있다. 심야 의총 연 새누리 심야 의총 연 새누리 - 이정현(왼쪽)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의원들이 25일 밤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야당 단독으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 건의안을 가결한 것과 관련,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이진한 기자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정세균 같은 사람이 국회의장에 있는 한 국정감사는 정부·여당은 물론 국민을 상대로 한 야당의 '갑질' 자리가 될 게 뻔하다"면서 "(국감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다만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날 격앙된 분위기 속에서도 '국감 보이콧'을 명시적으로 거론하는 것에는 조심스러워하는 분위기도 엿보였다. 당 관계자는 "집권당이 정기국회 일정을 거부할 경우 국정을 내팽개쳤다는 비판 여론이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고, 보이콧을 먼저 거론하면 야당에 단독 국감 진행의 빌미를 줄 수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이 일단 26일 국감에는 불참하되 하루 이틀 정도 여론의 흐름을 살피다 의사일정에 복귀해 대야(對野) 투쟁을 이어가거나, 야당의 단독 운영 가능성이 있는 일부 상임위에는 참여해 의사일정 진행에 항의하는 방식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해임 건의안 여세 몰아 대선으로 가겠다는 野 반면 더민주와 국민의당 등 야권은 이번 해임안 가결 공조를 통해 거야의 힘을 보여주고 대통령의 독단적 국정 운영을 견제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야(野) 3당은 26일 열리는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새누리당이 '보이콧'하더라도 단독으로 진행키로 했다. 여소야대 국회라서 야당 단독 운영이 부분적으로 가능하고, 미르재단 의혹 등 대여(對與) 공격 소재가 쌓여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현재 국회 상임위 18곳 중 10곳의 위원장을 야당이 맡고 있다. 상임위 10곳은 새누리당 의원이 전원 불참해도 증인 채택과 상임위 개최 등 국감 일정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더민주 우상호 원내대표는 소속 의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상임위원장이 야당일 경우 정상적으로 국감을 진행하고, 위원장이 새누리당일 경우 새누리당 위원장과 의원들이 국감에 임하도록 27일까지 기다리자"고 했다. 더민주 더민주 "국감은 한다" - 우상호(오른쪽에서 셋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5일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26일부터 시작하는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와 관련한 방침을 밝히고 있다. /성형주 기자 야당이 '단독 국감'을 강행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실(失)보다는 득(得)이 많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더민주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는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의혹을 다루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는 새누리당이 보이콧하면 오히려 야당만으로 진상을 제대로 규명할 수 있다"고 했다. 야당 관계자는 "국감장의 여당 의원석이 텅 빈 모습을 보면 국민이 알아서 판단하실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힘을 바탕으로 한 야권의 공세가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득표 인하대 명예교수는 "야권으로선 현 정권을 조기에 무력화함으로써 정권 교체의 기회를 잡겠다는 것인데 이게 꼭 야당에 유리한 결과가 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했다. [인물 정보]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누구? 정치적 해임, 적법성 논란 조의준 기자 김재수 장관 해임안 거부… 마주 달리는 朴대통령과 巨野 정우상 기자 [2016092600190_0_thumb.jpg] 朴대통령 "민생 위기 '삼추가 여일각'인데… 정치시계 멈춰" 정녹용 기자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대학별고사 일정 등 담은 '50일 계획표' 세우세요 * 오선영 조선에듀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수능 D-50 마인드컨트롤·생활 관리 어떻게? 지난주까지 전국 4년제 대학이 2017학년도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마무리했다. 원서 접수에 신경 쓰느라 수능 공부에서 손을 놓았던 학생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대입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특히 합격·불합격을 가를 가장 중요한 관문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이제 50여 일밖에 남지 않았다. 각오를 새로 다지고 학습·생활 관리에 힘쓰지 않으면 합격의 꿈은 물거품이 되기 십상이다. 앞으로 수능까지 심리적으로 흔들리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수시 1단계 합격 발표에 동요 말아야 이맘때쯤 고 3 교실에는 여러 가지 심리가 공존한다. 합격을 지나치게 자신하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9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고사에서 낮은 성적을 받고 좌절하는 학생도 있다. 다음 달 초 수시모집 1단계 합격자가 나오기 시작하면 교실 분위기는 더욱 술렁일 것이다. 김혜남 서울 문일고 진학부장은 "특히 성적이 더 낮은 친구가 합격하고 자기는 떨어졌을 경우, 좌절감에 휩싸일 수 있다. 이때 흔들리지 말고, 입시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까지 중심을 잃지 않고 페이스를 유지하는 학생이 결국 좋은 결과를 얻더라"고 전했다. 유석용 서울 서라벌고 교사 역시 "원서 접수가 끝난 지금은 (지원 대학·학과·전형의) 경쟁률 등도 보지 않는 게 좋다. 공연히 심리적 압박만 받을 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고 충고했다. 흔들림 없이 페이스를 유지하려면 앞으로 남은 50일간의 계획표를 세우는 게 좋다. 수시모집에 지원한 학생들은 대학별고사 일정 등을 함께 적은 계획표를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놓고, 대학별고사와 수능을 균형 있게 준비한다. 유 교사는 "계획표는 가족이 모두 보게끔 냉장고나 식탁 등 공동생활 공간에도 붙여둬라. 그래야 가족들도 입시 스케줄을 알고 도와줄 수 있다"고 귀띔했다. 무엇보다 계획을 세울 때는 수시모집 때문에 수능 공부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많은 학생이 '지원한 6군데 중 한 곳은 붙겠지'라고 생각하지만, 수시모집에서 전부 낙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유 교사는 "수능 최저학력기준 등을 잘 살피고, 자신이 꼭 해야 될 수능 공부에 남은 시간의 8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수능 공부에 집중하면서 수시 대학별고사를 준비해야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점을 명심하라"고 강조했다. ◇자신을 믿고 스스로 격려해야 시험 불안 등을 잠재우는 데는 공부만큼이나 규칙적인 생활습관도 중요하다. 늦어도 밤 12~1시에 잠들고, 아침 6시경 일어나 수면시간을 6시간가량 확보해야 한다. 그래야 수능이 진행되는 낮 시간에 맑은 정신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맘때는 학교에서도 자습시간이 늘어나는데, 밤늦게까지 공부하고 낮에 잠자는 학생이 적지 않다. 김 교사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조차 페이스 조절에 실패하곤 한다"며 "지금부터 생활패턴을 확실하게 수능에 맞춰라"고 조언했다. 마음의 불안이 클 때는 친구·부모·교사 등 주위 가까운 사람과 즐거운 대화를 하며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갖는 게 좋다. 자신에게 힘이 되는 격려·응원의 말을 자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서울대 경영대학 1학년인 김도훈군은 지난해 이맘때 일기를 쓰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이겼다. 정시모집으로 서울대에 합격한 그는 수능을 코앞에 둔 10월 말을 심리적으로 가장 힘들었던 시기로 꼽았다. 김군은 "이맘때는 친구들도 모두 스트레스를 받아 예민한 시기다. 그래서 일기장을 '나만의 대나무 숲'으로 삼아 하고 싶은 말을 전부 적으며 스트레스를 풀었다. 일기장에 '잘할 수 있다' '힘내라' 같은 말을 쓰며 제 자신을 격려하고, 자기최면을 걸었다"고 전했다. 또 '수능 대박'이나 '대입 역전' 같은 요행을 바라기보다 '성적은 공부한 만큼 나온다'는 겸허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 김 교사는 "모의고사 성적이나 수시 결과 등에 일희일비하면 안 된다. 그러다가 취약점을 보강할 마지막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현재 성적과 공부 상황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수능까지 최선을 다해 공부하는 태도를 가지라"고 강조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美 쇼핑몰서 또 총격, 화장품 매장 5명 사망… 범인은 터키계 이민자 * 뉴욕=김덕한 특파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지난 23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주 벌링턴 캐스케이드 몰에서 총기를 난사해 5명을 살해한 터키 출신 이민자 아르잔 제틴(20)의 범행 당시 모습. 지난 23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주 벌링턴 캐스케이드 몰에서 총기를 난사해 5명을 살해한 터키 출신 이민자 아르잔 제틴(20)의 범행 당시 모습. /AP 연합뉴스 지난 23일(현지 시각) 저녁 미국 서북부 워싱턴주 벌링턴의 캐스케이드 쇼핑몰 내 메이시스백화점에서 괴한이 총격을 가해 5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워싱턴주 사법 당국은 이 사건 용의자로 터키계 이민자 아르잔 제틴(20)을 체포했다고 24일(현지 시각) 밝혔다. 제틴은 합법적인 미국 영주권자로 워싱턴주 오크 하버에 거주하고 있다고 사법 당국은 설명했다. 제틴은 범행 직후 달아났으나 사건 현장 폐쇄회로 동영상 등을 근거로 대대적인 수색 작업을 벌인 경찰에 의해 사건 발생 20여 시간 만에 체포됐다. 제틴은 터키 아다나 출신으로 작년 고교를 졸업했다. 고교 재학 때는 학생군사교육단(ROTC)에서 활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언론인 시애틀타임스는 제틴이 새아버지를 폭행한 혐의로 세 차례, 음주 운전으로 한 차례 입건된 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제틴은 화장품 매장을 향해 여러 차례 총을 쏴 10대를 포함한 여성 4명과 남성 1명을 숨지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테러를 비롯해 어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김재수 장관 앉혀놓고 '투명인간' 취급한 野黨 * 원선우 기자 * 곽래건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0 [국정감사 파행] - 野, 與 방어공백 속 정부 압박 金장관 대신 차관에게 주로 질문 외통위선 '위안부 합의' 비판하고 교문위선 '장관 필리버스터' 공격 야당은 26일 새누리당이 국정감사에 참여하지 않은 상황을 답답해하기보다는 활용하려 했다. 여당 의원들의 '수비'가 없는 상태에서 정부를 강도 높게 압박했다. 이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는 해임건의안이 가결된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사퇴 촉구가 이어졌다. 야당은 김 장관의 국감 출석과 증인 선서를 막지는 않았지만 질의는 주로 이준원 차관에게 했다. 사실상 장관 자격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이개호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에서 "자격 없는 장관이 우리 농촌을 구할 수 있을지 참으로 걱정"이라며 "김 장관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했다. 같은 당 김철민 의원은 "김 장관은 해임된 게 아니더라도 국무위원의 자격이 없고 직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 장관은 "국무위원으로서 농정 현안을 성실하게 해결하겠다"며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이준원(왼쪽)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2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야당 위원들의 질의에 대답하고 있다. 차관이 답변 - 이준원(왼쪽)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2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야당 위원들의 질의에 대답하고 있다. 야당 위원들은 해임건의안이 가결된 김재수(오른쪽) 장관에겐 거의 질문하지 않았다. /신현종 기자 교육문화체육관광위에선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상정을 늦추기 위해 대정부 질문에서 답변을 길게 하는 방법으로 시간을 끌었다는 이유로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몰아붙였다. 더민주 노웅래 의원은 "장관의 필리버스터는 단군 이래 처음"이라며 "청와대에 대한 답변을 국회를 상대로 국민에게 했다. 이는 국민을 개·돼지로 보는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당 소속 유성엽 교문위원장은 "대정부 질문 때 답변을 하신 장관들이 평상시와 다르게 길게 답변을 해서 회의 시간을 끌어간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었다"고 했다. 이에 이 부총리는 "지시를 받아 그렇게 한 게 아니고 교육부 추진 정책에 대해 소상히 설명을 드렸을 따름"이라고 했다. 외교통일위에서는 지난해 정부의 위안부 합의에 대한 공격이 진행됐다. 더민주 소속 심재권 외통위원장은 "정부가 피해자 할머니들을 배제한 채 일본과 합의한 굴욕적, 매국적 합의는 재협상돼야 한다"고 했다. 더민주 강창일 의원은 "절차상 문제가 많은 합의를 강행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 임기 내 '위안부 문제 해결'이라는 치적을 쌓기 위해 무리수를 둔 것"이라고 했다. 참고인으로 출석한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90)씨는 "우리가 25년 동안 쌓은 탑을 정부가 하루아침에 무너뜨렸다"고 했다. [인물 정보]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누구? 초유의 與대표 단식… 초강수 카드 꺼내 든 까닭은 최경운 기자 "與 보이콧, 우병우·이석수 문제 덮으려는 것" 정우상 기자 [2016092700297_0_thumb.jpg] 丁의장의 '맨입으론 안되지' 발언에 더 화난 與 엄보운 기자 국감 모두 파행… 여야, 지지층 결집 노리며 강수 박수찬 기자 국감 참여 거부하고 '감시병'만 보낸 여당 이옥진 기자 "그런 쇼는 야당도 안 한다"는 野 말에, 이정현 "장난 아니다" 김아진 기자 與 대표는 단식농성 돌입… 野는 나홀로 국감 최승현 기자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alternate Chosun.com [RSS] [부음] 김동우 前 공주대 교수 별세 외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김동우 前 공주대 교수 별세, 김문석 사업·김민정 부친상, 위재천 KBS 디지털뉴스부 기자 장인상=24일9시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6일9시, (02)2227-7597 ▲류재벽 별세, 류종남 강강술래 일산점 부장·류종성 前 광주광역시청 대변인·류종오 사업 부친상=25일11시24분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27일7시, (062)250-4413 ▲박종순 별세, 남재우 창원대 사학과 교수 모친상=25일3시 경남 창원시립상복공원, 발인 27일7시30분, (055)712-0893 ▲방일수 별세, 양성제 프로야구 롯데 전력분석담당 대리 모친상=24일14시15분 부산 서호병원, 발인 26일9시30분, (051)949-1024 ▲윤군협 별세, 윤도현 前 동아일보 AD본부 전략기획팀장·윤상필·윤주현 부친상, 박재현 경빈디자인 대표 장인상, 허진희 허진희법무사사무소 대표·최유리 시부상=24일22시 남양주 우리병원, 발인 26일9시30분, (031)574-4442 ▲윤영근 별세, 최민영 충북교육청 학생배치담당 사무관 장인상=24일17시 청주성모병원, 발인 26일7시, (043)210-5184 ▲윤치상 前 서울지방경찰청 경무관 별세, 윤성욱 기획재정부 국장 부친상=25일2시26분 삼성서울병원, 발인 27일9시, (02)3410-6902 ▲이래일 별세, 박철영 프로야구 넥센 코치 장인상=24일7시12분 국립경찰병원, 발인 26일8시, (02)431-4400 ▲전구연 별세, 전병준 前 신흥항공 전무이사·전병율 차병원그룹 대외협력본부장·전병곤 존스메디 대표 부친상, 남영주·염창선 리더스 헬스케어 영상의학과 과장·강미선 시부상=23일22시30분 강남세브란스병원, 발인 27일8시, (02)2019-4003 ▲정숙영 별세, 오상범 前 청와대 공보수석실 국장·오한근 한국알프스 차장·오현 한결치과 원장·오희 예일대 수학과 교수·오진 서울 초당초 교사 모친상, 안찬수 내일신문 편집위원·김성준 예일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정승회 가인초 교사 장모상, 이순자 담양고 교사 시부상=24일14시12분 광주 그린장례식장, 발인 26일7시, (062)250-4455 ▲정정자 별세, 김호영 연합뉴스TV 부산광고지사장 모친상=25일2시 부산 서호병원, 발인 27일9시, (051)949-1024 ▲조재열 별세, 조형석 사업·조천흠 브릿지경제 광고국 차장 부친상, 예은애 씨티은행 방배중앙지점 차장·권옥기 푸디컴 실장 시부상=23일23시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26일7시, (02)2227-7500 ▲지경순 별세, 탁용원 아주그룹 비서실 커뮤니케이션팀장·탁용주 새한오토밋션 대표·탁인성 대림코퍼레이션 DX사업부 차장 모친상, 이주영·강현순 시모상=25일17시 삼성서울병원, 발인 28일8시, (02)3410-3151 ▲탁정자 별세, 한경붕 플랙트우즈코리아 대표·한경희 모친상, 마동현 농협자산관리 상무 장모상, 박유순·김수진 시모상, 한울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근무 조모상, 마진영 외조모상=24일22시 이대목동병원, 발인 26일7시, (02)2650-2741 ▲홍동양 별세, 홍성경 이노센트가구 대표이사·홍성도 브라우니 인테리어소품 대표·홍인자·홍영자 마두파킹프라자 대표·홍민영 주한영국대사관 선임공보관·홍여신 여신갤러리카페 대표 부친상, 조길훈·류해원 일산 헤이즈넛농장 대표·서형석 더명장몰 대표·송용기 강진도깨비농장 대표 장인상=24일20시50분 인천 국제성모병원, 발인 27일3시, (032)290-3525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광화문에서/이동영]아∼ 옛날이여 이동영 정책사회부 차장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243%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89239.2.jpg] 이동영 정책사회부 차장   ‘눈치 지원을 없애고 소신 지원을 시켜야 한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성적을 통보받지도 못했는데 대학에 원서를 내는 선지원 후시험 방식으로 대학 입시를 치러야 했다. 학사모를 쓸 즈음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가 터져 난리통 같은 입사 전쟁도 겪었다.  1990년대에 대학 입학시험을 치르고 졸업한 세대는 현재 40대의 기성세대다. 이들은 불합리한 입시제도와 엄혹한 경제위기를 겪었지만 지금 세대보단 그나마 나았다는 말을 자주 한다. 얼핏 합리적으로 보이는 입시제도에다 경제 규모는 커졌고 일자리 숫자도 늘어난 요즘이다. 입시, 입사 자기소개서를 보면 대학 총장이나 대기업 경영진에 지원하고도 남을 만한 스펙을 갖춘 지원자가 한둘이 아니다. 그런데도 절대 다수에게 불합격 통지서가 날아드니 과거 힘든 시기를 겪은 세대가 현재 청년층을 안쓰럽게 바라볼 뿐이다. 자신들의 청년 시절엔 적어도 ‘좀 있으면 나아지겠지’라는 한 줄기 희망이 있었지만 지금은 시간이 갈수록 청년의 미래가 더 어둡기만 하다.  이런 처지인 청년의 미래를 밝게 만들어야 할 대학이 대수술을 코앞에 둔 중증 환자처럼 심한 진통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4년제 대학과 전문대 입학정원은 55만 명 선인데 7년 뒤 고교 졸업생은 40만 명 정도로 뚝 떨어진다고 한다. 부실하고 실적 없는 대학은 문을 닫아야 하고, 현재 명문대로 불리는 학교도 백화점식 학과 운영을 포기하고 특화된 분야에 집중하며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야 한다는 뜻이다. 서울대가 시흥에 캠퍼스를 추가로 짓고 이화여대가 평생교육단과대학 사업을 추진하려던 데에는 다 이런 배경이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소통 부재 등을 지적하며 거세게 반대하고 있다. 혹여 마음속으론 서울 아닌 지방에 캠퍼스를 두면 2류대가 되는 것으로 느끼는 건 아닌지, 직장인들과 같이 학위를 받으면 학교 이름값이 떨어진다고 본 건 아닌지 의심이 든다.  대학도 마찬가지다. 구조조정과 생존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학생과 학부모에게 희생을 강요하고 정작 철밥통 교수 자리에는 손도 대지 못하는 일이 적지 않다. 입시 때에는 분명 ‘영어로 수업한다’고 했지만 실제 수업에선 “자, 다들 한국말이 편하죠?”라는 교수가 있었다는 명문대 학생도 봤다. 학생에겐 ‘글로벌’을 강요하면서 어학 실력은 학생보다 한참 떨어지고 케케묵은 고전이론만 읊는다며 교수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높다.  기자로 일하면서 많은 사람을 만났다. 신기술로 무장해 나날이 성장하는 기업이나 혁신에 성공해 성과가 좋다고 평가받는 기관, 대학 사람들 입에서 ‘아∼ 옛날이여’라는 탄식을 들어본 기억은 없다. 그들은 현재와, 현재를 기반으로 한 미래를 말하기에 바빴다. 하지만 내리막길을 걷는 조직의 구성원은 여지없이 과거의 영광을 주로 이야기한다. 현재 어려움을 겪게 된 수만 가지 이유를 대는 것도 특징이다. 그러니 미래가 어떻게 좋아질지 말하지 못한다.  대학은 고등교육의 정점이면서 사회 각 기능의 두뇌와 손발을 키우는 인큐베이터나 다름없다. 개인의 ‘간판’으로 역할 한 것도 사실이다. 호시절에야 몇몇 부작용이 생겨도 견딜 만했겠지만 이제 학교 다닐 인구 자체가 줄어들고 ‘대학 교육이 살아가는 데 뭔 필요가 있나’라는 비아냥거림까지 듣는 지경이다.  지금은 마스크 쓰고 자신의 주장을 무한정 발산 중인 어느 대학의 학생이 시간이 흘러 기성세대가 됐을 때 ‘아, 그래도 그땐 명문대 소리라도 들었는데…’라고 한탄만 되풀이하진 않을지 걱정이다. 물론 학교 간판이 그때까지 남아있기라도 하면 다행이겠지만 말이다. 이동영 정책사회부 차장 argus@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대학 입시 | imf | 기성세대 | 청년 [관련연재] * 광화문에서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국회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野 “해임돼야 할 장관에 질문 안해”… 김재수 ‘투명인간’ 취급 편집국 종합, 홍수영 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3:16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286%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국정감사 파행]새누리 보이콧에 ‘반쪽 국감’ [80489283.1.jpg] 장관 옆에 있는데… 질문 공세 시달리는 농식품 차관 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앞줄 왼쪽)이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야당 단독으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야당 의원들은 24일 해임건의안이 가결됐지만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아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김재수 장관(오른쪽)에 대해 ‘국무위원 자격이 없다’며 질문을 하지 않은 채 차관에게만 질문 공세를 폈다. 세종=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26일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장.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영춘 농해수위원장과 야당 의원들이 들어서자 어색하게 인사를 나눴다. 김 위원장은 “해임건의안이 가결된 상황에서 (김 장관이) 증인 선서를 하는 것이 적합한지 의문”이라며 “하지만 대통령이 (해임건의안을) 불수용하면서 법률적으로 아직 장관직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선서는 장관이 하는 것으로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장관은 이후 ‘투명인간’ 신세를 면치 못했다. 여당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진행된 국감에서 야당 의원들은 김 장관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 더민주당 간사인 이개호 의원은 “김 장관이 국회의 불신임에도 국감에 증인으로 나와 유감”이라며 “오늘 질의는 차관에게 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은 쏟아지는 질문에 “장관과 논의하겠다” “장관이 답변하는 게 맞다” 등으로 대신 답하며 진땀을 뺐다. 다만 오후 국감에서 더민주당 김한정 의원이 김 장관에게 거취 문제 등을 따졌고, 김 장관은 “국무위원으로서 농정 현안을 성실히 해결하겠다”며 자진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김재수 해임건의안’ 후폭풍으로 20대 국회 첫 국감은 시작부터 파행했다. 당초 국회는 이날 법제사법위원회를 비롯한 12개 상임위에서 감사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새누리당의 불참으로 회의가 무산되거나 야당 의원만 참석한 채 ‘반쪽 국감’으로 진행됐다. ○ 야당 상임위에선 ‘반쪽 국감’  더민주당 소속 의원이 사회권을 잡은 상임위에선 여당 의원들의 참석을 기다리다 야당 단독으로 감사를 강행했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갑작스레 추가 증인을 채택하는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상임위 간사만 참석시켰다.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감은 심재권 위원장의 “(새누리당 간사인) 윤영석 의원 외에 여당 의원들이 나오지 않아 유감”이라는 말로 시작됐다. 윤 의원은 “국회의장이 비정상적 행태를 거두고 편파적이지 않게 국회를 운영한다면 (여당은) 지금이라도 국감에 참석할 것”이라고 맞섰다.   국토교통위원회는 오전 10시 여당의 참석을 촉구하는 의사진행 발언만 이어가다 약 30분 만에 정회됐다. 조정식 국토위원장은 오후 2시경 “여당이 참석하지 않은 걸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중요한 업무라서 진행하겠다”며 국토교통부에 대한 감사를 시작했다. 보건복지위원회도 역시 개의 12분 만에 정회됐다가 오후에 야당 단독으로 보건복지부 감사를 진행했다.  국민의당 소속 위원장을 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위원장 유성엽)와 산업통상자원위원회(위원장 장병완)는 다소 엇갈린 행보를 보였다. 유 위원장은 “새누리당을 설득해 같이 하면 좋겠다”며 28일로 감사를 연기했다. 산업위는 야당 의원만 참석한 채 진행했다. ○ 여당 상임위에선 “돌아오라”  새누리당 소속 위원장을 둔 법사위, 정무위,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국방위, 안전행정위는 국감을 위한 전체회의를 아예 열지 못했다.  정무위는 국무총리비서실과 국무조정실을 대상으로 국감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이진복 위원장을 비롯해 여당 의원이 전원 불참하면서 파행했다. 당초 인사말이 예정됐던 황교안 국무총리도 참석하지 않았고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등 주요 간부만 자리를 지켰다. 야 3당 의원들은 간담회로 대체해 여당 성토를 이어가다 “새누리당은 국민께 부끄러운 국회가 되지 않도록 당장 국감장으로 돌아오라”는 성명을 발표한 뒤 회의를 마쳤다. 법사위와 국방위 야당 의원도 각각 국감을 위해 대법원과 국방부에 갔다가 오후 3시경 전원 철수했다.  한편 농해수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에게는 미르재단 및 K스포츠재단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이 부회장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후속 대책과 관련해 출석했지만 재단에 800억 원에 이르는 출연금을 낸 경위와 청와대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 씨와의 관계 등에 질문이 집중됐다. 이 부회장은 “(재단 설립은)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서 한 것”이라며 “(최 씨를) 만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최 씨의 단골 스포츠마사지센터 원장인 정동춘 씨가 K스포츠재단 2대 이사장을 맡은 데 대해선 “그쪽(K스포츠)에서 선임한다고 했으니 동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편집국 종합 추천해요 관련기사 김재수 | 새누리 | 국감 * 김재수 장관 자진사퇴 거부 “국무위원으로 성실히 현안 해결하겠다” * 巨野 단독국감 강행 與대표는 단식 농성 * “巨野 횡포 그냥 못넘겨”… 집권당대표 사상초유 단식 배수진 * ‘전부 아니면 全無’가 파국 불러… 서로 물러설 명분 찾아줘야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국회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필리버스터 장관’에 野 집중포화 김호경 기자 , 유성열 기자 , 최예나 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3:31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29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국정감사 파행] 김재수 해임안 의결 방해 추궁에 이기권 고용-이준식 교육 진땀 “시간끌기 요청받은 바 없다”  고용노동부와 교육부 국정감사에서는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의결을 막기 위해 ‘국무위원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를 한 것 아니냐는 야당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6일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고용부 국감이 시작되자 곧바로 의사진행발언을 요청한 뒤 “(23일 국회에서) 여당 의원이 질문을 할 때 답변 시간을 늘려 달라는 요청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지 않았느냐”고 이기권 장관에게 물었다. 이 장관은 “전에도 (국회에 참석하면) 한 질문에 7∼8분씩 답변할 때가 있었다. 설명 드릴 게 많으면 그렇게 한다”며 “그런 요청은 전혀 받은 바 없다”고 부인했다. 같은 당 강병원 의원은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가 국무위원들을 불러서 답변을 길게 해달라고 요청했다”며 “이 장관 발언은 위증의 소지가 있는 것 아닌가”라고 추궁했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역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 노웅래 더민주당 의원은 “장관의 답변은 청와대에 잘 보이려고 하는 것이었다”며 “국회를 능멸하고 국민을 개돼지로 보는 건데 청와대가 지시해서 그렇게 한 건지 잘 보이려고 (스스로) 한 건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김병욱 의원도 “장관이 그날 ‘내가 뭐 한도 없이 말할 수 있겠지만’이라고 했는데 그런 명령 받은 것을 토로한 것”이라며 “아무리 영혼 없는 공무원이라지만 명백한 사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부총리는 처음에는 “국무위원의 한 사람으로 의원님 질의에 충실히 답변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질타가 이어지자 “평소보다 답변이 길게 이어졌다”면서도 “이전에도 답변이 길어진 적이 있었기에 정상·비정상으로 나눌 수는 없다”고 한발 물러섰다.  반면 기동민 더민주당 의원은 보건복지부 국감에서 “소신 있게 답변하면서 정부 부처를 대표하는 수장으로서 면을 세웠다”고 방문규 복지부 차관을 치켜세웠다. 대정부질문에서 비교적 짧게 답변했던 것을 칭찬한 것이다. 세종=유성열 ryu@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경제부 페이스북 기자 블로그 ·최예나·김호경 기자 추천해요 관련기사 필리버스터 | 김재수 | 무제한토론 * “전기료 黨政이 협의”… “野는 무시하나” * 野 “해임돼야 할 장관에 질문 안해”… 김재수 ‘투명인간’ 취급 * 巨野 단독국감 강행 與대표는 단식 농성 * 靑 “마라톤 35km 지점처럼 지금이 고비”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내 생각은/이건원]아직도 배석 서열이 있다니 이건원 노인심리상담사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31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어느 행사에 참여했더니 자리 배치가 제일 어렵다는 소리를 들었다. 시대가 어느 때인데 배석 서열을 아직도 관행처럼 중시하고 있다고 한다.  주변의 어느 관공서든 이른바 의전을 이유로 기관장들의 배석 서열이 정해져 있다. 일명 건제순이란 것인데, 사실상 보이지 않는 권력의 과시를 의미한다. 실례로 도(道) 단위 행사는 도지사, 도의회 의장, 국회의원 그리고 법원과 검찰 등의 순으로 헤드 테이블과 일반 좌석을 배치한다.  그러나 종종 이 순위를 놓고 기관끼리 자리다툼이 벌어지면서 주최 측이 애를 먹기도 한다. “행사는 의전이 반”이라는 말도 나오는데 이런 배경이 작용한 결과다. 그러다 보니 정작 행사의 주된 의미는 사라지고 자리 배치에나 신경 쓰며 모두들 피곤해한다.  특히 문화 행사나 학교 행사에서 문화 및 교육 관련 기관장들은 후순위이고, 권력 기관장들이 앞에 나서는 모습을 자주 본다. 앞으로는 VIP석을 없애고 주요 기관장도 회원과 함께 앉아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등 격식을 파괴해야 한다. 간혹 내빈 소개를 생략하고 요란한 영접과 환송을 금하는 행사도 보는데 아주 참신하게 느껴진다. 관행적인 축사와 고위직이 오길 기다리며 개회를 미루는 등의 구태도 벗어던질 때가 됐다.  4차 산업혁명의 파고가 몰아치는 시기에 기관장 자리 배치에 힘을 쏟으며 다툼까지 벌이는 나라는 세계 문화를 선도할 수 없을 것이다. 이건원 노인심리상담사 추천해요 자리 배치 | 배석 서열 [관련연재] * 내 생각은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람속으로 * 최신기사 * 인물동정 * 인사 * 부고 * 사고 * 본사손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람속으로>인사 * 인사일반 * 기획 * 사고 (BUTTON) [인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 外 동아일보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46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장 오우택  ◇한국VR산업협회 △회장 윤경림  ◇조선대 △기획조정실장 전의천 △교무처장 김하림 △대외협력처장 이계만 △연구처장 이인화 △인사혁신처장 김종래 △입학처장 이범규 △취업학생처장 윤갑근 △기획조정부실장 김병욱 △산학부처장 김대현 △연구부처장 박종철 △양성평등센터장 김택호 △중앙도서관장 김재수 △언어교육원장 이승권 △평생교육원장 신대윤 △정보전산원장 변재영 △박물관장 이기길 △미술관장 김익모 △보건진료소장 박준희 △민주화운동연구원장 김춘환 △학부교육선도사업단장 홍성금 △LINC사업단장 고진석 △대학원 부원장 김경자 추천해요 [관련연재] * 인사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大入 학종 확대뒤 일반고출신 합격자 줄어 유덕영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48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작년까지 3년새 2.5%P 감소… 자율고 출신은 2.3%P 늘어나  4년제 대학의 일반고 출신 신입생 비율은 줄어들고 자율형사립고를 포함한 자율고 출신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송기석 의원(국민의당)이 교육부에서 받은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별 현황’에 따르면 일반대 교육대 산업대 등 4년제 대학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은 2013학년도 79.4%에서 2016학년도 76.9%로 2.5%포인트 감소했다. 학생 수는 2만2196명이 줄었다.  특목고와 특성화고 졸업생 비중은 같은 기간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다. 특목고는 4.4%에서 4.2%로, 특성화고는 4.7%에서 4.5%로 각각 줄었다.  반면 자율고는 전체 신입생 중 차지하는 비율과 학생 수가 모두 증가했다. 자율고에는 자율형사립고, 자율형공립고, 자율학교 등이 포함된다. 4년제 대학에 입학한 자율고 출신 학생의 비율은 7.4%에서 9.7%로 2.3%포인트 증가했다. 학생 수는 2013학년도 2만7719명에서 2016학년도 3만4579명으로 6860명 늘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주요 10개 대학의 경우 일반고 출신 신입생의 비율은 더욱 낮았다. 이들 대학의 2016학년도 신입생 중 일반고 출신 비율은 56.2%로 전체 4년제 대학 평균과 20.7%포인트 차를 보였다. 주요 10개 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중은 분석 대상 기간 중 1.5%포인트 줄었지만 자율고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13학년도 11.9%(4174명)에서 2016학년도 15.6%(6139명)로 3.7%포인트 증가했다. 10개 대학에 입학한 자율고 출신 학생 수는 3년 만에 47% 증가한 것이다.  일반고 졸업생이 줄고 자율고 졸업생이 늘어나는 동안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는 신입생의 비중은 크게 증가했다. 2013학년도 11.9%(4만5045명)에서 2016학년도 18.5%(6만7631명)로 확대됐다.  송 의원은 “학생부 종합전형이 일반고 학생들에게 유리하다는 주장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학생부 종합전형과 수시모집 확대 등에 대해 전면적인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대입 | 학종 | 일반고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람속으로 * 최신기사 * 인물동정 * 인사 * 부고 * 사고 * 본사손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람속으로>인사일반 * 인사일반 * 기획 * 사고 (BUTTON) [인사]조선대 동아일보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607%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조선대 △기획조정실장 전의천 △교무처장 김하림 △대외협력처장 이계만 △연구처장 이인화 △인사혁신처장 김종래 △입학처장 이범규 △취업학생처장 윤갑근 △기획조정부실장 김병욱 △산학부처장 김대현 △연구부처장 박종철 △양성평등센터장 김택호 △중앙도서관장 김재수 △언어교육원장 이승권 △평생교육원장 신대윤 △정보전산원장 변재영 △박물관장 이기길 △미술관장 김익모 △보건진료소장 박준희 △민주화운동연구원장 김춘환 △학부교육선도사업단장 홍성금 △LINC사업단장 고진석 △대학원 부원장 김경자 추천해요 [관련연재] * 인사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국회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巨野 단독국감 강행 與대표는 단식 농성 이재명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7:59:56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219%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국민은 안중에 없는 ‘强대强 정치’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 반쪽 파행… 상임위 12곳중 6곳은 아예 못열려 이정현 “정세균 사퇴” 무기한 단식 [80489233.1.jpg] ‘정국 핵’ 김재수 장관 출석… 與의원들은 보이콧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장에 여당 의원들의 자리가 텅 비어 있다. 야당이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오른쪽)의 해임건의안을 가결한 데 반발한 여당이 보이콧을 선언해 파행을 빚었다. 세종=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거대 야당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과 박근혜 대통령의 해임건의안 수용 거부 등 여야의 정면 대치로 20대 국회의 첫 국정감사는 파행으로 얼룩졌다. 집권 여당 대표는 26일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했고,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단독 국정감사 강행으로 각자의 길을 갔다. IFRAME: http://voda.donga.com/play?cid=748923&;encode_type=32&isAutoPlay=1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해임건의안 가결 당시 ‘편파 진행’ 논란을 빚은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이날 오후부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집권 여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초유의 일이다. 이 대표는 단식 농성을 시작하며 “거야(巨野)의 횡포를 막을 다른 방법이 없다. 정세균 의원(의장임을 거부한다는 의미로 의원이라고 부름)이 파괴한 의회민주주의를 복원하기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를 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최고위원회를 ‘정세균 사퇴 관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 비대위원장은 조원진 최고위원이 맡았다. 김성태 의원은 정 의장 사퇴 관철추진위원장으로 비대위에 참여했다. 새누리당은 이날부터 국회 로텐더홀에서 1인 시위도 벌였다. 첫 주자는 김무성 전 대표였다. 새누리당은 앞으로 매일 오전, 오후 의원총회를 열어 정 의장을 압박할 계획이다.  새누리당이 야당의 투쟁 방식인 일정 보이콧과 단식 농성, 1인 시위를 택한 건 ‘소수 여당’으로서 정국 돌파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갈등을 만드는 새누리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구(舊)정치 중의 구정치”라고 비판했다.  정 의장은 이날 여야 3당 원내대표 회동을 제안했지만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거부해 야당 원내대표들만 만났다. 정 의장은 새누리당이 보이콧한 국정감사를 2, 3일 연기하자고 제안했다. 박 원내대표는 수용했으나 더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거부했고 국감 첫날 곳곳에서 파행을 빚었다. 상임위원회 12곳 중 새누리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5곳과 국민의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는 국감을 진행하지 못했다. 나머지 6곳은 야당 단독으로 열렸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관련기사 국감 | 야당 | 김재수 * 靑 “마라톤 35km 지점처럼 지금이 고비” * ‘해임안 흥정 발언’ 궁지 몰린 정세균 * “巨野 횡포 그냥 못넘겨”… 집권당대표 사상초유 단식 배수진 * “전기료 黨政이 협의”… “野는 무시하나”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최신기사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 소식 * O2플러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연예>전문기자의 원샷 원킬 * 방송/연예일반 * 방송 * 영화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대중음악 * 대중문화 웹진 O2 (BUTTON) [정양환 기자의 억지로 쓰는 문화수다]해외 케이팝 팬들의 ‘낯선 영어-문화’ 배우기 정양환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8:51:55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497%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89481.1.jpg] 정양환 기자  이달 초, 동아일보가 3회 시리즈 ‘아이돌 20년, 일상을 바꾸다’를 연재한 뒤 이메일 한 통을 받았다. 정년퇴직한 60대라고 밝힌 어르신은 “요즘 가요시장을 알게 돼 반갑다”면서도 약간의 푸념을 털어놓았다. 노래도 용어도 너무 생경하다는 의견이었다.  “그룹 이름이야 그러려니 합니다. 근데 웬 외래어가 그리 많소. 인터넷도 찾아봤는데, 몇몇은 도저히 모르겠습디다. 손자 놈은 그것도 모르냐며 핀잔만 주네요.”   ‘나쁜 손자 놈’(글에 적힌 호칭이다). 그리고 더 나쁜 기자 놈. 워낙 요즘 한국 가요가 ‘케이팝(K-pop)’이라 불리며 국제적인지라. 다시 들춰봐도 확실히 영어식 표현이 많다. 반성하고 또 반성한다.  그 대신 해외 팬들은 좀 편안하지 않을까. 근데 그건 또 아닌 모양이다. 최근 미국 인터넷 매체 ‘데일리닷’은 ‘케이팝 A-Z: 초보자 용어사전’이란 기사를 게재했다. 우린 쉽게 쓴 말도 그들 눈에 희한한 모양. 그중 몇 가지만 보자.  ①컴백(comeback)=망했거나 은퇴했다가 나타난다는 의미의 복귀나 재기가 아니다. 케이팝에선 ‘새 노래를 발표하며 공식 활동에 나서는 것’을 컴백이라 부른다. 한 가수가 수십 번씩 복귀하는 셈이다. 쉰 것도 아니다. 발표 몇 달 전부터 뮤직비디오 촬영, 군무 연습, 사진 촬영과 배포 등으로 정신없다. 주야장천 일하는데 ‘돌아왔다’고 한다는 것이다.  ②눈웃음(eye smile)=당장 유튜브에 ‘eye smile’만 쳐봐도 이게 왜 케이팝 문화인지 안다. 한국 걸그룹의 눈웃음이 끝도 없이 쏟아진다. 데일리닷은 “눈웃음이란 아이돌이 기쁨을 표현하며 눈이 초승달(crescent) 형태로 변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역시 영어엔 없는 표현이다.  ③네티즌(netizen)=이것도 외국인은 낯설다. “정확한 뜻은 인터넷 시민”이란 설명까지 붙였다. 그들에게 한류 ‘네티즌’은 부정적 뉘앙스가 강한가 보다. “아이돌에 대한 비난으로 악명 높은데 때론 악독(toxic)하기까지 하다. 외모와 몸무게, 성형수술, 데이트나 스캔들까지 모든 걸 문제 삼는다.”  ④여장(X-dressing)=데일리닷은 “보이그룹이라면 꼭 한 번씩 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콘서트나 TV쇼에서 소녀 차림으로 유명 걸그룹 노래를 따라하는 무대를 선보인다. 한류에 빠지고 싶거든 이를 이상하게 여기지 말아야 한단다. 한국에선 이를 동성애나 트랜스젠더를 둘러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거론하지 않는다며.  한류는 참 멋진 일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올림픽과 월드컵을 개최해도 쉽지 않던 한국 알리기가 아이돌 노래를 타고 세계 곳곳으로 퍼진다. 그런데 한류의 확산은 외국인도 우리를 더 꼼꼼히 들여다본다는 뜻일 터. 이젠 그 속에 담긴 메시지를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데일리닷은 케이팝의 ‘서열’에 대한 해설도 곁들였다.  “한국 아이돌 그룹엔 꼭 ‘리더’가 존재한다. 주로 나이가 많거나 연습생 생활을 오래한 멤버가 맡는다. 리더는 그룹을 통솔하며 대변자 역할도 한다. ‘막내’도 있다. 노래 중간에 팬들은 멤버 이름을 외치는데, 주로 나이순이다. 아이돌은 이르면 12세부터 시작하는 연습생 시절부터 엄격한 예절교육까지 받는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IFRAME: http://global.donga.com/View/iframe?idxno=201511200074 추천해요 관련기사 케이팝 | k-pop | 눈웃음 | 네티즌 * 아이돌 20년… 일상을 바꿔놓다 [관련연재] * 정양환 기자의 억지로 쓰는 문화수다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alternate Chosun.com [RSS] 58개기관 국감 모두 파행… 與野, 지지층 결집 노리며 강수 * 박수찬 기자 * 황대진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0 | 수정 : 2016.09.27 07:27 [국정감사 파행] 서로에게 책임 돌리며 "갈 데까지 가보자"… 대치 장기화 가능성 - 全상임위서 정상진행 못해 與 상임위원장 5곳 開會도 무산… 野 상임위원장 7곳은 반쪽 국감 - 여야 모두 '정치적 이득' 기대 與, 보수층 겨냥 巨野 독주 부각… 당내 친박·비박 응집력도 커져 더민주, 국민의당과 공조 통해 호남 등 전통 지지층 회복 계기로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사태에 반발한 새누리당 의원들의 불참으로 26일 첫날부터 파행했다. 국회는 이날 12개 상임위원회가 58개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실시할 예정이었지만 정상적으로 진행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새누리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5개 상임위는 국감을 시작도 못 했고, 야당이 위원장을 맡은 7개 상임위는 여당 의원들이 불출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여야는 파행 책임을 상대방에게 전가했지만 속으로는 서로 '국감 안 해도 된다' '여당 없이 우리끼리 하면 된다'는 계산이어서 대치가 장기화될 수도 있을 조짐이다. ◇12개 상임위 모두 파행 새누리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법제사법위, 정무위,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국방위, 안전행정위는 사회권을 가진 위원장이 불참하면서 아예 개회(開會)도 못 했다. 법사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서울 서초동 대법원에서 대법원, 양형위원회 등 6개 기관에 대해 국감을 실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권성동 법사위원장을 비롯한 새누리당 의원들이 불참하면서 오전 11시쯤 야당 의원들도 퇴장했다. 야당 의원들은 오전 11시 30분 대법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당은 국감장에 나와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관련 각종 비리 및 외압 행사 의혹,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 감찰 활동 관련한 외압 의혹 등을 규명하라"고 촉구한 뒤 해산했다.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조정실과 국무총리비서실을 대상으로 열릴 예정이던 정무위 국감도 야당 의원들이 오전 내내 회의장에서 기다렸지만 새누리당 위원들이 끝내 불참하자 오후 1시 30분 야당 의원마저 철수했다.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1987년 개헌으로 국정감사가 재도입된 이후 국감이 전면 보이콧된 전례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텅 빈 여당석 -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이 26일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던 미래창조과학부에 대한 국정감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그러나 신상진 위원장을 비롯한 새누리당 의원들이 불참함에 따라 이날 국감은 무산됐다. /이덕훈 기자 야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외교통일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산업통상자원위, 보건복지위, 환경노동위, 국토교통위 등 7개 상임위는 일단 개회는 했지만 파행을 면치 못했다. 교육부 등 7개 기관에 대한 교문위 국감은 개회 34분 만에 중단됐다. 나머지 6개 위원회는 야당 단독으로 국감이 진행됐다. ◇與野 모두, '지지층 회복·결집' 노려 여야가 국회 실종이라는 비난에도 이처럼 강하게 맞서는 데는 나름대로 정치적 실익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거야(巨野)의 독주를 부각시켜 보수 지지층을 결집하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 실제 이번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파동과 관련한 대야 투쟁 과정에 김무성 의원 등 비박계가 앞장서는 등 당내 응집력은 커지고 있다. 당 관계자는 "지난번 정세균 의장 개회사 파동 때처럼 이번에도 친박·비박이 하나가 된 모습"이라고 했다. 해임건의안이 국정감사의 최대 이슈로 떠오르면서 미르·K스포츠재단 등에 관한 야당의 의혹 제기에 김을 빼는 효과도 있다. 야당도 이번 사태가 자신들에게 득이 더 많다고 보고 있다. 우선 해임건의안 처리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공조를 통해 호남 등 전통 지지층이 결집하는 계기가 됐다고 보고 있다. 더민주 관계자는 "국회 파행이 길어질수록 이 같은 여야 간 대결 전선은 더욱 분명해질 것"이라고 했다. 사상 초유의 여당 국감 보이콧 사태에 대한 책임이 결국은 여권으로 돌아갈 것이란 계산도 하고 있다. 더민주 관계자는 "여당이 국감을 거부하면 스스로 여당임을 포기하는 게 돼 여론이 등을 돌릴 것이고, 여당이 국감장에 돌아와도 국감장에서 주도권은 야당이 쥘 수밖에 없다"며 "어느 쪽도 실리는 야당에 있다"고 말했다. 여야는 다만 국회 파행이 장기화될수록 정치권 전체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의식해 적절한 시점과 계기를 찾아 타협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인물 정보]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누구? 김재수 장관 앉혀놓고 '투명인간' 취급한 야당 원선우 기자 초유의 與대표 단식… 초강수 카드 꺼내 든 까닭은 최경운 기자 [2016092700297_0_thumb.jpg] 丁의장의 '맨입으론 안되지' 발언에 더 화난 與 엄보운 기자 "與 보이콧, 우병우·이석수 문제 덮으려는 것" 정우상 기자 국감 참여 거부하고 '감시병'만 보낸 여당 이옥진 기자 "그런 쇼는 야당도 안 한다"는 野 말에, 이정현 "장난 아니다" 김아진 기자 與 대표는 단식농성 돌입… 野는 나홀로 국감 최승현 기자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영화발전기금은 고갈되는데… 업무추진비 ‘펑펑’ 조용휘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62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택시비-편의점 물품구입비 등 영화진흥위 임원들 카드로 사용 시간외 사용도 270여건 발견, 도덕적 해이 도마에 올라  출근이 비교적 여유로운 한 기관의 간부인 B 씨는 오전 11시경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 사무실 근처 편의점에서 2500원을 업무추진비(업추비) 카드로 결제했다. 이어 오찬에 참석하기 위해 해운대 미포까지 이동한 택시비 7000원과 식대 4만5000원, 식후 커피 값 2만800원도 업추비 카드로 결제했다.  이날 B 씨는 광안리 수변공원 장어식당의 만찬 식대 12만6000원과 만찬 후 식당 인근 양식당에서 36만 원, 귀가 택시 요금 5520원, 숙소 근처 편의점 물품구입비 2만2250원 등 오전부터 다음 날 오전 1시 반까지 모든 결제를 업추비 카드로 했다. 이렇게 B 씨가 하루에 사용한 업추비만 60만3970원이었다.  상황을 얼핏 보면 기업에 근무하는 한 간부의 무분별한 업추비 카드 사용을 그린 영화 같은 이야기다.  하지만 국내 영화산업 진흥과 기금 관리를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인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 영화진흥위원회 주요 임원 가운데 한 사람이 지난해 7월 사용한 업추비 카드의 실제 명세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재수 의원(더불어민주당·부산 북-강서갑)은 영진위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임원 업무추진비 집행 내역’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도덕적 해이가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기획재정부의 업추비 사용지침에 따르면 유흥주점, 주류 판매점, 소주방, 호프집, 막걸리집 등에서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또 업추비 집행 시간은 근무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영진위의 업추비 카드 집행 명세를 분석한 결과 B 씨뿐만 아니라 주요 임원의 집행 명세 중 기획재정부가 제한하고 있는 시간 외 사용이 무려 270여 건 발견됐다. 밤 12시부터 다음 날 오전 4시까지 사용 횟수도 100건이 넘었다.  밤 12시부터 다음 날 오전 4시까지 교통비 지급 건수가 50건으로 많게는 건당 4만6000원까지 지급됐다. 사용이 제한된 새벽시간대에 주점에서 36만 원까지 사용하기도 했다.  전 의원은 “영진위의 이 같은 기형적인 업무추진비 사용 명세는 문체부 산하 주요 공공기관의 업무추진비 명세와 비교가 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며 “영화발전기금이 고갈되고 있는 마당에 영진위는 ‘모럴해저드위원회’가 되어 버렸다”고 꼬집었다.  전 의원은 영진위 주요 임원의 업추비 사용 특징은 업무·용도 외 사용이 다른 기관에 비해 높은 점, 기형적 교통비 지출이 많은 점, 시간 외 사용과 더불어 주점에서 사용한 명세가 빈번하다는 점 등 전체적으로 낭비성 과잉 집행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영진위 주요 임원의 업추비 사용 명세는 8400여 건에 8700만 원이며 사용된 금액은 모두 영화발전기금으로 나타났다.  전 의원은 “영화발전기금은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국민들이 내준 소중한 예산”이라며 “소중히 모은 기금을 관리하고 책임질 인사들이 사재처럼 남용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질타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영화진흥위 | 업무추진비 | 영화발전기금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호남제주/게시판]광주 추억의 7080 충장축제 外 동아일보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68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광주 □추억의 7080 충장축제=29일∼10월 3일 금남로 일원. 062-608-3930 □시립민속박물관, 성인공예교실=10월 5일∼11월 23일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박물관 민속체험관. 10월 4일까지 성인 여성 20명 선착순 모집. 062-613-5365 □남구 학부모 교육포럼=29일 오후 3시 남구청 8층 회의실. 주제 ‘문화교육 공동체를 위한 학부모 참여와 역할’. 062-607-2412 □남도향토음식박물관, 남도음식 경연대회=11월 11일 낮 12시 반∼오후 5시 반 박물관 2층 대회장. 콩과 보리를 이용한 향토음식, 퓨전 음식 분야. 10월 28일까지 방문 및 우편 접수. 30팀 모집. 062-410-6638 전주 □국립전주박물관, 박물관대학 수강생 모집=12월까지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 오후 2시 박물관 강당. 주제 ‘실크로드, 동서문화 교류’. 사전 접수 후 참여 가능. 063-220-1015 □우진문화재단, 우진미술기행 참가자 모집=10월 15일 오전 8시 출발. 한국국제아트페어(KIAF)가 열리는 서울 코엑스와 국제갤러리 방문. 참가비 일반 4만 원, 초등학생 이하 3만5000원. 전화 접수. 063-272-7223 추천해요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경제 * 최신기사 * 기업CEO * 부동산 * 금융 * 정책 * JOB * 자동차 * 유통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경제>기업·CEO * 경제일반 * 건설 * 금융 * 기업 * 무역 * 산업 * 부동산 * 운수/교통 * 유통 * 자동차 * 재정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세금 * 인물/CEO * 고용 * 정책/칼럼 * 기업·CEO * ePR뉴스 * 모바일/인터넷 * 세상은 지금 * 국제경제 * 경제골프 (BUTTON) [2016 대한민국 혁신기업인 대상]우수한 기술로 임플란트 치료의 신기원 열어 황효진 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79717%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기술-품질 부문/ 이노바이오써지(IBS 임플란트) 왕제원 대표 [80479709.2.jpg]  ㈜이노바이오써지는 왕제원 대표가 임플란트 치료를 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된 데서 출발한다. 기존 치료법이 환자에게 큰 손상을 줄 수밖에 없으며, 임상가가 임플란트 치료를 하는 방법이 너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는 관련 치료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으므로 이제는 모든 치과의사가 쉽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어야 하며, 환자에게는 손상을 줄여 부작용을 적게 하고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플란트 제품과 치료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인식아래 2003년부터 환자 잇몸을 절개하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골이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이러한 새로운 방향성에 따른 제품을 생산, 교육, 보급하기 위해 이노바이오써지, 즉 IBS 임플란트를 설립한 것이다. [80479708.2.jpg]  현재 IBS 임플란트는 크게 3가지 분야를 주력으로 하며, 다른 회사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바로 임플란트 제품 생산과 더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 개발, 그리고 임상적인 교육시스템의 확립이 그것이다. IBS임플란트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쉽고 완벽하게 해결하고 있으므로 많은 임상가들이 IBS임플란트 시스템의 교육에도 관심을 갖게 했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왕성한 임상교류와 연구에 의해 IBS 임플란트 시스템으로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과 무절개 골이식 등과 같은 획기적인 외과술식이 개발되어 세계적인 표준이 될 가능성을 높였다. 황효진 기자 herald99@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이노바이오써지 | 왕제원 | 기업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참전용사 돕기 ‘천사운동’ 동참을 신고합니다” 이인모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446%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1군사령부 작년 12월부터 캠페인, 3만여명 동참해 기금 3억원 적립… 생계 어려운 불우 장병 등 도와 [80488440.1.jpg] 제1야전군사령부 내에 설치된 ‘천사운동 사랑의 행복온도탑’. 경제적으로 어려운 6·25전쟁 참전용사와 장병들을 돕기 위한 것으로 천사운동 목표 인원인 정기 후원자 4만 명을 100도로 환산했다. 제1야전군사령부 제공 “천사운동 동참을 신고합니다.”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가 6·25전쟁 참전용사와 불우 장병을 돕기 위해 펼치고 있는 ‘천사(1004)운동’이 참여 인원 3만 명을 돌파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천사운동은 현재 3만3700여 명이 동참해 약 3억 원의 기금이 적립됐다. 이 가운데 장병은 1만8000여 명이고 나머지는 장병 가족과 지방자치단체 직원, 독지가 등 일반인이다.  천사운동은 1군사령부가 우리 사회의 기부문화 확산과 ‘따뜻한 병영, 전우애가 넘치는 병영’을 만들기 위해 진행 중인 ‘꿈 프로젝트’다. 4만 명의 장병이 매월 1000원을 기부하도록 목표를 정해 ‘1004운동’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기부하고 집행함으로써 모든 과정이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다.  천사운동은 크게 세 분야로 구성돼 있다. 강원도에 거주하는 6·25전 참전용사의 생계비와 의료비, 주거비 등을 지원하는 ‘호국영웅 기금 모금운동’과 경제적 형편이 어려운 장병들을 돕기 위한 ‘전우사랑 기금 모금 운동’, 장병 개개인의 꿈을 이루기 위한 ‘꿈통장(꿈을 품은 통일대 장병) 운동’이다.  기금이 일정액 적립되자 1군사령부는 6월부터 집행을 시작해 생계가 어려운 참전용사 78명에게 3400여만 원을 지원했다. 또 이달부터 참전용사 143명에게 매월 20만 원씩 총 2800여만 원을 정기 지원하고 있다.  추석 때는 참전용사와 불우 장병들에게 1000여만 원을 특별 지원했고, 29일부터는 불우 장병 70명에게 전역 시까지 매월 20만 원씩 총 1400만 원을 지원한다. 불우 장병은 본인이 입대함으로써 가정에 수입이 없고 의료비 등이 많이 필요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병 가운데 선정한다.  천사운동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참전용사와 장병들을 돕는 것 외에도 장병들이 자발적인 기부 문화를 체험함으로써 나눔에 대한 인성교육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임정섭 일병(25)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청춘을 바친 참전용사들에 대한 작은 보답이자 경제적으로 어려운 전우를 돕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많은 돈은 아니지만 이 돈이 모여 좋은 일에 쓰인다고 생각하니 기쁨을 느낀다”고 말했다.  1군사령부는 천사운동이 ‘장병 인성 바로 세우기’와 ‘병영문화 혁신’의 새로운 계기가 되고 있다는 평가에 따라 부대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적립 기금이 증가하면 지원 대상 인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1군사령부 관계자는 “자발적인 기부와 관심이 참전용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불우 장병에게는 희망과 따뜻한 전우애를 전해주고 있다”며 “나눔과 베풂, 배려와 존경의 문화가 병영 내에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인모 기자 imlee@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천사운동 |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 6·25전쟁 | 참전용사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중부판/캠퍼스 소식]청주교대 外 동아일보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46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청주교대(총장 윤건영)는 27일 버려지는 책 표지를 재활용해 나만의 종이가방을 만드는 ‘북 아트-책 표지 종이가방 만들기’ 등 독서의 달 행사를 운영한다. 28일에는 ‘개인별 맞춤교육을 실시하는 전자정보 이용자교육’을, 29일에는 ‘캘리그래피로 간직하는 잊지 못할 한 권의 책’ 행사를 진행한다. 또 다음 달 7일에는 ‘혼불’의 작가 최명희의 삶과 작품세계를 들여다보는 ‘전주 최명희 문학관으로 떠나는 문학기행’을 연다. cje.ac.kr, 043-299-0663  ○…교원대(총장 류희찬) 황새생태연구원은 충남 예산군의 ‘껍질째 먹는 사과’ 농장에서 재배한 사과에 ‘황새의 춤’ 브랜드 사용을 허가했다. 이 브랜드는 황새 서식지에서 황새의 먹이터 보호를 위해 농사를 짓는 농가에 부여하는 것으로 교원대가 황새복원사업을 시작한 지 20년 만에 첫 인증이다. 이 대학 황새생태연구원은 야상에 방사한 황새를 살리기 위해 농가에 무농약 및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농법인 일명 ‘황새생태농법’을 보급하고 있다.  ○…교통대(총장 김영호)와 청주교대(총장 윤건영)가 교육부의 ‘2016년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됐다. 교통대는 4억 원을, 청주교대는 1억7600만 원을 각각 지원받는다. 이 사업은 국립대학의 사명 및 역할과 기능에 부합하는 혁신사업을 통해 국립대 위상을 강화하고, 대학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부의 핵심 정책사업이다.  ○…충북대(총장 윤여표) 의사소통혁신센터는 다음 달 24일까지 비(非)인문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제 인문 패스파인더’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 프로그램은 비인문계열 재학생들에게 해외 우수인문학 발전현장 체험을 제공해 인문학적 역량과 전공 분야에 대한 창의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최대 3팀이 선발되며,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 등 세계 권역을 선택해 최대 9박 10일 동안 탐방을 떠날 수 있다. 탐방 단원 1인당 최대 350만 원을 지원한다. 043-261-3933 추천해요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금복주 “여직원 차별 근무 환경 개선” 이권효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584%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적 주류기업인 금복주가 여직원 차별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금복주 임직원과 고용노동부, 대구여성가족재단 관계자 등 100여 명은 최근 대구 달서구 본사에서 ‘고용 평등 기업문화 조성 및 일·가정 양립 실천’ 선포식을 열었다.  여직원이 결혼하면 퇴사해야 하는 등 여성 차별 관행이 수십 년 동안 이어져온 사실이 국가인권위원회 조사로 확인돼 큰 비난을 받은 데 따른 반성 차원이다.  금복주는 결의문을 통해 △모성 보호와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사규에 반영하고 준수 △고용 평등 등 규정을 직원들에게 교육하고 경영진이 모범을 보임 △여직원 권익 향상을 위한 기구 운영 △여성 근로자 채용 확대를 위한 여성 적합 업무 개발 △남녀평등 평가 및 승진체계 구축 △유연근무제 등 시간선택제 근무 도입 등을 실천하기로 했다.  금복주는 남녀 직원들의 근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고충처리위원회를 다음 달 1일부터 운영한다. 또 매월 1회 소통위원회를 열어 직원과 임원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마련한다. ‘가족 사랑의 날’을 도입해 매주 수요일은 모든 직원이 오후 6시 반에 퇴근하고 월 1회 연차 휴가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금복주 직원 280명 가운데 여직원은 현재 37명이다. 박홍구 대표는 “뿌리 깊었던 남성 중심 조직문화를 깊이 반성한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새로운 기업문화를 가꿔 지역과 소비자들에게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경제부 페이스북 추천해요 금복주 | 여직원 차별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경제 * 최신기사 * 기업CEO * 부동산 * 금융 * 정책 * JOB * 자동차 * 유통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경제>기업·CEO * 경제일반 * 건설 * 금융 * 기업 * 무역 * 산업 * 부동산 * 운수/교통 * 유통 * 자동차 * 재정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세금 * 인물/CEO * 고용 * 정책/칼럼 * 기업·CEO * ePR뉴스 * 모바일/인터넷 * 세상은 지금 * 국제경제 * 경제골프 (BUTTON) [2016 대한민국 혁신기업인 대상]우수한 기술로 임플란트 치료의 신기원 열어 황효진 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79717%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기술-품질 부문/ 이노바이오써지(IBS 임플란트) 왕제원 대표 [80479709.2.jpg]  ㈜이노바이오써지는 왕제원 대표가 임플란트 치료를 하면서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된 데서 출발한다. 기존 치료법이 환자에게 큰 손상을 줄 수밖에 없으며, 임상가가 임플란트 치료를 하는 방법이 너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는 관련 치료가 점차 대중화되고 있으므로 이제는 모든 치과의사가 쉽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어야 하며, 환자에게는 손상을 줄여 부작용을 적게 하고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플란트 제품과 치료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인식아래 2003년부터 환자 잇몸을 절개하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골이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이러한 새로운 방향성에 따른 제품을 생산, 교육, 보급하기 위해 이노바이오써지, 즉 IBS 임플란트를 설립한 것이다. [80479708.2.jpg]  현재 IBS 임플란트는 크게 3가지 분야를 주력으로 하며, 다른 회사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바로 임플란트 제품 생산과 더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 개발, 그리고 임상적인 교육시스템의 확립이 그것이다. IBS임플란트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를 쉽고 완벽하게 해결하고 있으므로 많은 임상가들이 IBS임플란트 시스템의 교육에도 관심을 갖게 했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왕성한 임상교류와 연구에 의해 IBS 임플란트 시스템으로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과 무절개 골이식 등과 같은 획기적인 외과술식이 개발되어 세계적인 표준이 될 가능성을 높였다. 황효진 기자 herald99@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이노바이오써지 | 왕제원 | 기업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참전용사 돕기 ‘천사운동’ 동참을 신고합니다” 이인모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446%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1군사령부 작년 12월부터 캠페인, 3만여명 동참해 기금 3억원 적립… 생계 어려운 불우 장병 등 도와 [80488440.1.jpg] 제1야전군사령부 내에 설치된 ‘천사운동 사랑의 행복온도탑’. 경제적으로 어려운 6·25전쟁 참전용사와 장병들을 돕기 위한 것으로 천사운동 목표 인원인 정기 후원자 4만 명을 100도로 환산했다. 제1야전군사령부 제공 “천사운동 동참을 신고합니다.”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가 6·25전쟁 참전용사와 불우 장병을 돕기 위해 펼치고 있는 ‘천사(1004)운동’이 참여 인원 3만 명을 돌파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천사운동은 현재 3만3700여 명이 동참해 약 3억 원의 기금이 적립됐다. 이 가운데 장병은 1만8000여 명이고 나머지는 장병 가족과 지방자치단체 직원, 독지가 등 일반인이다.  천사운동은 1군사령부가 우리 사회의 기부문화 확산과 ‘따뜻한 병영, 전우애가 넘치는 병영’을 만들기 위해 진행 중인 ‘꿈 프로젝트’다. 4만 명의 장병이 매월 1000원을 기부하도록 목표를 정해 ‘1004운동’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기부하고 집행함으로써 모든 과정이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다.  천사운동은 크게 세 분야로 구성돼 있다. 강원도에 거주하는 6·25전 참전용사의 생계비와 의료비, 주거비 등을 지원하는 ‘호국영웅 기금 모금운동’과 경제적 형편이 어려운 장병들을 돕기 위한 ‘전우사랑 기금 모금 운동’, 장병 개개인의 꿈을 이루기 위한 ‘꿈통장(꿈을 품은 통일대 장병) 운동’이다.  기금이 일정액 적립되자 1군사령부는 6월부터 집행을 시작해 생계가 어려운 참전용사 78명에게 3400여만 원을 지원했다. 또 이달부터 참전용사 143명에게 매월 20만 원씩 총 2800여만 원을 정기 지원하고 있다.  추석 때는 참전용사와 불우 장병들에게 1000여만 원을 특별 지원했고, 29일부터는 불우 장병 70명에게 전역 시까지 매월 20만 원씩 총 1400만 원을 지원한다. 불우 장병은 본인이 입대함으로써 가정에 수입이 없고 의료비 등이 많이 필요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병 가운데 선정한다.  천사운동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참전용사와 장병들을 돕는 것 외에도 장병들이 자발적인 기부 문화를 체험함으로써 나눔에 대한 인성교육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임정섭 일병(25)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청춘을 바친 참전용사들에 대한 작은 보답이자 경제적으로 어려운 전우를 돕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많은 돈은 아니지만 이 돈이 모여 좋은 일에 쓰인다고 생각하니 기쁨을 느낀다”고 말했다.  1군사령부는 천사운동이 ‘장병 인성 바로 세우기’와 ‘병영문화 혁신’의 새로운 계기가 되고 있다는 평가에 따라 부대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적립 기금이 증가하면 지원 대상 인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1군사령부 관계자는 “자발적인 기부와 관심이 참전용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불우 장병에게는 희망과 따뜻한 전우애를 전해주고 있다”며 “나눔과 베풂, 배려와 존경의 문화가 병영 내에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인모 기자 imlee@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천사운동 | 육군 제1야전군사령부 | 6·25전쟁 | 참전용사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중부판/캠퍼스 소식]청주교대 外 동아일보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46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청주교대(총장 윤건영)는 27일 버려지는 책 표지를 재활용해 나만의 종이가방을 만드는 ‘북 아트-책 표지 종이가방 만들기’ 등 독서의 달 행사를 운영한다. 28일에는 ‘개인별 맞춤교육을 실시하는 전자정보 이용자교육’을, 29일에는 ‘캘리그래피로 간직하는 잊지 못할 한 권의 책’ 행사를 진행한다. 또 다음 달 7일에는 ‘혼불’의 작가 최명희의 삶과 작품세계를 들여다보는 ‘전주 최명희 문학관으로 떠나는 문학기행’을 연다. cje.ac.kr, 043-299-0663  ○…교원대(총장 류희찬) 황새생태연구원은 충남 예산군의 ‘껍질째 먹는 사과’ 농장에서 재배한 사과에 ‘황새의 춤’ 브랜드 사용을 허가했다. 이 브랜드는 황새 서식지에서 황새의 먹이터 보호를 위해 농사를 짓는 농가에 부여하는 것으로 교원대가 황새복원사업을 시작한 지 20년 만에 첫 인증이다. 이 대학 황새생태연구원은 야상에 방사한 황새를 살리기 위해 농가에 무농약 및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농법인 일명 ‘황새생태농법’을 보급하고 있다.  ○…교통대(총장 김영호)와 청주교대(총장 윤건영)가 교육부의 ‘2016년도 국립대학 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됐다. 교통대는 4억 원을, 청주교대는 1억7600만 원을 각각 지원받는다. 이 사업은 국립대학의 사명 및 역할과 기능에 부합하는 혁신사업을 통해 국립대 위상을 강화하고, 대학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부의 핵심 정책사업이다.  ○…충북대(총장 윤여표) 의사소통혁신센터는 다음 달 24일까지 비(非)인문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제 인문 패스파인더’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 프로그램은 비인문계열 재학생들에게 해외 우수인문학 발전현장 체험을 제공해 인문학적 역량과 전공 분야에 대한 창의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최대 3팀이 선발되며,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 등 세계 권역을 선택해 최대 9박 10일 동안 탐방을 떠날 수 있다. 탐방 단원 1인당 최대 350만 원을 지원한다. 043-261-3933 추천해요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금복주 “여직원 차별 근무 환경 개선” 이권효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88584%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적 주류기업인 금복주가 여직원 차별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금복주 임직원과 고용노동부, 대구여성가족재단 관계자 등 100여 명은 최근 대구 달서구 본사에서 ‘고용 평등 기업문화 조성 및 일·가정 양립 실천’ 선포식을 열었다.  여직원이 결혼하면 퇴사해야 하는 등 여성 차별 관행이 수십 년 동안 이어져온 사실이 국가인권위원회 조사로 확인돼 큰 비난을 받은 데 따른 반성 차원이다.  금복주는 결의문을 통해 △모성 보호와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사규에 반영하고 준수 △고용 평등 등 규정을 직원들에게 교육하고 경영진이 모범을 보임 △여직원 권익 향상을 위한 기구 운영 △여성 근로자 채용 확대를 위한 여성 적합 업무 개발 △남녀평등 평가 및 승진체계 구축 △유연근무제 등 시간선택제 근무 도입 등을 실천하기로 했다.  금복주는 남녀 직원들의 근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고충처리위원회를 다음 달 1일부터 운영한다. 또 매월 1회 소통위원회를 열어 직원과 임원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마련한다. ‘가족 사랑의 날’을 도입해 매주 수요일은 모든 직원이 오후 6시 반에 퇴근하고 월 1회 연차 휴가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금복주 직원 280명 가운데 여직원은 현재 37명이다. 박홍구 대표는 “뿌리 깊었던 남성 중심 조직문화를 깊이 반성한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새로운 기업문화를 가꿔 지역과 소비자들에게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경제부 페이스북 추천해요 금복주 | 여직원 차별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alternate Chosun.com [RSS] "다문화정책·할매할배의 날… 경북만의 名品 사업 만들어" * 박원수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0 김관용 경북도지사 인터뷰 전국시도지사 평가 17차례 1위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 통해 지구촌 빈곤문제 해결에도 앞장 "많은 어려움과 시련이 있었지만 현장에 문제와 답이 있다고 보고 어려울 때나 기쁠 때나 한 순간도 도민의 곁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전국시도지사 평가에서 17차례나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수립한 김관용 경북도지사. 최근 경주에서 발생한 유례 없는 강진으로 지진 피해 복구로 여념이 없다. "대화와 소통으로 문제를 풀면서 항상 진정성을 가지고 도민들과 함께 하려고 노력했고 잘못하면 솔직하게 용서도 구했다"는 김 지사는 "이러한 모습이 좋은 평가를 하게된 것이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3연임을 하면서 도정을 꾸려나가고 있는 김관용 지사로부터 남은 임기 동안 도정을 어떻게 꾸려갈 것인지에 대해 들어보았다. 경북도청 신청사가 위치한 곳이 길지인데다 청사 자체가 빼어난 기능을 가진 곳이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김관용(가운데) 경북도지사가 관광객들에게 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청 신청사가 위치한 곳이 길지인데다 청사 자체가 빼어난 기능을 가진 곳이어서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김관용(가운데) 경북도지사가 관광객들에게 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청 제공 ―영호남 상생, 동서화합의 메신저라는 평가를 받고 호남에서도 인기가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 동서화합에 이처럼 나서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미시장 때인 1999년에 광주 모 방송사에서 특강을 한 적이 있다. 그 당시 자료를 준비하면서 느낀 것이 이 나라는 어느 특정한 지도자가 아니라 만백성이 지켜냈다는 사실이다. 지역갈등은 정치인이 만들어 낸 허구다. 영호남의 화합 없이는 대한민국의 통합이 있을 수 없다. 통일도 영호남화합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경북도지사로서는 올해 최초로 5·18기념식에 참석해 민주화 현장을 추모하고 영호남 화합에 대한 새로운 물꼬를 텄다. 앞으로 영호남 상생발전 10대 아젠다의 실천전략을 현장에서 구체화 시키는 데 집중하겠다."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사업은 어떻게 추진하고 있나.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우리의 가난극복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지구촌 빈곤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나왔다. 이를 위해 그동안 반기문 UN사무총장을 여러 차례 만났고. 지금은 UN과 함께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원조사업으로 발전시켜 나아가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에 시범마을을 조성하고 대륙별 전초기지가 될 거점센터도 구축하고 있다. 경주UN NGO 컨퍼런스에 '새마을 특별세션'이 포함돼 시민교육과 개도국 농촌개발 대표모델임을 인정받음으로써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어 예감이 좋다." ―내년에 열리는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는 어떻게 치러지나. "호찌민-경주엑스포는 내년 11월 '옛 바다를 통한 문명교류전'을 주제로 25일간 열리게 된다.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터키 이스탄불에 이어 세 번째로 해외에서 연다. 지난 7월 정부로부터 국제행사 승인을 받아 탄력을 받고 있다. 호찌민 엑스포는 경제엑스포로 치르고자 한다. 베트남 진출기업과 국내기업의 수출장터가 되도록 준비하고 봉사자들로서는 다문화가정의 베트남출신 여성들을 교육해서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문화로 길을 열고 경제교류에 초점을 맞춰 한국·베트남이 실질적인 동반자관계를 견고히 하는 계기로 만들고자 한다." ―다문화, 할매할배의 날 등 다른 지역과 차별되고 앞서가는 명품정책이 많은데. "지방정부의 정책기능은 갈수록 강화되는 추세고, 지방정책이 국정과제로 연결되기도 한다. 올해는 경북이 다문화가족지원 종합대책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한 지 10년이 되는 해다. 이주여성 친정 나들이, 다문화가정자녀 이중 언어 지원 등 경북의 다문화정책은 전국의 모델이 되고 있다. 할매·할배의 날은 가족공동체 회복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손자손녀가 매월 마지막 토요일 할아버지·할머니를 만나 소통하는 현장이 되고 있다. 전국 확산도 추진 중이다." ―경북 정체성 확립을 역정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이유는. "역사를 잃어버린 민족은 혼도 없고, 혼이 없는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 작은 위기에도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리기 때문이다. 도지사로 취임한 이후 화랑, 선비, 호국, 근대화의 새마을정신에 이르기까지 역사 속 경북의 정체성을 확인하면서 가슴이 뛰었고 그를 바탕으로 미래를 준비해 왔다. 현실이 어렵고 미래가 불투명 할수록 성찰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정체성을 새로운 경북시대의 길을 열어가는 에너지로 만들겠다." ―벌써부터 내년 대선과 관련해 정치인들의 행보가 바빠졌다.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인사로서 역할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여론이 있는데 앞으로의 계획은. "지방정부의 살림을 맡아본 경험이 국가운영에 유리하다고 보는 국민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큰 바위 얼굴'처럼 일생을 현장에서 보냈다. 도지사 직분에 최선을 다하면서 대구경북, 더 나아가 지방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겠다. 사회통합이라든지 갈등의 폭을 좁힌다든지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할 수 있고 에너지를 모을 수 있다면 어떤 역할이든지 피하지 않을 각오다. 그게 도민과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한다." ―차기대통령이 지녀야 할 리더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지도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위기상황에서 적시에 결정을 내릴 줄 알아야 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해야할 지 말아야 할 지 판단하는 것이 리더의 가장 큰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대통령은 국가를 경영하는 CEO다.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분명한 결단을 내려주고 맑은 날 우산을 준비해야 하듯이 국가가 나아갈 방향을 준비하고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므로 겸손해야 하며, 화합과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소통과 갈등 조정의 리더십도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최신기사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 소식 * O2플러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연예>전문기자의 원샷 원킬 * 방송/연예일반 * 방송 * 영화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대중음악 * 대중문화 웹진 O2 (BUTTON) [정양환 기자의 억지로 쓰는 문화수다]해외 케이팝 팬들의 ‘낯선 영어-문화’ 배우기 정양환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8:51:55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497%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89481.1.jpg] 정양환 기자  이달 초, 동아일보가 3회 시리즈 ‘아이돌 20년, 일상을 바꾸다’를 연재한 뒤 이메일 한 통을 받았다. 정년퇴직한 60대라고 밝힌 어르신은 “요즘 가요시장을 알게 돼 반갑다”면서도 약간의 푸념을 털어놓았다. 노래도 용어도 너무 생경하다는 의견이었다.  “그룹 이름이야 그러려니 합니다. 근데 웬 외래어가 그리 많소. 인터넷도 찾아봤는데, 몇몇은 도저히 모르겠습디다. 손자 놈은 그것도 모르냐며 핀잔만 주네요.”   ‘나쁜 손자 놈’(글에 적힌 호칭이다). 그리고 더 나쁜 기자 놈. 워낙 요즘 한국 가요가 ‘케이팝(K-pop)’이라 불리며 국제적인지라. 다시 들춰봐도 확실히 영어식 표현이 많다. 반성하고 또 반성한다.  그 대신 해외 팬들은 좀 편안하지 않을까. 근데 그건 또 아닌 모양이다. 최근 미국 인터넷 매체 ‘데일리닷’은 ‘케이팝 A-Z: 초보자 용어사전’이란 기사를 게재했다. 우린 쉽게 쓴 말도 그들 눈에 희한한 모양. 그중 몇 가지만 보자.  ①컴백(comeback)=망했거나 은퇴했다가 나타난다는 의미의 복귀나 재기가 아니다. 케이팝에선 ‘새 노래를 발표하며 공식 활동에 나서는 것’을 컴백이라 부른다. 한 가수가 수십 번씩 복귀하는 셈이다. 쉰 것도 아니다. 발표 몇 달 전부터 뮤직비디오 촬영, 군무 연습, 사진 촬영과 배포 등으로 정신없다. 주야장천 일하는데 ‘돌아왔다’고 한다는 것이다.  ②눈웃음(eye smile)=당장 유튜브에 ‘eye smile’만 쳐봐도 이게 왜 케이팝 문화인지 안다. 한국 걸그룹의 눈웃음이 끝도 없이 쏟아진다. 데일리닷은 “눈웃음이란 아이돌이 기쁨을 표현하며 눈이 초승달(crescent) 형태로 변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역시 영어엔 없는 표현이다.  ③네티즌(netizen)=이것도 외국인은 낯설다. “정확한 뜻은 인터넷 시민”이란 설명까지 붙였다. 그들에게 한류 ‘네티즌’은 부정적 뉘앙스가 강한가 보다. “아이돌에 대한 비난으로 악명 높은데 때론 악독(toxic)하기까지 하다. 외모와 몸무게, 성형수술, 데이트나 스캔들까지 모든 걸 문제 삼는다.”  ④여장(X-dressing)=데일리닷은 “보이그룹이라면 꼭 한 번씩 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콘서트나 TV쇼에서 소녀 차림으로 유명 걸그룹 노래를 따라하는 무대를 선보인다. 한류에 빠지고 싶거든 이를 이상하게 여기지 말아야 한단다. 한국에선 이를 동성애나 트랜스젠더를 둘러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거론하지 않는다며.  한류는 참 멋진 일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올림픽과 월드컵을 개최해도 쉽지 않던 한국 알리기가 아이돌 노래를 타고 세계 곳곳으로 퍼진다. 그런데 한류의 확산은 외국인도 우리를 더 꼼꼼히 들여다본다는 뜻일 터. 이젠 그 속에 담긴 메시지를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데일리닷은 케이팝의 ‘서열’에 대한 해설도 곁들였다.  “한국 아이돌 그룹엔 꼭 ‘리더’가 존재한다. 주로 나이가 많거나 연습생 생활을 오래한 멤버가 맡는다. 리더는 그룹을 통솔하며 대변자 역할도 한다. ‘막내’도 있다. 노래 중간에 팬들은 멤버 이름을 외치는데, 주로 나이순이다. 아이돌은 이르면 12세부터 시작하는 연습생 시절부터 엄격한 예절교육까지 받는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IFRAME: http://global.donga.com/View/iframe?idxno=201511200074 추천해요 관련기사 케이팝 | k-pop | 눈웃음 | 네티즌 * 아이돌 20년… 일상을 바꿔놓다 [관련연재] * 정양환 기자의 억지로 쓰는 문화수다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국회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巨野 단독국감 강행 與대표는 단식 농성 이재명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07:59:56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219%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국민은 안중에 없는 ‘强대强 정치’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 반쪽 파행… 상임위 12곳중 6곳은 아예 못열려 이정현 “정세균 사퇴” 무기한 단식 [80489233.1.jpg] ‘정국 핵’ 김재수 장관 출석… 與의원들은 보이콧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장에 여당 의원들의 자리가 텅 비어 있다. 야당이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오른쪽)의 해임건의안을 가결한 데 반발한 여당이 보이콧을 선언해 파행을 빚었다. 세종=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거대 야당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과 박근혜 대통령의 해임건의안 수용 거부 등 여야의 정면 대치로 20대 국회의 첫 국정감사는 파행으로 얼룩졌다. 집권 여당 대표는 26일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했고,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단독 국정감사 강행으로 각자의 길을 갔다. IFRAME: http://voda.donga.com/play?cid=748923&;encode_type=32&isAutoPlay=1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해임건의안 가결 당시 ‘편파 진행’ 논란을 빚은 정세균 국회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이날 오후부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집권 여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초유의 일이다. 이 대표는 단식 농성을 시작하며 “거야(巨野)의 횡포를 막을 다른 방법이 없다. 정세균 의원(의장임을 거부한다는 의미로 의원이라고 부름)이 파괴한 의회민주주의를 복원하기 위해 목숨을 바칠 각오를 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최고위원회를 ‘정세균 사퇴 관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 비대위원장은 조원진 최고위원이 맡았다. 김성태 의원은 정 의장 사퇴 관철추진위원장으로 비대위에 참여했다. 새누리당은 이날부터 국회 로텐더홀에서 1인 시위도 벌였다. 첫 주자는 김무성 전 대표였다. 새누리당은 앞으로 매일 오전, 오후 의원총회를 열어 정 의장을 압박할 계획이다.  새누리당이 야당의 투쟁 방식인 일정 보이콧과 단식 농성, 1인 시위를 택한 건 ‘소수 여당’으로서 정국 돌파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갈등을 만드는 새누리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구(舊)정치 중의 구정치”라고 비판했다.  정 의장은 이날 여야 3당 원내대표 회동을 제안했지만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거부해 야당 원내대표들만 만났다. 정 의장은 새누리당이 보이콧한 국정감사를 2, 3일 연기하자고 제안했다. 박 원내대표는 수용했으나 더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거부했고 국감 첫날 곳곳에서 파행을 빚었다. 상임위원회 12곳 중 새누리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5곳과 국민의당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는 국감을 진행하지 못했다. 나머지 6곳은 야당 단독으로 열렸다. 이재명 기자 egij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관련기사 국감 | 야당 | 김재수 * 靑 “마라톤 35km 지점처럼 지금이 고비” * ‘해임안 흥정 발언’ 궁지 몰린 정세균 * “巨野 횡포 그냥 못넘겨”… 집권당대표 사상초유 단식 배수진 * “전기료 黨政이 협의”… “野는 무시하나”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국제 * 최신기사 * 중국 * 일본 * 중동 * 아시아 * 미국·북미 * 중남미 * 유럽EU * 러시아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국제>미국/북미 * 국제일반 * 국제경제 * 국제교류 * 국제문화 * 국제인물 * 국제정세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국제정치 * 오피니언 * 국제사고 * 중국 * 일본 * 중동 * 아시아 * 미국/북미 * 중남미 * 유럽/EU * 러시아 * 아프리카 (BUTTON) 이스라엘 총리가 美대선후보 감별사? 이유종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11-26 04:42:35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531%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10년간 군사지원 지지”… “예루살렘 수도로 인정” ‘유대계 표심잡기’ 클린턴-트럼프 방미 네타냐후와 잇따라 만나 동맹관계-대사관 이전 등 재확인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정가의 ‘최대 스폰서’인 유대계 표심 잡기에 나섰다. 유대계는 미 인구의 1.9%에 불과하지만 정치 금융 교육을 포함한 주요 분야에서 영향력이 막강하다.  25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두 후보는 이날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각각 만나 양국의 동맹관계를 재확인했다.  클린턴은 네타냐후 총리와 이란 핵 합의, 시리아 사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미국이 이스라엘에 10년간 380억 달러(약 41조8000억 원)의 군사 지원을 하겠다고 합의한 내용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유엔 등 제3자가 개입하지 않고 당사자의 대화를 통해 해법을 마련하는 것도 지지한다고 했다. 클린턴은 회동을 마친 뒤 “강하고 안전한 이스라엘은 미국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뉴욕 맨해튼 트럼프타워에서 네타냐후 총리와 한 시간 동안 회동했다. 론 더머 주미 이스라엘대사와 트럼프의 유대계 출신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도 합석했다. 트럼프는 이 자리에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텔아비브에 있는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했다. 이스라엘은 중동전쟁을 통해 예루살렘 동부를 편입하고 1980년 통합 수도로 선포했다.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유엔 회원국 대부분은 이스라엘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경제 수도인 텔아비브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1995년 미국 의회는 1999년까지 미국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긴다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미 정부는 아직까지 실행에 옮기지 않고 있다.  유대계는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층이다. 2008년 대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는 유대인의 78%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지지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 과정에서 이스라엘의 국익에 상충되는 발언을 하자 지지율이 50%대로 뚝 떨어졌다. 민주당의 대선 주자였던 유대계 출신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도 뉴욕 월가를 쥐락펴락하는 유대계에겐 탐탁지 않은 공약을 내걸어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실패했다.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관련기사 힐러리 | 트럼프 | 이스라엘 * 1억명 시청할 美대선 첫 TV토론… 사회자는 ‘흑인-공화당원’ * 유럽은 지금 ‘트럼프 대통령 시나리오’ 작성 분주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문화 * 최신기사 * 음악 * 애니·만화 * 공연 * 문학·출판 * 요리·맛집 * 종교 * 학술 * 패션·인테리어 * 여행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문화>인사일반 * 문화 일반 * 생활/가정 * 무용 * 문학/출판 * 미술 * 바둑 * 여행 * 역사 * 연극 * 요리/음식 * 음악 * 인테리어 * 종교 * 패션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연재소설 * 영화 * 여성 * 학술 * 만화 * 뷰티 * 언론 * 패션&인테리어 (BUTTON) [요즘! 어떻게?]장애인들 친구 된 ‘밥풀때기 목사’ 정양환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10:35:51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502%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개그맨 출신 예온교회 김정식 목사 [80489500.1.jpg] 김정식 예온교회 담임목사(왼쪽)와 교인인 이지훈 씨. 군에서 사고로 다리를 잃은 이 씨는 절망에 빠져 생활하다 김 목사를 만나 삶의 희망을 되찾았다고 한다. 그는 현재 아이스슬레지하키(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로 활약하고 있다. 김정식 목사 제공 《“아유, 이젠 연예인이라 부르는 것도 너무 어색하네요. 방송 안 한 지도 오래됐고, 10년째 목사로 활동했으니…. 이런 인터뷰도 쑥스럽습니다, 허허.” ‘밥풀때기’라는 애칭으로 불리던 김정식(57). “이젠 알아보는 이도 별로 없다”는 말마따나 젊은 세대에겐 생경한 이름이다. 허나 중장년층이라면 그가 출연했던 ‘도시의 천사들’ ‘동작 그만’ 개그 코너는 잊을 수 없는 추억이다. 1981년 KBS 코미디언으로 데뷔한 그는 임하룡과 콤비로 1990년대까지 콩트 코미디의 전성기를 이끈 주역이었다.》   세월 저편으로 잊혀져 갔던 그가 최근 또 한 번 주목받는 일이 생겼다. 지난달 패션쇼핑몰 ‘엔터식스’에서 주최했던 ‘제1회 재치 있는 불효(不孝) 사연 공모전’ 수상자에 포함된 것. 치매에 걸려 고생하다 2010년 작고한 모친의 사연을 담은 글 ‘어머님의 절친, 뚫어 뻥 여사’가 금상을 받았다. 그리고 그 사이, 그는 목회에 전념해 현재 경기 파주시에 있는 ‘예온교회’ 담임목사로 변해 있었다. 최근 전화로 그를 인터뷰했다.  ―이젠 정말 ‘목사님’이란 호칭이 더 어울립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하하. 누가 ‘김 목사’ 해야 돌아보지, 개그맨 그러면 긴가민가해요. 2007년 목사가 됐으니 시간 빠르네요. 장애인 사역을 한 지 20년 가까이 됐고요. 일부러 방송도 인터뷰를 자제했는데, 괜히 공모전에 응모했다가 더 민망해졌네요.”  ―굳이 대외활동을 피한 이유가 있습니까.  “선입견을 벗고 싶었습니다. 전 정말 장애인을 사랑하고, 목회 일이 행복해서 합니다. 그런데 웃기는 직업을 가졌던 탓에 색안경을 쓰고 보는 분도 있어요. 물론 제가 감당할 몫이지만 ‘과거를 지우는 작업’이 녹록지 않습디다. 전문가가 아니란 지적에 지난해 서울기독교대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도 취득했어요.” IFRAME: http://voda.donga.com/play?cid=732505&encode_type=32&isAutoPlay=1  ―장애인에게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나요.  “그냥 어렸을 때부터 정이 갔어요. 초등학교 3학년 짝이 소아마비였는데 참 친했습니다. 코미디언 때도 아무리 바빠도 장애인 팬은 그냥 못 지나쳤어요. 장애인을 위한 교회인 예온교회 담임목사가 된 것도 그냥 그들이 좋았기 때문입니다. 원래 피붙이였던 것처럼…. 실은 제가 최근 사재를 털어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교육협회’를 만들었습니다.”  ―공모 글을 보니 어머님이 치매로 고생했다는데요.  “네, 병세가 심하셨죠. 빗자루랑 ‘뚫어 뻥’을 친구라며 이불 깔고 눕혀 놓으실 정도였으니까요. 처음엔 속상해서 눈물로 애원한 적도 많았습니다. 근데 한번은 큰 결심하고 빗자루한테 ‘아이고, 이모님 오셨어요’ 하고 절을 했죠. 그랬더니 어머니가 엄청 기뻐하며 그날 밤 잘 주무시는 거예요. 그때 깨달았죠. 기왕 완치가 불가능하다면 맘이라도 편하게 해드리자. 그렇게 생활하니 웃는 일도 많아졌습니다. 나중에 제 품에서 정말 편안한 미소를 머금고 떠나셨어요.”  ―효자셨네요.  “에휴, 아닙니다. 막내가 연예인 한다고 맘고생 많이 시켜 드렸어요. 그냥…. 말년에 치매건 아니건 어머님 하자는 대로 했습니다. 평생 홀로 자식들 수발하셨는데 그 정도도 못하나 싶어서요. 그렇게 맞춰 드리면 어머니와 뭔가 통하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저한테 마음을 여시는 느낌이랄까. 제가 오히려 감사했습니다.”  ―장애인에 대한 맘도 그와 비슷한 건가요.  “장애인 부모들을 만나면 하나같이 소원이 똑같습니다. ‘우리가 자식보다 하루만 더 살고 싶다’고. 협회도 그런 의미에서 만든 겁니다. 장애인 가족이 함께 생활하며 교육받을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예요. 이런 아들의 모습을, 어머니도 기뻐하시겠죠?”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김정식 | 밥풀때기 [관련연재] * 요즘! 어떻게?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국제 * 최신기사 * 중국 * 일본 * 중동 * 아시아 * 미국·북미 * 중남미 * 유럽EU * 러시아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국제>미국/북미 * 국제일반 * 국제경제 * 국제교류 * 국제문화 * 국제인물 * 국제정세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국제정치 * 오피니언 * 국제사고 * 중국 * 일본 * 중동 * 아시아 * 미국/북미 * 중남미 * 유럽/EU * 러시아 * 아프리카 (BUTTON) 이스라엘 총리가 美대선후보 감별사? 이유종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11-26 04:42:35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531%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10년간 군사지원 지지”… “예루살렘 수도로 인정” ‘유대계 표심잡기’ 클린턴-트럼프 방미 네타냐후와 잇따라 만나 동맹관계-대사관 이전 등 재확인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정가의 ‘최대 스폰서’인 유대계 표심 잡기에 나섰다. 유대계는 미 인구의 1.9%에 불과하지만 정치 금융 교육을 포함한 주요 분야에서 영향력이 막강하다.  25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두 후보는 이날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각각 만나 양국의 동맹관계를 재확인했다.  클린턴은 네타냐후 총리와 이란 핵 합의, 시리아 사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미국이 이스라엘에 10년간 380억 달러(약 41조8000억 원)의 군사 지원을 하겠다고 합의한 내용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유엔 등 제3자가 개입하지 않고 당사자의 대화를 통해 해법을 마련하는 것도 지지한다고 했다. 클린턴은 회동을 마친 뒤 “강하고 안전한 이스라엘은 미국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뉴욕 맨해튼 트럼프타워에서 네타냐후 총리와 한 시간 동안 회동했다. 론 더머 주미 이스라엘대사와 트럼프의 유대계 출신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도 합석했다. 트럼프는 이 자리에서 대통령에 당선되면 텔아비브에 있는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했다. 이스라엘은 중동전쟁을 통해 예루살렘 동부를 편입하고 1980년 통합 수도로 선포했다.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유엔 회원국 대부분은 이스라엘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고 경제 수도인 텔아비브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1995년 미국 의회는 1999년까지 미국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긴다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미 정부는 아직까지 실행에 옮기지 않고 있다.  유대계는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층이다. 2008년 대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는 유대인의 78%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지지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 과정에서 이스라엘의 국익에 상충되는 발언을 하자 지지율이 50%대로 뚝 떨어졌다. 민주당의 대선 주자였던 유대계 출신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도 뉴욕 월가를 쥐락펴락하는 유대계에겐 탐탁지 않은 공약을 내걸어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실패했다. 이유종 기자 pe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관련기사 힐러리 | 트럼프 | 이스라엘 * 1억명 시청할 美대선 첫 TV토론… 사회자는 ‘흑인-공화당원’ * 유럽은 지금 ‘트럼프 대통령 시나리오’ 작성 분주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문화 * 최신기사 * 음악 * 애니·만화 * 공연 * 문학·출판 * 요리·맛집 * 종교 * 학술 * 패션·인테리어 * 여행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문화>인사일반 * 문화 일반 * 생활/가정 * 무용 * 문학/출판 * 미술 * 바둑 * 여행 * 역사 * 연극 * 요리/음식 * 음악 * 인테리어 * 종교 * 패션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연재소설 * 영화 * 여성 * 학술 * 만화 * 뷰티 * 언론 * 패션&인테리어 (BUTTON) [요즘! 어떻게?]장애인들 친구 된 ‘밥풀때기 목사’ 정양환기자 입력 2016-09-27 03:00:00 수정 2016-09-27 10:35:51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7%2F80489502%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개그맨 출신 예온교회 김정식 목사 [80489500.1.jpg] 김정식 예온교회 담임목사(왼쪽)와 교인인 이지훈 씨. 군에서 사고로 다리를 잃은 이 씨는 절망에 빠져 생활하다 김 목사를 만나 삶의 희망을 되찾았다고 한다. 그는 현재 아이스슬레지하키(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로 활약하고 있다. 김정식 목사 제공 《“아유, 이젠 연예인이라 부르는 것도 너무 어색하네요. 방송 안 한 지도 오래됐고, 10년째 목사로 활동했으니…. 이런 인터뷰도 쑥스럽습니다, 허허.” ‘밥풀때기’라는 애칭으로 불리던 김정식(57). “이젠 알아보는 이도 별로 없다”는 말마따나 젊은 세대에겐 생경한 이름이다. 허나 중장년층이라면 그가 출연했던 ‘도시의 천사들’ ‘동작 그만’ 개그 코너는 잊을 수 없는 추억이다. 1981년 KBS 코미디언으로 데뷔한 그는 임하룡과 콤비로 1990년대까지 콩트 코미디의 전성기를 이끈 주역이었다.》   세월 저편으로 잊혀져 갔던 그가 최근 또 한 번 주목받는 일이 생겼다. 지난달 패션쇼핑몰 ‘엔터식스’에서 주최했던 ‘제1회 재치 있는 불효(不孝) 사연 공모전’ 수상자에 포함된 것. 치매에 걸려 고생하다 2010년 작고한 모친의 사연을 담은 글 ‘어머님의 절친, 뚫어 뻥 여사’가 금상을 받았다. 그리고 그 사이, 그는 목회에 전념해 현재 경기 파주시에 있는 ‘예온교회’ 담임목사로 변해 있었다. 최근 전화로 그를 인터뷰했다.  ―이젠 정말 ‘목사님’이란 호칭이 더 어울립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하하. 누가 ‘김 목사’ 해야 돌아보지, 개그맨 그러면 긴가민가해요. 2007년 목사가 됐으니 시간 빠르네요. 장애인 사역을 한 지 20년 가까이 됐고요. 일부러 방송도 인터뷰를 자제했는데, 괜히 공모전에 응모했다가 더 민망해졌네요.”  ―굳이 대외활동을 피한 이유가 있습니까.  “선입견을 벗고 싶었습니다. 전 정말 장애인을 사랑하고, 목회 일이 행복해서 합니다. 그런데 웃기는 직업을 가졌던 탓에 색안경을 쓰고 보는 분도 있어요. 물론 제가 감당할 몫이지만 ‘과거를 지우는 작업’이 녹록지 않습디다. 전문가가 아니란 지적에 지난해 서울기독교대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도 취득했어요.” IFRAME: http://voda.donga.com/play?cid=732505&encode_type=32&isAutoPlay=1  ―장애인에게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나요.  “그냥 어렸을 때부터 정이 갔어요. 초등학교 3학년 짝이 소아마비였는데 참 친했습니다. 코미디언 때도 아무리 바빠도 장애인 팬은 그냥 못 지나쳤어요. 장애인을 위한 교회인 예온교회 담임목사가 된 것도 그냥 그들이 좋았기 때문입니다. 원래 피붙이였던 것처럼…. 실은 제가 최근 사재를 털어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교육협회’를 만들었습니다.”  ―공모 글을 보니 어머님이 치매로 고생했다는데요.  “네, 병세가 심하셨죠. 빗자루랑 ‘뚫어 뻥’을 친구라며 이불 깔고 눕혀 놓으실 정도였으니까요. 처음엔 속상해서 눈물로 애원한 적도 많았습니다. 근데 한번은 큰 결심하고 빗자루한테 ‘아이고, 이모님 오셨어요’ 하고 절을 했죠. 그랬더니 어머니가 엄청 기뻐하며 그날 밤 잘 주무시는 거예요. 그때 깨달았죠. 기왕 완치가 불가능하다면 맘이라도 편하게 해드리자. 그렇게 생활하니 웃는 일도 많아졌습니다. 나중에 제 품에서 정말 편안한 미소를 머금고 떠나셨어요.”  ―효자셨네요.  “에휴, 아닙니다. 막내가 연예인 한다고 맘고생 많이 시켜 드렸어요. 그냥…. 말년에 치매건 아니건 어머님 하자는 대로 했습니다. 평생 홀로 자식들 수발하셨는데 그 정도도 못하나 싶어서요. 그렇게 맞춰 드리면 어머니와 뭔가 통하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저한테 마음을 여시는 느낌이랄까. 제가 오히려 감사했습니다.”  ―장애인에 대한 맘도 그와 비슷한 건가요.  “장애인 부모들을 만나면 하나같이 소원이 똑같습니다. ‘우리가 자식보다 하루만 더 살고 싶다’고. 협회도 그런 의미에서 만든 겁니다. 장애인 가족이 함께 생활하며 교육받을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예요. 이런 아들의 모습을, 어머니도 기뻐하시겠죠?”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김정식 | 밥풀때기 [관련연재] * 요즘! 어떻게?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정치일반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심규선 칼럼]지진 대책, 수준이 그것밖에 안 되나 심규선 대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963%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요즘 내놓은 지진 대책들은 부스러진 면발처럼 딱딱하고, 단편적이고, 생기가 없다 ‘인간’이 빠진 지진 대책에 교육, 시간, 역할 개념을 넣어 근본적으로 다시 짜야 한다 준비조차 않고 설렁설렁하면 다음 진원지는 분명 땅속이 아니라 인간이 될 것이다 [80468962.1.jpg] 심규선 대기자  대한민국 행정이 언제 이렇게까지 한심해졌는지 모르겠다. 대지가 뱀처럼 혀를 날름거리며 전 국민을 공포 속으로 몰아넣고 있는데, 정부의 지진 대책에는 순발력과 공감력, 상상력이 없다. 더 큰 실망은 국민을 섬기는 공복의 치열함까지 없다는 것이다. 지진 대책은 능수버들처럼 유연하고, 길고, 생생해야 한다. 그런데 작금의 지진 대책은 부스러진 면발처럼 딱딱하고, 단편적이고, 생기가 없다.  모두들 최고의 지진 대책은 ‘빠른 통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우리도 일본처럼 5초 이내에 지진을 알리게 됐다고 치자. 그러면 국민은 안전한가. 피난 연습은커녕 대피 매뉴얼조차 본 적이 없는 국민들이 조금 일찍 경보를 받았다 한들, 생명을 보호할 수 있겠는가. 정부의 대책에는 가장 중요한 ‘인간’이 빠져 있다. 재난지역 선포도, 활성단층 조사도 돈과 숫자만 눈에 들어올 뿐 인간의 체온이 느껴지지 않는다.  일본 이와테 현 항구도시 가마이시(釜石) 시의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때 거의 전부가 목숨을 건졌다. ‘기적’이라고 했다. 1933년과 1960년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던 시 당국은 ‘쓰나미는 각자(各自)’라는 교육과 훈련을 강력하게 실시했다. 해안이 크게 흔들리면 ‘가족도 신경 쓰지 말고’ 무조건 높은 곳으로 도망치라는 것이었다. 기적이 아니라 교육과 훈련의 결과였다.  일본에는 자조(自助) 공조(共助) 공조(公助)라는 3조가 있다. 자조는 본인과 가족의 안전은 본인이 지키는 것, 공조(共助)는 지역사회는 주민이 협력해 지키는 것, 공조(公助)는 자위대, 소방서, 경찰 등이 구조하는 걸 말한다. 그런데 요즘 본인과 지역사회는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소위 ‘3조의 밸런스’가 힘을 얻고 있다. 거꾸로 가는 것 같지만 사실이다. 재난이 크면 클수록 국가기관의 구조대가 모든 현장에 출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64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1995년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의 경우 매몰되거나 갇혀 있던 사람 중 90% 이상은 본인, 가족, 친구, 이웃 등이 구출했고, 구조대가 구출한 사람은 1.7%에 불과하다는 조사도 있다.  방재선진국 일본의 경험은 국민이 국가기관만 의지하는 응석받이가 돼서는 안 된다는 걸 시사한다. 이를 포함해 지진 대책에는 반드시 교육, 시간, 역할 개념이 들어가야 한다. 학교, 지역사회, 기초행정기관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재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대형 재난이 일어나면 단기적으로는 생명, 중기적으로는 생활, 장기적으로는 생업, 즉 3생(生)을 구해야 한다. 시간별로 다른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국민안전처와 기상청만 동네북처럼 팬다고 될 일도 아니다. 국민, 기초단체, 광역단체, 국가가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대피 매뉴얼 작성과 교육 실시, 지역사회 방재 네트워크 구성(자치소방대), 통보시스템 개선과 지진 전문가 양성, 피해 주택 재건축과 내진 건축의 확대, 피해자와 기업에 대한 재정 지원, 피해 주민들의 심신 케어, 산업과 관광 부흥, 단층과 원전 부지의 적정성 규명, 문화재 복구 등의 방대한 시나리오를 혼자서 만들 수는 없다.  지금 이런 고민을 누가 하고 있나. 정부가 하고 있다고? 그럼 공개 시점을 공개하라. 안 하고 있다면 당장 각 기관과 부처에 숙제를 내주고 공개하길 바란다. 알아야 덜 불안하다. 알아야 덜 비난한다.  뭐 그렇게까지 호들갑을 떠느냐고, 한술에 배가 부르겠느냐고 할지도 모르겠다. 예측이 가장 힘든 지진 앞에서는 무책임한 말이다. 이달 1일부터 사흘간, 4월에 리히터 규모 7.3의 대형 지진이 일어났던 일본 구마모토 현과 오이타 현의 복구 상황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다. 관련 기관들은 앞에서 예시한 모든 시나리오를 열심히 적용하고, 검증하고, 수정하고 있었다. 가바시마 이쿠오 구마모토 지사는 그 과정을 아카이브로 만들어 세계와 공유하겠다고 했다. 내가 본 일본 지진 대책의 특징은 행정은 빠르고, 복구는 멀리 보고, 주민은 만족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더 큰 걱정이 생겼다. 우리는 지금 가장 중요한 사회적 기반인 신뢰를 상실했다는 사실이다. 미증유의 대재앙인 3·11 대지진 때문에 사법 처리를 당한 일본인은 한 명도 없다. 비슷한 경우, 우리는 누군가를 감옥에 넣어야 만족했을 것이다. 다음번 더 큰 지진이 일어난다면 진원지는 분명 땅속이 아니라 인간이 될 것이다. 그러니 정부는 준비라도 철저히 해둬야 한다. 설렁설렁하지 말고.   심규선 대기자 ksshim@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지진 | 지진대책 | 정부 [관련연재] * 심규선 칼럼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단독]37년된 밀링머신 고쳐쓰는 직업高 최예나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79%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전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고가 실습기자재 살펴보니 [80468676.1.jpg] 경북 지역의 한 특성화고가 1991년 구입해 25년간 사용 중인 수직밀링머신. 표면에 낡은 흔적들이 보인다. 김세연 의원실 제공  전국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서 사용하는 1000만 원 이상 실습기자재 중 절반 이상이 내구연한이 초과된 것으로 25일 확인됐다. 학교 중에는 1979년에 취득해 37년이나 된 기자재를 아직까지 쓰는 곳도 있었다. 정부가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에서 실무 교육으로 전문 직업 인재를 양성한다고 했지만 학생들은 산업 트렌드를 배우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셈이다. [80468678.1.jpg]  김세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누리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확보한 ‘전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1000만 원 이상 실습기자재 현황’에 따르면 16개 지역(전북은 자료 제출 거부) 학교에서 보유한 실습기자재는 1만1139개였다. 이 중 내구연한이 초과된 기자재는 50.6%(5635개)에 달했다. 이 가운데 836개(14.8%)는 사용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인데도 학교들이 아직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들은 교육상 필요하다거나 폐기 처분이 쉽지 않다는 이유를 드는데, 기자재 확보율을 올리는 데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기자재의 내구연한은 보통 5∼10년이다. 각 학교에서 취득한 지 20년이 지난 기자재는 623개(5.6%)에 달했다.  내구연한이 지났다고 해당 기자재를 아예 쓸 수 없는 건 아니다. 그러나 오래된 기자재가 제때 교체되지 않으면 실무에 바로 투입해도 무방한 전문 인재를 육성하기 힘들다는 게 문제다. 낡은 기자재를 쓰다 보면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의 A고는 1979년 1033만 원씩을 들여 구입한 수직밀링머신(커터로 공작물을 자르거나 깎는 기구) 두 대를 아직 사용 중이다. 내구연한은 10년으로 지난 지 한참 됐다.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밀링머신 사용률이 과거보다 떨어졌지만 보수해가며 쓰고 있다. 요즘은 밀링머신보다는 CNC선반(컴퓨터를 이용한 자동 선반)을 더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A고는 CNC선반을 많이 확보하지 못했다. 한 대에 최대 6000만∼7000만 원을 호가하는 기계를 살 만한 예산이 없어서다. 보통 같은 기계가 여러 대 필요하면 몇 해에 나눠 산다. 이 학교 교감은 “여러 학생이 기계를 돌려쓰다 보니 실습과 시험 때 대기시간이 길어진다”고 말했다.  올해 전북을 제외한 16개 시도 교육청의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실습 기자재 확충 예산은 499억9000만 원이다. 이걸 기준으로 내구연한이 초과된 기자재만 바꾼다고 가정해도(평균 취득가 2500만 원 기준) 3년이 넘게 걸린다. 이렇게 바꾸어도 산업 트렌드 변화는 매우 빨라 금방 구식이 되는 것도 문제다.  김 의원은 “로봇과 인공지능이 상용화되는 시대에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가 구입한 지 수십 년 된 기자재를 계속 활용하는 건 적절치 않다”며 “산업현장에서 직접적인 실습교육이 이뤄지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마이스터고 관계자는 “대부분 산업계는 ‘우리가 (경영이 어려워) 죽어 가는데 무슨 고등학생 교육이냐’는 마인드를 갖고 있다”며 “몇 학교가 함께 사용하는 공동실습소라도 많이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 실습기자재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단독]‘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생활비, 100만→150만원 추진 최예나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8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내년부터 물가수준 반영해 확대… 교육부 “장기적으론 빚늘어 고민”  정부가 내년부터 현재 학기당 100만 원인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생활비 한도를 150만 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대출받을 수 있는 생활비가 물가 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학생들을 빚더미에 앉게 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어 고심 중이다.  본보는 2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교육부 산하 단체인 한국장학재단의 ‘주요 정책 추진 현황 및 건의사항’ 내부 자료를 입수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장학재단은 내년 1학기부터 학자금대출 생활비 한도 확대를 추진 중이다. 현재 생활비 대출은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ICL)하에서는 학기당 150만 원, 일반상환 학자금대출에서는 학기당 100만 원으로 제한돼 있다.   일반상환 학자금대출은 소득 9분위 이상의 상대적으로 부유한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대출 직후부터 최장 20년 내에 갚아야 한다. ICL은 기초생활수급자와 만 35세 이하 소득 8분위 이하 대학생 대상이다. 취업 뒤 상환기준 소득(현재 연간 1865만 원) 이상의 소득이 발생했을 때부터 상환한다. 3분위 이하 저소득층은 소득 발생 전까지 생활비를 무이자로 지원 받는다. 두 학자금대출 모두 금리는 현재 2.5%다.  ICL에서도 원래 2005∼2012년은 생활비 대출 한도가 학기당 100만 원이었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생활비를 지원한다는 목표로 2013년부터 인상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일반상환 학자금대출의 생활비 한도도 올리려는 것. 한국장학재단은 장기적으로 ICL의 생활비 대출 한도는 학기당 200만 원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기숙사, 하숙, 자취 등의 현재 주거비를 감안해서다.  올해 4월 한국장학재단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비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더니 “거주비를 제외하고 매달 35만∼40만 원 정도 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 학기(4개월)에 150만 원이 적절하다는 뜻이다. 7월 전국 국공립대 총학생회장 간담회에서도 “생활비 대출 한도를 늘려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정부는 아직 판단을 내리지 못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대출 규모를 늘리는 것이라 고민 중”이라며 “올해 내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의원은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진정한 반값등록금을 실현해야 한다”고 했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일반상환 | 학자금대출 | 생활비 | 물가수준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쾅쾅쾅… 경보기 대신 현관문이 울렸다… 새벽, 이웃 깨운 김경태씨 김동혁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12-25 03:38:54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70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서울 도봉구 화재때도 의인… 12층서 1층까지 내려가며 발로 문 차는 등 주민 대피시켜 일가족 3명 사망… 더 큰 피해 막아  “화재 경보도 울리지 않았고 화재 안내방송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서울 도봉구 쌍문동의 한 아파트 13층에서 24일 오전 4시 반경 화재가 발생을 때 바로 옆집 주민 조모 씨(59)는 깨어 있었지만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누군가 문을 발로 차는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왔을 땐 이미 불길이 복도까지 번진 후라 대피도 할 수 없었다. 조 씨는 창가에 붙어 연기를 피하다 출동한 소방대원들에게 가까스로 구조됐다.  이번 화재로 3명이 숨지고 17명이 부상했지만 화재 안전 시스템의 부재 탓에 자칫 더 큰 대형 참사로 번질 뻔했다. 1991년 완공된 이 아파트 단지는 3개 동에 총 408가구가 살고 있지만 온전한 소방 시설이 없었다. 불이 난 집의 이모 씨(21)는 실내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아 복도의 소화전을 끌어다 쓰려 했지만 불길을 잡지 못했다.  이 씨가 소화전을 끌어오며 누른 화재경보기는 뒤늦게 울렸다. 주민 대부분은 불길이 번져 대피할 때에야 벨 소리를 들었다고 전했다. 관리사무소 측은 화재 발생 시 비상 대피 안내 방송도 하지 않았다. 관리사무소 측은 “화재 발생을 알리고 비상 대피를 지시하는 방송을 했다”고 주장했지만 주민 누구도 이를 들은 사람은 없었다.  미처 아래로 대피하지 못하고 불길을 피해 우왕좌왕하던 14, 15층 주민들은 옥상 비상구마저 잠겨 있어 집 안에서 물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웅크리고 있어야 했다. 주민 김모 씨(60)는 “옥상 문이 잠겨 집 안 다락방에 숨어 있었다”고 말했다.  해당 아파트는 화재 대피 훈련을 한 번도 실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파트 베란다에는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 언제든지 부수고 옆집으로 대피할 수 있는 가벽이 설치돼 있지만 이를 아는 주민은 많지 않다. 비상 훈련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과 상기가 필요한 이유다. 경찰에 따르면 이번 사고로 숨진 일가족 3명은 베란다와 반대 방향을 향한 채 방 안에서 연기에 질식했거나 불길을 피하려 아래로 뛰어내리다 변을 당했다.  결국 이번에도 한 주민의 다급한 발길질이 대형 참사를 막았다. 12층에 사는 김경태 씨(47)는 화재 현장의 불을 끄기 어렵다는 판단이 서자 아래로 내려가며 집집마다 발로 문을 차고 소리를 지르며 화재 사실을 알렸다. 잠이 깬 주민들도 이웃집 초인종을 눌러 함께 대피했다. 김 씨는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했다”며 “나 말고도 주민들 모두가 함께 힘을 합쳤다”고 말했다. 9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화재도 불길 속에서 이웃집 문을 두드린 ‘화재 의인(義人)’ 고 안치범 씨의 희생이 있었기에 추가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이번 화재가 일어난 아파트처럼 낡은 아파트나 원룸형 다가구주택은 강화된 방재 시설 기준의 적용을 받지 않는 등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어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를 갖추지 않은 곳이 많아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화재와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방재 시스템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백동현 가천대 소방방재공학과 교수는 “정부가 나서 안전 설비 기준을 강화하고 모든 공동주택에 화재 감지기를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며 “언제까지 의인들에게 의존할 것인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김동혁 기자 hac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김경태 | 도봉구 | 화재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alternate Chosun.com [RSS] [사설] 수십조원 '아동수당', 다 좋은데 무슨 돈으로 할 건가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13 '아동(兒童)수당'을 도입하자는 주장이 정치권에서 경쟁적으로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 8일 저출산·고령화 특별위원회에서 '아동수당' 지급을 검토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2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만 12세 이하까지 월 10만~30만원씩 주는 아동수당법을 제안했다. 국민의당도 지난달 말 의원 워크숍에서 "우선 6세까지 월 10만원 아동수당을 지급한 뒤 12세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자"고 했다. 내년 대선에서 '아동수당' 공약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여러 선진국에서 아동수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저출산 해결에도 얼마간 도움이 될 것이다. 문제는 돈이다. 만 15세까지 아동수당을 월 30만원 주고 하위소득 가정의 영유아에게 교육바우처를 추가로 줄 경우 연 28조원이 든다. 올 한 해 돈이 없어 일대 갈등이 벌어졌던 누리과정에 드는 예산이 4조원이다. 이미 65세 이상 70%에게 월 20만원까지 주는 기초연금으로 매년 10조원이 들어가고 있다. 이제 복지 예산은 내년 130조원을 돌파해 전체 예산의 3분의 1을 차지할 전망이다. 증가 속도가 빨라도 너무 빠르다. 국가 채무는 2000년 111조원에서 올해 638조원까지 늘어났다. 이렇게 돈은 없는데 정치권은 돈 뿌려서 표 살 궁리만 하고 있다. 스위스 국민은 지난 6월 국민에게 월 300만원씩 현금을 주는 '기본소득법' 법안을 부결한 데 이어, 25일에는 국민연금 지급액을 10% 올리는 '국가연금 플러스' 법안도 거부했다. 무분별한 복지 확대가 지금 당장은 좋아도 결국 해롭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나라와 사회를 지키는 것은 결국 국민이다. [나라 정보] 스위스는 어떤 나라? [사설] 北核·경제 위기 속 국가 리더십 공백 상태 [사설] 귀족 노조는 돈 더 달라 파업, 현대차 공장은 해외로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영화 ‘밀정’ ‘암살’의 힘… 북한산 자락에 선열 기리는 발길 노지현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715%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수유-우이동 독립운동가 묘역 많아… 근현대사기념관서 詩낭송회-공연 4·19묘지-‘반달’ 윤극영 가옥 연결… 북한산둘레길 관광벨트도 조성 [80468713.1.jpg] 23일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 앞 광장에서 열린 ‘나라사랑 시낭송 콘서트’에서 맑은소리 낭송예술인 협회 회원들이 광복군의 삶을 재연하고 있다. 강북구 제공  “독립운동가 유림이시여. 17세 나이로 경술국치 당했을 때 손가락 잘라 독립을 시작한 당신께서도 이국땅에서 저 달을 보았겠지요. 별을 보며 고향을 그리워했겠지요.”  23일 오후 7시 서울 강북구 4·19로 근현대사기념관 광장에 한 편의 시가 애잔하게 울려 퍼졌다. 청중 100여 명은 진지하게 귀를 기울였다. 이날 열린 ‘나라사랑 시낭송 콘서트’의 한 장면이다. 콘서트의 주제는 북한산 자락 수유동과 우이동 일대에 묻힌 독립운동가들의 삶. 이 일대에는 동학혁명과 3·1운동의 중심에 선 손병희 선생과 헤이그 특사로 잘 알려진 이준 열사를 비롯해 이시영, 김창숙, 신익희, 여운형, 이명룡, 유림, 김병로 선생, 그리고 광복군의 합동묘역이 자리하고 있다.  이날 콘서트는 재능기부로 이뤄졌다. 윤보영 시인이 독립운동가 16명의 삶에 맞춰 시를 지었다. 국내 시낭송대회 수상자 30여 명이 돌아가며 읽었다. 중간중간 성악가와 기타리스트, 연극배우 등이 퍼포먼스 공연을 선보였다. 주민들은 색다른 가을 정취에 흠뻑 젖었다.  지난해 ‘암살’에 이어 올해 ‘밀정’ 등 독립운동가를 다룬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관련 유적과 묘역이 있는 근현대사기념관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25일 강북구 등에 따르면 올해 5월 문을 연 근현대사기념관에는 을사조약문과 헤이그 특사 위임장, 2·8독립선언서 등 독립운동 관련 유물 144점이 전시 중이다. 이곳에서는 일본의 야욕과 서구 열강이 조선을 어떻게 침략했는지 당시 일본인이 그린 그림을 통해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  또 목숨을 걸고 승리를 다짐하는 광복군들이 서 있는 흑백사진에 관람객 사진을 결합할 수 있는 코너도 인기다. 23일 현장체험학습을 하러 경기 의정부시에서 온 황연 군(15·회룡중)은 “독립운동가들이 이렇게 많은지 몰랐다”며 “그들의 사연을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근현대사기념관 박물관팀 최인담 학예사(31·여)는 “영상과 그래픽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어린 학생들이 독립운동사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와 강북구는 독립운동사를 중심으로 하는 ‘북한산 역사문화관광벨트’를 조성 중이다. 국립4·19민주묘지와 동요 ‘반달’ 작곡가인 윤극영 가옥기념관, 3·1운동 발원지인 봉황각 등을 북한산 둘레길과 자연스럽게 잇는 사업이다. 내년 7월 완공되는 경전철이 북한산 앞까지 가게 되면 1박 2일 역사투어도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독립운동을 포기하지 않았던 사람들이 있었기에 현재 우리가 있음을 자녀들에게 알려주는 좋은 교육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밀정 | 북한산 | 영화 | 근현대사기념관 | 시낭송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문화 * 최신기사 * 음악 * 애니·만화 * 공연 * 문학·출판 * 요리·맛집 * 종교 * 학술 * 패션·인테리어 * 여행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문화>문화 일반 * 문화 일반 * 생활/가정 * 무용 * 문학/출판 * 미술 * 바둑 * 여행 * 역사 * 연극 * 요리/음식 * 음악 * 인테리어 * 종교 * 패션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연재소설 * 영화 * 여성 * 학술 * 만화 * 뷰티 * 언론 * 패션&인테리어 (BUTTON) 1587㎡ 면적의 야트막한 1층… 제주 자연을 품은 듯 손택균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73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김창열미술관은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은 총사업비 92억 원을 투입해 지상 1층, 전체면적 1587m² 규모로 지어졌다. 2014년 4월 착공해 올 5월 완공했다. 기획, 상설, 특별 등 전시실 3개와 수장고, 교육실, 야외무대, 아트숍, 카페테리아 등의 시설을 갖췄다.  외관은 제주도를 상징하는 현무암을 사용해 짙은 잿빛으로 돌 붙임 마감했다. 야트막한 직육면체 4개를 모아 늘어놓은 단순한 형태다. 인공연못을 설치한 중앙정원을 중심으로 건물 외부 회랑을 돌아 옥상으로 걸어 오를 수 있도록 했다. 연못 한가운데에는 검은 돌 위에 유리 구 3개를 얹어놓은 조각 작품을 놓았다. 23일 이 작품을 ‘삼신(三神)’이라 이름 지은 김창열 작가는 “미술관 공간의 모든 부분이 흡족스럽다”고 했다.  하지만 관람객의 눈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 개관 첫날 전시실을 둘러본 많은 이들이 “작품 하단에 길게 가로 걸친 통풍구와 무심하게 설치된 전력 콘센트가 작품 감상을 방해한다”고 지적했다.   제주=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관련기사 제주도립 | 김창열미술관 | 제주도 * 반백년 세월 송알송알 맺힌 물방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파워리더 인터뷰]“평생 문구사업하며 지역사회 위해 봉사하고 싶어” 정재락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5%2F8046816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울산 구암문구 박봉준 대표 [80468148.1.jpg] 울산 남구 삼산동 구암문구 박봉준 대표가 자신의 문구점에서 ‘구암’이라는 상호의 내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옆집이 굶어 죽어가고 있는데 나만 편하게 밥을 먹을 수 있겠는가. ‘우리’를 위하는 것이 곧 ‘나’를 위하는 것임을 알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사회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9일 오후 울산대 행정본관 3층 교무회의실. 초등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인 60대 문구점 사장이 오연천 울산대 총장과 교수 등 국내외 석학들 앞에서 경영철학을 강의했다. 주인공은 울산에서 5개 문구점을 경영하고 있는 구암문구 박봉준 대표(60)다. 울산대가 사회 각 분야에서 성공한 인사들의 경영 노하우를 전수받기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마련한 프레지덴셜 포럼의 다섯 번째 강사로 박 대표를 초청했다.  경북 경주시 외동읍이 고향인 박 대표는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공사판 인부와 점원으로 전전하다 1980년부터 울산에서 문구점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그런 그가 울산대와 울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각각 3억 원과 2억 원 등 총 5억 원을 기부했다. 1억 원 이상 고액 기부자 모임인 아너소사이어티의 11번째 울산 회원이기도 하다.  영세한 문구 사업을 중소기업 규모로 성장시킨 박 대표의 비결은 간단했다. “남들은 ‘10원짜리 장사, 코 묻은 돈 버는 사람’이라고 무시했지만 ‘교육 사업에 일조한다’는 생각과 남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내 자신이 옳다고 믿었기에 한길로 걸어 올 수 있었습니다.”  그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대기업 직원들도 메모지와 볼펜이 없으면 공부를 못 하고 업무 기획을 못 한다”며 “내가 판매한 문구가 없으면 교육이 안 되고 회사가 돌아가지 않는다는 자부심이 오늘의 구암문구를 만들었다”고 했다.  박 대표는 문구점 점원으로 일하며 장사를 배운 24세 때인 1980년 울산의 한 초등학교 앞에서 12m²의 허름한 문구점을 인수해 ‘사업’을 시작했다. 장사가 잘되자 주인이 1년 만에 내쫓았다. 다른 초등학교 앞에서 다시 문구점을 열었다. 이듬해 울산시청 옆에 신정점을 개업한 뒤 현재는 삼산점, 농소점, 범서점, 울산대점 등 5개 점포에 직원 80여 명이 근무하는 대형 문구점으로 키웠다.  박 대표의 인생철학은 ‘돈은 부수적으로 벌리는 것이지 돈을 먼저 생각하면 절대 벌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문구점은 국가와 울산지역 사회로부터 잠시 빌려서 쓰는 것일 뿐”이라며 “수익금 대부분을 사회를 위해 쓰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매월 1000만 원씩, 1년에 1억2000만 원을 울산지역 사회를 위해 내놓고 있다.  울산지역 환경단체인 울산생명의숲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박 대표는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다. 그는 “문구점 건물을 지으면 그만큼 자연환경을 훼손한 것”이라며 문구점 건물 옥상에는 반드시 조경을 한다. 삼산점 옥상에는 보리수나무와 앵두나무, 미나리, 수선화, 고사리 등은 물론이고 닭도 키우고 있다. 건물 옥상에 모으고 있는 빗물에는 수질 정화를 위해 미꾸라지와 수생식물도 키우고 있다. 이 빗물은 화장실 등에 재활용된다. 신정점 3층에는 집기까지 갖춰 생명의숲 사무실로 제공하고 있다.  박 대표는 “문구점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언덕이나 산 위의 바위처럼 평생 변하지 말자’는 뜻에서 구암(丘岩)이라는 상호를 사용하고 있다”며 “평생 문구 사업을 하면서 지역 사회를 위해 봉사하며 살아가고 싶다”고 말했다.  박 대표의 강의가 끝난 뒤 오 총장은 “자기 일에 대한 일관성과 그 일이 고객들에게 선사할 행복감을 생각하는 박 대표의 성실함이 성공의 비결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경제 * 최신기사 * 기업CEO * 부동산 * 금융 * 정책 * JOB * 자동차 * 유통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경제>경제일반 * 경제일반 * 건설 * 금융 * 기업 * 무역 * 산업 * 부동산 * 운수/교통 * 유통 * 자동차 * 재정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세금 * 인물/CEO * 고용 * 정책/칼럼 * 기업·CEO * ePR뉴스 * 모바일/인터넷 * 세상은 지금 * 국제경제 * 경제골프 (BUTTON) [아파트 미리보기]“서울 도심 30분대” 출퇴근족에 손짓 강성휘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5%2F80468299%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한화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 [80468297.1.jpg]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 74㎡형 거실 모습. 이 단지는 전용 59㎡와 74㎡의 중소형 면적으로 구성됐다. 판상형 구조에 드레스룸, 붙박이장 등 다양한 수납공간을 갖춰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화건설 제공  각종 개발 호재와 편리한 생활 여건으로 주목받는 경기 김포시 풍무지구에서 또 하나의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가 분양에 들어간다. 한화건설은 풍무5지구 3∼5블록에 들어서는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의 본보기집을 23일 열고 27일부터 청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80468298.1.jpg] 이곳은 지하 4층∼지상 23층, 16개 동에 전용면적 59∼74m² 1070채 규모로 들어서는 대단지다. 단지가 위치한 김포 풍무지구는 편리한 교통이 장점이다. 김포대로를 통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나 올림픽대로를 이용하면 서울 도심까지 빠르면 30분대에 도착할 수 있다.  2018년 개통 예정인 김포도시철도 풍무역이 단지와 차로 5분 거리에 있어 이를 이용하면 서울 강서권까지는 10분, 강남까지는 40분이면 이동할 수 있다.  교육 환경과 생활 환경도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현초교, 풍무초교, 풍무중, 양도중 등이 단지에서 반경 500m 내에 있다. 걸어서 15분이면 대형 마트와 영화관, 풍무동주민센터, 풍무동 국민체육센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면적이 축구장의 9배에 달하는 근린공원도 단지와 가까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각종 개발 호재도 눈에 띈다. 전문가들은 자동차로 15분 거리에 있는 인천의 검단스마트시티 개발 호재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단스마트시티는 인천 검단신도시 내에 470만 m² 규모로 들어서는 복합 업무지구다. 국민대 캠퍼스를 포함해 88만 m² 규모로 구성되는 풍무지구 내 풍무역세권 개발 사업도 호재로 꼽힌다.  편리한 생활환경과 각종 개발 호재 덕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들어 이달 21일까지 김포시 풍무동 내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은 1026건으로 경기도에서 읍면동 기준으로 시흥시 정왕동, 화성시 오산동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이 기간에 거래된 분양권에 붙은 웃돈의 누적 금액도 209억4381만 원으로 위례신도시가 있는 서울 송파구 장지동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화건설 측은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가 김포시 내 다른 아파트들과 차별점이 있다고 설명한다. 김포는 전체 아파트 중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66∼98m²)가 차지하는 비중이 24.8%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이다. 꿈에그린 2차는 55, 74m² 등 소형 면적 2종류로만 구성돼 있다. 이 때문에 소형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자들 사이에서 희소가치가 있어 상품가치가 높을 것이라는 게 분양 관계자 설명이다.  시공사인 한화건설은 공간 효율성과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단지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모든 아파트를 통풍에 유리한 판상형으로 구성하고 드레스룸, 붙박이장 등을 설치해 수납공간을 충분히 확보했다. 다양한 부대시설도 갖췄다. 샤워실과 라커룸 등이 있는 피트니스 센터뿐만 아니라 동호회실, 북카페, 독서실 등도 단지 내에 조성할 예정이다. 2.7km에 달하는 단지 순환 산책로와 더불어 아이들의 놀이공간, 공용 텃밭 등도 눈에 띈다.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의 3.3m²당 평균 분양가는 1080만 원 선이다. 송희용 분양소장은 “인근 신규 분양단지보다 분양가가 저렴한 편”이라며 “김포시 내 중소형 아파트들이 대부분 준공 후 10년을 넘긴 노후 아파트라 새로 들어설 중소형 아파트에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본보기집은 김포시 고촌읍 고송로3에 있다. 2018년 12월 입주 예정이다. 강성휘 기자 yol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한화 | 김포 풍무 꿈에그린 2차 | 아파트 [관련연재] * 아파트 미리보기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정치일반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횡설수설/이진]해임건의안 만화경 이진 논설위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979%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68975.1.jpg]  임철호 농림부 장관은 3대 국회 때 ‘무능 장관’으로 찍혔다. 1955년 취임 5개월 만에 쌀값이 67%나 치솟고 대체재였던 밀가루 값마저 2배로 폭등했다. 국회가 쌀 배급제를 요구했지만 공매제를 고집했고 공매를 하면 쌀값이 어떻게 되는 거냐고 묻자 “쌀값이 오르고 내리는 것은 하느님만이 아는 일”이라는 한심한 답변으로 빈축을 샀다. 위세당당한 자유당 조직부장까지 지낸 그는 취임 반년 만에 불신임안 가결로 쫓겨나는 신세가 됐다.  ▷검사 출신인 권오병 문교부 장관은 16, 18대 문교부 장관을 지냈고 그 사이에는 법무부 장관으로 일했다. 사립대 휴업령, 한일회담 반대 교수와 학생 축출 및 징계, 국민교육헌장 강행이 꼬리를 물었다. 재임 기간 내내 문교행정은 그야말로 좌충우돌했다. 1969년 임시국회 때 한 의원에게 “그따위 발언 취소하라”고 대들어 여야 의원들이 들고일어나자 “그런 말은 속기록에 없잖아, 속기록을 봐”라고 반말하다 해임안이 가결됐다. 여당인 공화당 소속 40여 명이 반란표를 던졌다. 3선 개헌으로 장기 집권을 노린 박정희 대통령을 견제하려는 당내 갈등 탓이었다.  ▷2년 뒤 오치성 내무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올려왔다. 실미도 사건 등으로 치안 공백을 노출했다는 이유다. 여당은 누구도 동조해선 안 된다는 박 대통령의 엄명을 어기고 3선 개헌에 앞장섰던 공화당 실세 ‘4인 체제’(김성곤 백남억 길재호 김진만)가 ‘10·2 항명’을 일으켰다. 중앙정보부가 출동해 김성곤은 콧수염까지 뽑혔고 20여 명의 항명 의원들도 끌려가 치도곤을 당했다.   ▷2001년 임동원 통일부 장관과 2003년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는 여소야대(與小野大)의 야당인 한나라당이 밀어붙였다. 임 장관은 평양 8·15민족통일대축전에 참가한 일부 인사들의 친북 행태가, 김 장관은 한총련의 미군 장갑차 점거 시위가 이유였다. 24일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해임건의안 통과는 거야가 집권여당에 10여 년 만에 앙갚음을 한 것 같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5일 대표연설에서 과거의 횡포를 사과했건만.   이진 논설위원 leej@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임철호 농림부 장관 | 국회 | 해임건의안 [관련연재] * 횡설수설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정치 * 최신기사 * 청와대 * 국회정당 * 외교안보 * 북한 * 행정자치 * 여론조사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정치>정치일반 * 정치일반 * 국방 * 국회 * 남북한관계 * 대통령 * 사법 * 선거 * 외교 * 인물 * 정당 * 행정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지방행정 * 국회·정당 * 행정·자치 (BUTTON) 26일부터 野단독 국감… 파행 불보듯 유근형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551%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협치에서 대치로]野 “與 승차 거부해도 열차 출발” 미르재단-우병우 거취 공세 예고  여야는 2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열리는 2016년 국정감사에서 피감기관 691개를 대상으로 기관 증인 3256명, 일반 증인 104명을 불러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파행이 예상된다. 위원장이 야당 출신인 상임위는 반쪽 국감이, 위원장이 여당 출신인 상임위는 진행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당장 26일에는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등 5개 상임위 국감이 정상적으로 열리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야 3당은 여당이 없더라도 국감 일정을 예정대로 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미르재단 및 K스포츠재단 의혹이 다뤄질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등에서 폭로전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교문위 위원장은 국민의당 유성엽 의원이다. 20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대통령이 착용하는 액세서리가 비선 실세인 최순실 씨가 청담동에서 구입한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한 더불어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추가 폭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우병우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안종범 대통령정책조정수석비서관 등의 출석 여부도 관심사다. 여야는 이들을 운영위 기관 증인으로 채택하는 데 합의했지만, 여야 대치로 출석이 불투명해졌다. 더민주당은 기관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사표가 수리돼 출석 의무가 없어진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에 대해 일반 증인으로 다시 채택하는 것을 추진하기로 했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관련기사 단독 국감 | 야당 | 국회 | 우병우 | 미르재단 | 여당 * 화병 난 정진석… 힘 뽐낸 우상호… 셈 바쁜 박지원 * [기자의 눈/민동용]정쟁에 ‘선수’로 뛰어든 정세균 의장 * [뉴스분석]나라 어려운데, 정치는 극한대치 * 13년전 김두관 사태땐 한나라가 힘자랑… 이듬해 총선 참패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대학부패 근절하겠다던 교육부, 비리 저지른 32곳에 올 717억 배정 노지원기자 , 최지연 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23%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프리미엄 리포트/2016 대한민국 대학 현주소] 감점 작아 9개 사업에 그대로 선정… 정부 재정제한정책 실효성 의문  다양한 방식으로 대학 구조조정을 주도하고 있는 교육부는 재정 지원을 무기로 대학들을 압박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가 재정 지원을 제한해 대학의 부정 비리를 근절하겠다면서도 비리를 저지른 대학에 올 한 해에만 7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몰아주기로 한 사실이 드러났다. 정부의 재정 제한이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정·비리를 저질러 정부의 재정 지원 사업에서 감점 등 불이익을 받고도 교육부의 9개 사업에 최종 선정된 대학이 2016년 현재 32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들 대학에 2016년에만 총 717억2100만 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부정·비리 대학으로 지목돼 감점을 받았어도 감점 비율이 크지 않아 정작 사업에서 탈락한 대학은 단 한 곳도 없었다. 또 교육부는 부정·비리 대학들에 예산 2∼30%를 삭감하겠다고 했지만 실제로 삭감 대상이 된 대학은 32곳 가운데 7곳뿐이다. 삭감한 예산은 총 6억3800만 원으로 전체 사업 예산의 0.88%밖에 되지 않는다.  교육부의 올해 대학 재정 지원 사업 규모는 1조5000억 원가량이다. 연구 역량 확보에 중심을 둔 ‘BK21 플러스 사업’이 2725억 원으로, 2972억 원을 지원하는 전문대 특성화 사업(SCK)과 함께 가장 큰 비율로 예산이 편성됐다. 그 밖에 이공계 중심의 학부 개편 사업인 프라임(PRIME) 사업, 산학협력 선도 대학 육성 사업(LINC), 대학 특성화 사업(CK) 등이 각각 2000억 원대가 넘는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교육부는 올 7월 ‘대학 재정 지원 사업 개편 방안’을 발표하면서 “대학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유사·중복 사업은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개편안에 따르면 2016년 신규 사업인 프라임 사업과 대학 인문 역량 강화 사업(CORE) 등은 사업 기간뿐 아니라 종료 후 5년간 성과 목표 달성도 등을 매년 점검받는다. 박 의원은 “약속한 성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대학에 실효성 있는 제한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노지원 zone@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최지연 기자 추천해요 관련기사 대학 | 교육부 | 비리 | 부패 | 지원 | 재정 * 교육부 요구대로 학과 개편… 대학들 개성 잃고 획일화 우려 * 등록금 동결-학생 감소 ‘위기의 대학’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매달려 무리수 * 민주화→ 등록금 인하→ 구조조정 반대… 학내시위 구호 달라져 * ‘연세대 개혁 주도’ 정갑영 前총장의 쓴소리 [관련연재] * 프리미엄 리포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연세대 개혁 주도’ 정갑영 前총장의 쓴소리 김도형 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4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프리미엄 리포트/2016 대한민국 대학 현주소] “연구-교육중심 다양한 ‘링’ 필요한데 한국 대학 하향평준화로 가고 있어” [80468639.1.jpg]  “지금 한국 대학은 하향 평준화로 가고 있다. 정부가 대학을 한 가지 길로 몰지 말고 교육이든 연구든 각자의 ‘링’에서 경쟁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  연세대 17대 총장으로 올해 초까지 4년 동안 학교를 이끌고 최근 정년퇴임한 정갑영 연세대 명예 특임교수(64·한국생산성본부 고문·사진)의 충고다. 그는 국내에서는 도전 받지 않는 위상을 자랑하는 연세대에서 개혁을 주도하며 인천 송도에 국제캠퍼스를 만들고 ‘레지덴셜칼리지(RC·기숙형 대학교육)’를 자리 잡게 만들었다. 22일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에서 만난 그는 “그동안 한국의 대학들이 부족했던 부분이 있지만 대학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정부는 대학 장학금 지원을 늘렸다고 내세우고 있다.  “장학금도 필요하다. 그런데 그게 대학의 재정 확충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 가격을 규제하면 물건의 품질이 좋아질 수 없다는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실인데 한정된 재원이 장학금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지금 한국 대학은 획일화되면서 하향 평준화의 길로 가고 있다.”  ―획일화하지 않으면 다른 길이 있나.  “연구는 대학의 핵심 역할이지만 모든 대학이 연구 중심 대학이 될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연구와 교육, 수도권과 지방거점대 등 다양한 ‘링’을 만들어주고 각자의 링에서 경쟁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  ―대학 교육의 수준과 졸업장의 가치가 떨어지니 “등록금이 비싸다”는 아우성이 나오는 것 아닌가.  “그런 측면이 있다. 그동안 대학은 수요가 넘쳐났다. 그럴수록 앞으로의 대학 변화와 발전이 중요하다. 4차산업이든 창조경제이든 우리나라가 다시 도약하려면 그 원동력은 대학의 연구와 교육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스탠퍼드대와 실리콘밸리의 관계를 보면 알 수 있다.”  ―대학이 변화의 방향을 잡아도 그대로 밀고 가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지금 대학은 총장이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려운 조직이다. 학생 교수 학부모 동문 등 주인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많지만 모두가 주인다운 책임을 지려고 하진 않는다. 인기가 아니라 철학과 능력 중심으로 총장을 뽑고 그 뒤에는 뜻을 펼칠 수 있게 도와줄 필요가 있다.” 김도형 기자 dod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관련기사 연세대 | 정갑영 | 하향평준화 | 개혁 | 대학 * 민주화→ 등록금 인하→ 구조조정 반대… 학내시위 구호 달라져 * 등록금 동결-학생 감소 ‘위기의 대학’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매달려 무리수 * 교육부 요구대로 학과 개편… 대학들 개성 잃고 획일화 우려 * 대학부패 근절하겠다던 교육부, 비리 저지른 32곳에 올 717억 배정 [관련연재] * 프리미엄 리포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경제 * 최신기사 * 기업CEO * 부동산 * 금융 * 정책 * JOB * 자동차 * 유통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경제>기업·CEO * 경제일반 * 건설 * 금융 * 기업 * 무역 * 산업 * 부동산 * 운수/교통 * 유통 * 자동차 * 재정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세금 * 인물/CEO * 고용 * 정책/칼럼 * 기업·CEO * ePR뉴스 * 모바일/인터넷 * 세상은 지금 * 국제경제 * 경제골프 (BUTTON) [위기관리 경영]‘샤롯데봉사단’ 호텔리어 200여명 보육원 등서 봉사활동 손가인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4%2F8043146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31457.2.jpg]  롯데호텔의 호텔리어 200여 명이 봉사활동에 나섰다. 롯데호텔의 전국 체인에 근무하는 임직원으로 구성된 ‘샤롯데봉사단’은 8일 전국의 보육원과 요양원 등을 찾아 빵을 만들고 생필품을 기증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국내 토종 호텔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체인 호텔을 보유하고 있는 롯데호텔은 전국 사업장을 기반으로 서울뿐 아니라 부산, 제주, 울산, 대전 등의 사회복지시설에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올해 찾은 서울의 지적장애인 지원시설인 신아원에서는 제빵 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인들과 함께 빵을 만들어 ‘해피박스’에 담는 봉사활동을 했다. 롯데제과에서 후원한 과자와 사탕 등이 담긴 제과선물세트 해피박스는 서울 지역 내 사회복지시설에 쌀과 함께 기부할 예정이다. [80431458.2.jpg]  샤롯데봉사단은 소외 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호텔리어 서비스 교육을 제공하는 ‘꿈드림 멘토단’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중국 내몽골 쿠부치(庫布齊)사막의 사막화를 막기 위한 조림 사업인 ‘싱크 네이처(Think Nature)’ 캠페인도 4년째 진행 중이다.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이 침대 시트나 수건을 빨지 않고 재사용해도 좋다는 뜻으로 객실에 비치된 ‘그린카드’를 올려둘 경우 절감한 세탁 비용을 기부하는 방식이다. 이뿐 아니라 몽골에 직접 찾아가 나무를 심는 활동도 3년째 계속 하고 있다. 지금까지 8만 m²의 땅에 나무 5만 그루를 심었다. 이날 서울 신아원 봉사에 참여한 송용덕 롯데호텔 사장은 “힘든 상황에서도 열정과 의지를 갖고 있는 분들을 보며 호텔 직원들도 많은 것을 얻어 간다”며 “임직원들의 작은 정성이 그대로 전해져 큰 희망의 씨앗이 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손가인 기자 gai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롯데호텔 | 경영 | 경제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교육부 요구대로 학과 개편… 대학들 개성 잃고 획일화 우려 김도형 기자 , 최지연 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46:39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1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프리미엄 리포트/2016 대한민국 대학 현주소] 위기의 대학 “지원예산 따내야” 취업률 높이려 이공계 쏠림 심화… 학문 영역 비슷… 다양성 사라져 학령인구 급감에 유학생 유치 경쟁 무슬림 기도실에 할랄음식 제공… 일부 학교 ‘캠퍼스 공유’ 실험도 [80468612.1.jpg] [view_icon_photo_more.gif]  “예산을 생각하면 교수 한 명 더 뽑는 것도 부담스러울 정도예요.”  명문대로 꼽히는 서울지역의 한 사립대 기획처장은 5년 이상 이어진 등록금 동결 탓에 어려움이 많다며 이렇게 하소연했다. 그는 각종 평가 때문에 전임교원 확보율 등 교육 여건은 개선해야 하는데 예산은 한계 상황에 이르러 거의 모든 대학이 예산이 걸려 있는 각종 정부 사업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 재정·취업 압박 속 대세는 ‘이공계’  이런 상황에 놓인 대학들에서 최근 가장 눈에 띄는 모습은 이공계 중심의 구조 개편이다. 대학 졸업자 공급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오는 인문계 전공을 이공계 전공으로 바꾸는 것은 대학으로서는 일석이조의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된다. 각종 평가가 상시화된 상황에서 취업률과 연구 성과라는 핵심 평가지표를 함께 끌어올릴 수 있고, 이는 추가적인 예산 사업 확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 광진구의 세종대는 전통적으로 호텔관광과 애니메이션 분야 교육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이공계 분야를 집중적으로 키우고 있다. 세종대는 1997학년도만 해도 이공계 3개 학과 정원이 전체 신입생 1340명의 35.8%인 480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2017학년도에는 정원 2320명 가운데 65.0%에 이르는 1508명(25개 학과)이 이공계로 분류된다. 내년에 첫 신입생을 뽑는 소프트웨어 융합대는 정원이 502명에 이른다. 이 대학 김승억 부총장은 “앞으로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에서 일자리가 많이 생길 것으로 보고 소프트웨어 관련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국대는 교육부의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면서 바이오공학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21개 대학에 3년간 총 6000억 원을 나눠주는 프라임 사업의 정식 명칭은 ‘산업연계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이다. 강황선 건국대 교무처장은 “프라임 사업 추진은 예산 확보는 물론이고 자극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고 말했다. 3년간 450억 원의 재정 지원을 받으면서 학교 전체가 ‘변화가 필요하다’는 자극까지 받았다는 것이다. ○ 이슬람 기도실 만들고, ‘대학 공유’도   ‘인구절벽’으로 인한 학령인구 급감을 앞두고 있는 대학가는 외국인 학생 유치에도 적극적이다. 올해 학위·비학위 과정 외국인 유학생은 10만 명을 넘어섰다. 서울 성동구 한양대는 학생식당에서 주 4회 할랄 음식을 제공하고 무슬림 기도실도 만들었다. 전체 2000명가량의 외국인 학생 가운데 무슬림 학생은 80명 정도에 그치지만 외국인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것들은 학교가 마련하고 있다는 ‘사인’을 보내는 의도도 있다.  학생 수 감소에 대한 걱정은 지방 대학이 더 크다.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이 뚜렷한 상황에서 대학가에서는 그동안 ‘꽃이 지는 순서대로 대학이 사라질 것’이라는 얘기가 공공연하게 나왔다. 이런 상황은 적극적으로 비용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이어진다. 부산 동서대와 경성대는 이런 선제 대응의 대표 사례다.  두 대학은 최근 캠퍼스와 교수진을 교류하기로 합의했다. 각자 강점과 경쟁력을 갖는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시스템을 구축해 비용을 줄이면서도 더 나은 교육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동서대는 이미 2011년 아시아권 대학으로는 처음으로 중국과 합작대학을 설립했다. 중국 후베이(湖北) 성 우한(武漢)에 설립한 동서대 제2캠퍼스는 중국 학생들이 일정 기간 동서대 한국 본교에서 강의를 듣도록 하고 있다.  26일에도 중국을 찾는다는 장제국 동서대 총장은 “태풍이 몰아쳐도 침몰하지 않고 살아남는 배가 있듯이 어려운 시기를 넘기면 더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으로 먼저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 “대학의 획일화 경계해야”  대학의 이런 급격한 변화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대학이 당장의 취업률만 바라보면 지나치게 한 곳으로 쏠릴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대표적이다. 반상진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부가 좋게 말하면 엘리트 의식을 가지고, 나쁘게 말하면 ‘갑질’을 하며 대학을 이끄는 상황”이라며 “대부분의 재정지원사업이 요구하는 지표가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대학이 획일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금 당장 취업률이 높은 분야라고 해서 앞으로도 꾸준히 인력 수요가 이어질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고등교육 공학계열 취업률은 2011년 69.3%로 정점을 찍은 뒤 2012년 69.0%, 2013년 68.6%, 2014년 66.9%로 집계됐다. 2014년 고등교육 전체 취업률 58.6%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지만 최근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우리 사회 전반을 끌고 갈 대학이 재정 지원만 바라보는 수동적 기관이 됐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서울지역 한 사립대의 보직교수는 “지금 배가 고픈 대학들은 학교의 철학과 큰 틀에 어긋나지만 않으면 정부의 각종 재정지원사업에 끌려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등록금 인상을 강제로 틀어막아 놓고 일부 사업으로만 지원금을 나눠 주면서 대학 내·외부 갈등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급격히 늘어난 외국인 유학생 문제 역시 일부 대학에서는 수학능력이 부족한 학생을 유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학알리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대학의 학위과정 유학생 3만7098명 가운데 한국어나 영어능력 기준을 채우는 학생의 비율은 38.8%(1만4385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도형 dod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최지연 기자 추천해요 관련기사 대학 | 획일화 | 취업 | 재정 | 대학공유 * 대학부패 근절하겠다던 교육부, 비리 저지른 32곳에 올 717억 배정 * 등록금 동결-학생 감소 ‘위기의 대학’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매달려 무리수 * 민주화→ 등록금 인하→ 구조조정 반대… 학내시위 구호 달라져 * ‘연세대 개혁 주도’ 정갑영 前총장의 쓴소리 [관련연재] * 프리미엄 리포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alternate Chosun.com [RSS] 학교폭력의 비극 * 원주=정성원 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7 03:00 원주의 15세 중학생이 동급생 흉기로 찔러 중태… "평소 괴롭힘 당해" 진술 26일 오전 10시 50분쯤 강원도 원주시의 한 중학교 화장실에서 김모(15)군이 같은 반 동급생인 장모(15)군을 흉기로 수차례 찔렀다. 머리와 가슴 등을 찔린 장군은 사고 직후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중태다. 교사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김군을 살인미수 혐의로 체포해 조사 중이다. 김군은 경찰 조사에서 "평소 장군에게 지속적으로 얻어맞아 흉기로 찔렀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도 김군은 1, 2교시가 끝나고 쉬는 시간마다 장군에게 화장실로 불려가 괴롭힘을 당했다고 한다. 김군은 1교시 수업을 빠지고 교무실로 담임교사를 찾아가 장군에게 평소 폭행을 당하고 있다고 알렸다. 담임교사는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를 통해 처리해 주겠다"고 말했다고 알려졌다. 김군은 집에 있던 과도를 허리춤에 찬 채 등교했으며, 이 과도를 범행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강원도교육청은 담당 장학관을 단장으로 하는 대책반을 해당 학교로 급파했다. [icon_keyword.jpg] 키워드 | #사이버 왕따 문제 #학교폭력 실태조사 #스쿨 폴리스 제도 #중학생 왕따 폭력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민주화→ 등록금 인하→ 구조조정 반대… 학내시위 구호 달라져 차길호기자 , 최지연 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48:42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33%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프리미엄 리포트/2016 대한민국 대학 현주소] 학생들 “의견수렴 없이 일방 추진” 이대-동국대 ‘평생교육 단과대’ 홍역… 숙대 ‘대학원 남학생 허용’ 놓고 시끌 학교측 “학생 전체 뜻 아니다” 총학생회 “학교 이미지 추락” 대학측 “개혁 안하면 생존 못해” [80468630.2.jpg] 본관 점거… 천막 농성… 몸살 앓는 상아탑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난 등을 타개하기 위해 대학들이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맞선 학생들의 점거 농성도 계속되고 있다. 최경희 이화여대 총장이 지난달 3일 시위 학생들 앞에서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 철회를 발표하고 있다(맨위쪽 사진). 21일 서울대(가운데 사진)와 동국대 캠퍼스에서도 학생들이 각각 시흥캠퍼스 철회와 비리 총장 사퇴를 요구하며 천막농성을 벌였다. 최혁중 sajinman@donga.com·홍진환 기자   ‘이화를 기만한 최경희 총장은 책임지고 즉각 자진 사퇴하라.’  이화여대 캠퍼스 곳곳엔 총장 책임론을 주장하는 현수막과 대자보, 포스트잇 등이 가득했다. 평생교육 단과대 사업에 반대하며 시작된 학생들의 본관 점거 시위로 학교 측은 8월 초 사업 철회를 선언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총장 사퇴’를 외치며 60일째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20, 22일에 이어 27일에도 교내 행진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부의 등록금 동결 조치로 빚어진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대학들이 각종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집단행동이 거세지고 있다. 과거 1980, 90년대 후반까지는 민주화, 학원자주화 등 거대 담론이나 등록금 인하 등이 시위의 주된 구호였다면 최근에는 대학 구조조정 반대, 총장 사퇴 등 이슈가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대안 없이 반대를 위한 반대만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학생들에 발목 잡힌 신사업 추진  동국대 총학생회는 지난달 11일 재학생 12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평생교육 단과대에 반대하는 취지의 ‘만민공동회’를 열었다. 동국대는 이미 평생교육 단과대를 설립해 학생을 뽑고 있지만 이화여대 사태를 지켜본 학생들이 다시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 측은 ‘총학생회가 평의회에서 평생교육 단과대에 동의했다’고 밝혔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올해 초 교육부가 프라임(산업연계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을 추진했을 때도 일부 대학 학생들은 거세게 반발했다. 국민대 총학생회는 3월 총장실 앞 로비 점거 농성을 벌이며 학교 측과 대립했고 인하대 숭실대 등에서도 시위가 잇따랐다. 학교 측이 학생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은 채, 준비도 미진한 채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는 이유였다. 세 학교는 결국 프라임 사업에서 탈락했다.  학생들이 반발하는 까닭은 다양하다. 학교 측의 소통 부재, 인문학 경시 풍조 등을 비난하는 목소리와 함께 학교의 ‘브랜드 가치’, 나아가 자신들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하락할 우려가 있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작용한다. 지난해 숙명여대는 일반대학원에 남학생 입학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다 학생들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다. 학교 측은 연구역량 강화, 재정난 해소 등을 명분으로 남학생 입학 허용을 주장했지만 학생들은 “여대로서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반대했다.  이화여대 사태 또한 ‘명문 여대’ 출신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동문들과 재학생들의 자부심이 큰 변수가 됐다. 직장인 재교육을 위한 평생교육 단과대에는 특성화고교 출신 150명이 일반 학생들과 다른 전형으로 입학해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일각에서는 “‘뒷문으로 들어온 평생교육 단과대 학생들과 같은 급으로 취급되는 걸 용납할 수 없다’는 일부 이대생의 빗나간 의식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왔다. ○ 학교 측 “총학생회가 전체 학생 대변 못해”  대학 측이 학생들과 충분한 소통 없이 학내 사업을 진행하는 것도 문제지만 심각한 위기 속에서 틀을 바꿔 보려는 학교의 시도를 무작정 ‘악(惡)’으로 몰아붙여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서울대는 다음 달 10일 열리는 학생총회를 앞두고 긴장 상태에 놓여 있다. 총회에서는 지난달 학교 측과 경기 시흥시가 맺은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 실시협약’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서울대 학생들은 시흥캠퍼스 설립을 반대하며 1일부터 천막 농성에 들어갔다. 학교 측은 실시협약 체결 직전에야 총학생회에 체결 예정 사실을 알렸고, 캠퍼스 조성 비용의 일부가 학생들에게 전가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도 구체적 해명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학교 측은 총학생회의 의견이 학생 전체를 대표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실제 올해 총학생회 자체 설문조사에서 참여자 63.2%가 ‘시흥캠퍼스 전면 반대’에 표를 던졌지만 투표율은 28.9%에 그쳤다. 서울대 본부 관계자는 “시흥캠퍼스 자체가 연구 중심으로 가기 때문에 학부생과는 애초에 큰 관련이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화여대 사태도 마찬가지다. 농성을 계속하고 있는 학생들 외에 졸업생 수백 명이 평생교육 단과대 설립에 반대하며 졸업장을 반납했다. 그러나 ‘이화여대 정상화를 바라는 졸업생들의 모임’은 지난달 16일 한 일간지에 ‘총장 사퇴를 목표로 진행되는 재학생과 일부 졸업생들의 농성에 공감할 수 없다’는 의견광고를 내기도 했다. ○ ‘느린 민주주의’의 한계  이화여대 학생들은 학생회 주도였던 과거 시위들과는 달리 재학생과 졸업생 위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의견을 모으는 ‘느린 민주주의’를 표방했다. 대표자 없는 형태의 합의기구 ‘만민공동회’를 본뜬 것이다. 하지만 SNS를 통한 의견 수렴이 대다수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 이화여대 대학원생은 “‘총장 무조건 사퇴’만을 외치며 시위가 장기화되는 점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도 많지만 섣불리 표현했다간 온라인상에서 매도당할까 봐 두려워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서울의 한 사립대학 홍보팀 관계자는 “학생들이 반발하는 이유도 이해할 수 있지만 어려운 상황 속에서 나름대로의 개혁을 시도하는 학교 측의 사정도 학생들이 알아야 한다”라며 “원활한 소통을 통한 의견 조율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최지연 lim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차길호 기자 추천해요 관련기사 이화여대 | 대학 | 재정 | 학생 | 민주주의 | 평생교육 * ‘연세대 개혁 주도’ 정갑영 前총장의 쓴소리 * 교육부 요구대로 학과 개편… 대학들 개성 잃고 획일화 우려 * 대학부패 근절하겠다던 교육부, 비리 저지른 32곳에 올 717억 배정 * 등록금 동결-학생 감소 ‘위기의 대학’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매달려 무리수 [관련연재] * 프리미엄 리포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람속으로 * 최신기사 * 인물동정 * 인사 * 부고 * 사고 * 본사손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람속으로>인사일반 * 인사일반 * 기획 * 사고 (BUTTON) 장승화 교수 “수출 의존 한국, 통상법 전문가 키워야” 신민기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49:41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79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26일 퇴임하는 한국인 첫 WTO 상소기구 재판관 장승화 교수 [80469138.1.jpg] 장승화 서울대 교수는 “보호무역주의 흐름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통상 분쟁 전문가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서울대 로스쿨 학생들마저 변호사 시험에 매달리느라 통상 분야에 관심을 두지 않아요. 교수로서 이런 현실에 자괴감이 듭니다.”  한국인 최초로 세계무역기구(WTO) 상소기구 재판관으로 일한 장승화 서울대 교수(53)가 2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재판관 퇴임식을 앞두고 처음 말문을 열었다. 미국의 석연찮은 반대로 연임하지 못한 채 물러나는 것보다 장 교수의 마음을 더 무겁게 하는 건 수출의존도가 높은데도 통상 전문가조차 제대로 키우지 못하는 한국의 척박한 법학 교육 현실이다. 장 교수가 지난해 하버드대 로스쿨에서 통상법 강의를 했을 때는 100명 이상의 학생들이 강의를 듣기 위해 몰렸다. 정작 그가 몸담은 서울대 로스쿨에서는 수강생이 10명 남짓이다.  최근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에서 만난 그는 “지금이라도 통상법 전문가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통상 전문가가 없는 법조계의 현실을 꼬집었다. 통상 분쟁이 벌어지면 해외 로펌에 많은 수임료를 내고 맡기는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장기적으로 국내에서 전문가를 키우고 경험을 축적해야 한다”며 “기업이 자체적으로 통상 관련 이슈를 분석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탁기 반덤핑 분쟁에서 한국이 이긴 것은 미국과 같은 강대국을 상대로 통상 분쟁에서 얼마든지 다퉈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정당성과 명분이 있다면 눈치를 보지 않고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장 교수는 2012년 한국인으로는 처음 WTO 상소기구 위원에 선출됐다. 7명으로 구성된 WTO 상소기구 위원은 국가 간 무역분쟁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는 ‘대법관’과 같다. 임기는 4년이다. 연임하려면 모든 회원국의 동의가 필요하지만, 미국의 반대로 장 교수의 연임은 무산됐다.  장 교수는 “올해 초부터 미국이 나에 대해 불만 또는 불안감을 갖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재판관으로서 중립을 지키기 위해 굳이 나서서 오해를 풀려고 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법조계와 경제계에서는 미국이 한국과의 세탁기 반덤핑 분쟁 판정을 앞두고 자국에 불리한 판결이 나올 것을 우려해 장 교수의 연임에 반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이 한국 전자회사들이 수출한 세탁기에 반덤핑 관세를 매긴 근거가 인정되지 않아 미국은 이달 7일 WTO 상소기구에서 최종 패소했다. 그는 “한국은 미국이나 중국 등과의 정치·외교적인 관계를 의식해 통상 문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 흐름이 거세지고 있어 통상 분쟁이 더욱 늘어날 것에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당분간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집중할 계획이다. 그는 “4년간 WTO 본부가 있는 스위스를 오가느라 강의와 연구에 소홀했다”며 “기다려 준 학교와 학생들을 위해 강의에 매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신민기 기자 minki@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wto 상소기구 | 재판관 | 장승화 교수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사회일반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등록금 동결-학생 감소 ‘위기의 대학’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매달려 무리수 김도형 기자 , 최지연 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24:09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44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프리미엄 리포트/梨大평생교육대 사태로 본 대학 현실] 서울대 시흥캠퍼스-숙대 男입학案… 학생들과의 소통 부족해 갈등 심화  “정부가 5년 넘게 등록금 인상을 막으니 대학들은 정부 재정지원사업에 혈안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화여대 사태가 일어난 거죠.”  서울 한 사립대 고위 관계자는 25일로 농성 60일째에 접어든 이화여대 사태의 본질을 이렇게 분석했다. 이화여대 학생들은 학교 측의 평생교육 단과대 개설 추진에 “학교가 학위 장사를 하려는 것이냐”라며 반대하면서 집단행동을 시작했다. 학교가 해당 단과대 계획을 철회한 뒤에도 소통 부족 등을 이유로 7월 28일부터 “총장 사퇴”를 외치며 본관을 점거하고 있다. 이화여대뿐이 아니다. 서울대는 연구중심 시흥캠퍼스 설립을 추진하면서 총학생회와 갈등을 빚고 있고, 숙명여대는 지난해 일반대학원에 남학생 입학 허용을 추진하다 학생들의 반발에 무산됐다.  대학 관계자들은 이런 현상이 몇몇 대학만의 일이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모든 대학이 가파른 학령인구 감소와 취업률 등 ‘지표 평가 경쟁’, 재정 압박의 ‘3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넘기 위해 평생교육 단과대 개설 등의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반발로 역풍을 맞는 대학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대학 등록금 동결이다. 대학 등록금은 법적으로 최근 3년간 평균 물가상승률의 1.5배까지 인상할 수 있지만 교육당국의 압박으로 5년 이상 요지부동이다. 입학정원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현재 4년제와 전문대의 입학정원은 약 55만 명인데 고교 졸업생은 2018년 55만 명, 2023년 40만 명으로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교육부가 등록금을 동결해 대학의 숨통을 막은 뒤 원하는 사업 중심으로 국고 보조금을 나눠주며 대학을 길들이고 교육을 획일화하고 있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김도형 dod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최지연 기자 추천해요 관련기사 평생교육대 | 이화여대 | 숙명여대 | 서울대 | 등록금 | 대학 * 교육부 요구대로 학과 개편… 대학들 개성 잃고 획일화 우려 * 대학부패 근절하겠다던 교육부, 비리 저지른 32곳에 올 717억 배정 * 민주화→ 등록금 인하→ 구조조정 반대… 학내시위 구호 달라져 * ‘연세대 개혁 주도’ 정갑영 前총장의 쓴소리 [관련연재] * 프리미엄 리포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경제 * 최신기사 * 기업CEO * 부동산 * 금융 * 정책 * JOB * 자동차 * 유통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경제>기업·CEO * 경제일반 * 건설 * 금융 * 기업 * 무역 * 산업 * 부동산 * 운수/교통 * 유통 * 자동차 * 재정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세금 * 인물/CEO * 고용 * 정책/칼럼 * 기업·CEO * ePR뉴스 * 모바일/인터넷 * 세상은 지금 * 국제경제 * 경제골프 (BUTTON) [위기관리 경영]‘창업초심’바탕으로 이윤·품질·안전경영+‘상생경영’ 김성규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4%2F80431510%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31506.2.jpg]  아시아나항공은 안팎의 어려운 경제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창업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창업초심’의 경영 방침을 바탕으로 이윤 경영, 품질 경영, 안전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또 전통적인 경영 가치 외에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비재무적 요소인 사회적 책임성을 고려한 상생협력과 사회공헌 관련 활동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상생경영을 위한 아시아나항공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협력업체와의 상생간담회를 꼽을 수 있다. 2008년부터 매년 실시해 오고 있는 상생간담회는 향후에도 상호 신뢰와 이해를 바탕으로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체제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80431505.2.jpg]  또 협력업체와의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협력업체 소통데이(DAY), 고충처리 및 제안 제도 운영, 협력업체 상생만족도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특히 제안 제도 및 고충처리 제도 운영 등 품질 개선, 원가 절감, 절차 개선 등 협력업체 제안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의사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현금 결제 100%, 사이버 외국어 교육 및 문화센터 콘텐츠 지원 등 협력업체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공항 현장에서 근무하는 협력사 직원의 외국어 업무 능력 향상과 교양 및 교육지원 콘텐츠를 통하여 서비스 질 향상과 동시에 협력사 직원의 자기 계발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협력사 서비스 코디네이터 양성 과정을 통한 아시아나항공의 서비스 표준 교육, 서비스 품질 관리자 및 협력사 자체 서비스 지도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아시아나는 동반성장 내부심의위원회를 구성해 불공정 거래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고 자율 감시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심의회는 위원장(구매담당 임원), 간사(상생협력팀장), 위원, 임시위원으로 구성돼 있다. 김성규 기자 sunggyu@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아시아나 | 경영 | 경제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문화 * 최신기사 * 음악 * 애니·만화 * 공연 * 문학·출판 * 요리·맛집 * 종교 * 학술 * 패션·인테리어 * 여행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문화>여행 * 문화 일반 * 생활/가정 * 무용 * 문학/출판 * 미술 * 바둑 * 여행 * 역사 * 연극 * 요리/음식 * 음악 * 인테리어 * 종교 * 패션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연재소설 * 영화 * 여성 * 학술 * 만화 * 뷰티 * 언론 * 패션&인테리어 (BUTTON) [여행, 나를 찾아서]황금들녘의 풍요로움을 축제로 풀어내다 태현지 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4%2F80431606%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김제지평선축제 [80431605.2.jpg]  무더위의 끝자락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 농촌의 황금들녘과 넉넉한 인심을 떠올리며 수확의 기쁨을 함께 나눠온 게 한국인의 정서다. 이러한 우리네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 선보이는 축제가 있다. 바로 대한민국 최고의 농경문화 대향연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4년 연속 대표축제’에 오른 김제지평선 축제다. 올해는 9월 29일부터 5일간 ‘세계 속의 지평선! 세계로 향하는 지평선’을 슬로건으로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관광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 축제는 1999년부터 올해까지 18회를 맞는 동안 한민족의 전통농경문화와 지역문화유산을 재구성해 ‘지평선(horizon)’이라는 무형의 아이템을 통해 현재까지도 변함없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점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축제이기도 하다. 특히 금년은 최근의 한류 열풍을 반영한 ‘중국인 단체관광객과 연계한 대규모 이슈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으로, 한중 간 상생의 퍼포먼스를 준비하고 있어 대표 축제다운 면모를 확실하게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한국관광공사와 연계한 백제문화권 축제상품 개발로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백제문화와 전라도의 가을을 보여줄 수 있는 시간 또한 마련했다.  김제지평선축제는 유엔에서 ‘3년 연속 농업 관련의 해’로 선정될 만큼 남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콩의 해’를 내걸고 종자홍보 체험관과 두부홍보·판매관을 운영해 생명의 근원인 ‘농업’의 중요성을 축제장을 찾은 이들에게 알릴 계획이다.  김제시는 향후 지속 가능한 축제로의 전환을 위해 지역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고 있다. 농촌마을 체험과 숙박이 어우러진 ‘농촌에서의 하루’와 ‘지평선팜스테이’를 확대 운영하며 유교문화를 통한 정신수양을 위해 마련한 ‘학성강당 예절교육’과 ‘금산사 템플스테이’가 준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체험 위주의 ‘징게쟁이 전시·체험관’과 ‘생태놀이 체험장’이 축제 기간 내내 상시 운영된다.  이건식 김제시장은 “지속 가능한 축제의 진수를 보여주는 김제지평선축제가 앞으로도 지역활성화와 관광객 유치에 기여할 것”고 말했다. 태현지 기자 nadi11@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추천해요 김제 | 지평선축제 | 여행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계룡산 철화분청 우수성 입증 프로그램 관심 이기진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5%2F8046802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27일 KBS서 특별기획 방영 [80468026.1.jpg] KBS대전방송총국 ‘계룡산 철화분청’ 제작진들이 일본 현지에서 한 도공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KBS대전방송총국 제공  청자와 백자 사이에서 가장 자유로웠던 도자 ‘분청사기(粉靑沙器)’. 그중에서 충남 공주 계룡산 자락에서 발견된 철화분청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찾기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  공주시와 KBS대전방송총국은 일본 사가(佐賀) 현 아리타(有田) 자기의 시조로 추앙받는 공주사람 이삼평(?∼1655)이 일본에서 백자를 생산한 지 400년을 기념해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찾기 위한 특별기획 ‘순수를 빚다. 계룡산 철화분청’(연출 김애란 프로듀서)이 27일 오후 7시 35분부터 KBS 1TV를 통해 방영된다고 25일 밝혔다.  제작진은 지난해 12월부터 국내는 물론 일본과 중국 현지 정밀 취재와 관계자 증언 등을 총망라해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프로그램은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은 한중일 철화도자기 특성들을 비교하고 3국의 철 성분을 분석하는 작업도 소개한다. 이와 함께 도자 강국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세계 속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 최초로 백자를 만들고 지도에도 없던 아리타를 세계적인 도자도시로 만든 이삼평의 흔적을 공개한다. 또 다른 가마터인 고려요(高麗窯)의 출토 유물을 통해 계룡산과의 연관성도 밝혀냈다. 일본 가라쓰 ‘도진마치’라 불리는 조선사기장들의 마을에서 이름 없는 조선 도공들의 한을 달래던 망향의 언덕 묘비도 처음으로 공개된다.  공주대 윤용혁 교수(역사교육과)는 “철화분청이라는 주제를 통해 한중일 3국의 도자문화를 폭넓게 정리한 최초의 다큐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그 중심에 공주 계룡산자락을 설정해 위치시킨 것도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연출자 김애란 프로듀서는 “계룡산 도자기는 더 이상 작은 마을 공주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세계 속으로 나아갈 한류의 또 다른 힘이라는 것을 깨닫게 됐다”며 “분청의 기법 중 가장 뛰어난 철화분청이 이제 세계로 나아갈 차례”라고 말했다.   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회 * 최신기사 * 법조 * 교육 * 환경 * 보건·복지 * 노동 * 날씨이야기 * 교통 * 사건·사고 * 내고장 소식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회>지방뉴스 * 사회일반 * 교육 * 지방뉴스 * 노동 * 검찰-법원판결 * 복지 * 사건·범죄 * 사고 * 오피니언 * 환경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미담 * 보건 * 교통 * 엽기·괴담 * 보건·복지 * 사건·사고 (BUTTON) 이병로 계명대 교수… ‘코어사업’ 발전協초대 회장 선출 이권효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5%2F80468065%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68058.1.jpg]  이병로 계명대 교수(60·인문국제학대학장·사진)가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코어사업) 발전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최근 선출됐다. 임기는 1년이다.  코어사업은 교육부가 대학의 인문 분야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서울대와 고려대, 경북대, 계명대 등 19개 대학이 올해 선정됐다. 협의회는 대학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협력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인문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융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시대에 맞는 창의적 인재 육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경제부 페이스북 추천해요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문화 * 최신기사 * 음악 * 애니·만화 * 공연 * 문학·출판 * 요리·맛집 * 종교 * 학술 * 패션·인테리어 * 여행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문화>문화 일반 * 문화 일반 * 생활/가정 * 무용 * 문학/출판 * 미술 * 바둑 * 여행 * 역사 * 연극 * 요리/음식 * 음악 * 인테리어 * 종교 * 패션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연재소설 * 영화 * 여성 * 학술 * 만화 * 뷰티 * 언론 * 패션&인테리어 (BUTTON) [글로벌 북카페]편의점 붙박이 알바 통해 ‘획일’ 강요 日사회 풍자 장원재 특파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05:12:32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671%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올해 아쿠타가와 상 수상… 무라타 사야카의 ‘편의점 인간’ [80468668.1.jpg]  편의점만큼 일본을 잘 대변하는 장소도 많지 않다. 내부는 깨끗하고, 상품들은 질서 있게 진열돼 있으며, 같은 음색으로 인사하는 종업원들은 늘 친절하다. 전국 5만 개가 넘는 편의점 어디에서나 한국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최근 편의점 점원 중 외국인이 부쩍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일본의 젊은 연령층 인구가 줄면서 구인난에 시달리는 탓이다. 하지만 외국인도 표준화된 매뉴얼과 자동화, 철저한 교육 덕분에 금세 ‘프로 점원’으로 탈바꿈하는 걸 보면 감탄이 나온다.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의 소설 ‘편의점 인간’의 주인공 게이코는 18년 동안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해 온 36세의 독신 여성이다. 연애 경험도 한번 없다. 주변에서 ‘왜 취직이나 결혼을 하지 않느냐’는 말을 들으면 “몸이 약해서” 혹은 “부모님을 간호해야 하기 때문”이라며 피해 간다. 하지만 그가 편의점에서 줄곧 일한 실제 이유는 ‘편의점밖에 일할 데가 없기 때문’이다.  그는 공감 능력이 결여된 사회 부적응자다. 유치원 시절 죽은 새를 발견하고 ‘구워서 먹자’고 말해 어머니를 경악하게 했고, 초등학교 때는 남자아이들의 싸움을 멈추게 하라는 말을 듣고 ‘가장 빨리 멈추기 위해’ 삽으로 동급생의 머리를 내리쳤다. 자신이 어딘가 다르다는 걸 알게 된 후에는 부모님을 안심시키기 위해 스스로 판단하는 것을 멈추고 남들의 행동을 따라 하며 있는 듯 없는 듯 학창시절을 보냈다.  그런 그에게 편의점은 자신도 ‘세계의 정상적인 부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려준 곳이다. 매뉴얼대로 움직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는 편의점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 하루 세 끼를 편의점 음식으로 해결하고, 편의점 물을 마시고, 꿈에서도 계산대를 지킨다. 편의점에서 일하기 위해 잠을 자고, 일어나고, 밥을 먹는 ‘편의점 인간’이 되어 간다.  하지만 사회는 그를 내버려 두지 않는다. 친구들은 그의 뒤에서 ‘이상하다’며 수군거린다. 처음에는 편의점에서 일하는 걸 환영하던 가족도 정상 궤도를 벗어난 그에게 걱정스러운 시선을 보낸다.  그때 편의점에 한 남자가 나타난다. 이기적이고 게으르며 항상 남 탓을 하는 밉상. ‘결혼 활동’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는 말부터가 좀 이상한 그는 사회 부적응자라는 점에서 주인공과 닮았다. 그런데 게이코는 정상적인 삶을 연기하기 위해 그와 동거를 시작한다.  올해 일본 최고 권위의 문학상 아쿠타가와(芥川) 상을 수상한 이 소설은 ‘정상’과 ‘상식’을 내세우며 취업 결혼 출산 등 획일적인 삶의 방식을 압박하는 일본 현대사회의 분위기를 유머러스하게 그려 냈다. 남과 다른 이물질은 가차 없이 제거하는 사회 풍토에서 주인공은 ‘보통 사람’을 연기하기 위해 위장 결혼까지 하며 노력한다. 하지만 결국 그가 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는 ‘편의점 직원’뿐이다.  주인공과 같은 나이인 작가는 실제로 주 3회 편의점에서 일하며 소설을 썼다. 그 덕분에 편의점에 대한 묘사는 어느 작품보다 상세하고 풍부하다. 특히 ‘편의점의 소리’를 묘사하는 첫 부분은 놀라울 정도로 생생하다. 대기실의 풍경, 삼각김밥 진열법, 판촉 행사 모습 등 무심코 받아들인 일본 편의점의 속살도 들여다볼 수 있다. 이 책은 7월 출간 후 일본 전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며 지금까지 35만 부 넘게 팔렸다.   도쿄=장원재 특파원 peacechaos@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무라타 사야카 | 편의점 인간 | 편의점 알바 [관련연재] * 글로벌 북 카페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경제 * 최신기사 * 기업CEO * 부동산 * 금융 * 정책 * JOB * 자동차 * 유통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경제>경제일반 * 경제일반 * 건설 * 금융 * 기업 * 무역 * 산업 * 부동산 * 운수/교통 * 유통 * 자동차 * 재정 * 기획 * 본사/사고 * 미즈&미스터 * 세금 * 인물/CEO * 고용 * 정책/칼럼 * 기업·CEO * ePR뉴스 * 모바일/인터넷 * 세상은 지금 * 국제경제 * 경제골프 (BUTTON) [data&]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계 전문인력 양성이 성패 좌우 강동영 전문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6 10:41: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5%2F80468248%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특별기획-미래 신산업과 산업전문인력① 독일 인더스트리 4.0의 초기 접근방법 실패요인은 바로 전문인력 부족 교육체계 혁신과 산업전문인력 양성으로 4차 산업혁명의 대변혁에 대비해야 [80472478.1.jpg] 미래산업의 패권을 향한 새로운 경제 전쟁 1차 산업혁명이 증기기관, 2차 산업혁명이 전기와 컨베이어벨트, 3차 산업혁명이 컴퓨터와 로봇으로 대표된다면,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을 이용한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연결로 규정할 수 있다. 디지털과 제조업을 융합해 기존의 사업 영역을 파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미국은 첨단제조파트너십을 통해 첨단제조업을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했고, 중국은 혁신형 고부가산업으로 재편하기 위해 ‘제조업 2025’를 발표했다. 일본은 일본산업부흥전략과 산업 경쟁력 강화법을 발표했다. [80472479.1.jpg] 전문인력 부족으로 궤도 수정한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독일은 2011년에 발표한 ‘인더스트리(Industry) 4.0’을 지난해에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으로 재수정했다. 2025년까지 자국 내 제조업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단일 가상공장으로 연결한 스마트공장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가장 발 빠르게 움직였던 독일이 ‘인더스트리 4.0’을 대폭 수정한 것은 초기 시행과정에서 문제점이 많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포스코 경영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인더스트리 4.0’의 실패 요인 중 하나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데 실패했다는 것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의 성패 여부는 해당 분야의 전문인력을 어떻게 육성하고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독일이 보여줬다는 것이다. [80472480.1.jpg] 미래 먹거리 마련을 위한 우리의 신산업 창출 전략은 올해 1월 스위스계 UBS은행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4차 산업혁명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국가 순위’는 총 139개국 중 스위스가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이 5위, 일본이 12위, 독일이 13위였다. 한국은 25위에 그쳤고, 중국은 근소한 차이로 28위였다.   늦은 감은 있지만 우리 정부도 2014년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발표하고, 융합형 신제조업 창출, 주력산업 핵심 역량 강화, 제조 혁신 기반 고도화 등 3대 전략을 제시했다. 그러나 자동차의 미래는 자율주행,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데도 한국자동차 산업은 여전히 엔진차 중심인 것처럼, 공급과잉인 조선, 철강, 석유화학도 급속도로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80472481.1.jpg] 전문인력 양성이 성패 좌우, 선제적 대응 위한 투자 필요 독일의 실패 경험은 우리에게 두 가지를 시사한다. 첫 번째는 새로운 제조업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려면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정부는 기업이 서로 융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을 정책 목표로 삼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특히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심사’를 도입해 신산업 투자 애로사항으로 접수된 규제는 원칙적으로 모두 개선하고, 융합 신제품을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도록 규제 그레이존 해소, 시장 진입 Fast Track 구축 등의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신산업 투자 성과의 조기 가시화를 위해 R&D, 인력, 금융·세제, 판로·입지 등을 집중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두 번째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앞의 UBS 보고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교육수준, 인프라 수준, 법적 보호 등의 측면에서 비교적 유연한 선진국이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신흥국은 저숙련 노동자 중심의 일자리 구조와 기술 인프라 부족에 따른 고용창출 한계 등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 혜택을 많이 얻기 위해서는 선진국은 노동시장 유연성이, 개발도상국은 법과 제도의 개선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신산업 관련 인재 확보 절실 신산업 창출은 해당 산업에 투자하는 것만으로는 이뤄지지 않는다.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인재 양성과 그 대안, 즉 신산업 관련 인재 양성에 대한 투자와 교육 혁신이 부족하다. 물론 4차 산업혁명이 장밋빛 기회만은 아니다. 반드시 명암이 있다. 우선 산업구조 변화와 국제 분업구조 재편을 통해 일자리 변화를 몰고 올 것이다. 인력시장의 유연성 확보를 통해 기존 전통 산업에 종사하던 인력을 신산업으로 자연스럽게 넘길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한국 역시 기업과 정부가 힘을 모아 대응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는 언제나 인력이라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앞서 출발한 선진국을 따라잡으려면 교육 혁신과 노동구조 유연화 등 시급한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다소 희망적인 것은 줄어드는 일자리가 대부분 단순 업무라면, 신산업으로 생기는 일자리는 고부가가치 업무들이 많아 경제발전에는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다음회에서는 4차산업혁명을 준비하는 한국이 필요로 하는 인재상과 육성 전략을 알아본다. 강동영 전문기자 kdy184@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홍범식 베인 앤 컴퍼니 대표 인터뷰▼ 4차 산업혁명 성공 위한 3요소… 풍부한 자본과 네트워크, 전문인력 확보 [80472482.1.jpg] 홍범식 베인 앤 컴퍼니 대표 “최근에 세계적인 제조업체들이 SW전문 기업으로 변신하는가 하면 IT기업이 제조업에 뛰어 드는 등 기술융합을 통한 대변혁이 일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제조업체였던 제너럴일렉트릭 (GE)사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의 디지털 기술을 접목 시켜 세계적인 소프트웨어그룹으로 변모하고 있고, 구글은 무인차 기술로 자동차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는 등 융합과 혁신이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향후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풍부한 자본유입과 우수한 인적자원 확보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홍 대표는 말했다. “저금리 시대에 자금은 풍부합니다. 문제는 투자를 성과로 연결 시킬 수 있는 인재가 충분한가 입니다. 시장에 인재는 부족한데 자금만 풍부하면 투자 버블이 생깁니다. 결국은 사람입니다.” 홍대표는 미국 실리콘 밸리를 하나의 커다란 네트워크의 장이라고 부른다. “나 혼자 똑똑한 것 만으로 부족합니다. 수재들간의 논의에서 시너지가 발생합니다. 그야 말로 융합형 아이디어와 기술이 탄생하는 기반입니다” 홍대표는 최근 다수 중국 기업들이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실리콘 밸리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 이익 실현 못지 않게 ‘실리콘 밸리’라는 거대한 인적 네트워크에 들어가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4차 산업혁명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대학, 기업 등 산업 주요 분야에 필요한 고급 인재를 해외로 보내 유수의 해외 선진기업과 연구에서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와 인적 네트워크를 습득 해 다시 국내로 돌아 올 수 있는 환경을 정부차원에서 구축,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력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인력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해요 4차 산업혁명 | 독일 | 인더스트리 4.0 | 토머스 프레이 | 미래산업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사람속으로 * 최신기사 * 인물동정 * 인사 * 부고 * 사고 * 본사손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사람속으로>사회일반 * 인사일반 * 기획 * 사고 (BUTTON) 새터민에게 무료 영어 가르치는 하버드大 출신 미국인 이원주기자 입력 2016-09-26 03:00:00 수정 2016-09-27 10:56:34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6%2F80468793%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비영리 ‘TNKR’ 운영 라티그씨 “새터민이 멘토 등 수업 방식 결정… 자유로운 교육 통해 자립 도울것” [80468792.1.jpg]  미국 하버드대를 졸업하고 미국의 유명 싱크탱크인 ‘카토(CATO) 인스티튜트’에서 연구원을 지낸 교육 정책 전문가 케이시 라티그 씨(사진). 연구소나 대학 등에서도 계속해서 ‘러브 콜’이 오지만 그는 한국에 남아 ‘북한 이탈 주민 글로벌 교육센터(TNKR)’를 운영하고 있다.   ‘TNKR’는 탈북 뒤 남한에 온 새터민들에게 영어를 무료로 가르쳐 주는 비영리 교육기관이다. 운영 자금은 100% 후원금으로 마련하고, 영어를 가르쳐 주는 원어민 멘토는 모두 자원봉사자다. 운영이 될까 싶지만 2013년 3월 처음 만들어진 후 지금까지 새터민 250여 명이 영어 교육을 받았고 외국인 자원봉사자도 440여 명이 참여했다. 최근 서울 마포구 독막로 TNKR 사무실에서 만난 라티그 씨는 “새터민은 계속 찾아오는데 자원봉사자가 부족해 지금도 새터민 90여 명 정도가 원어민 멘토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수업 방식은 모두 ‘학생’인 새터민이 결정한다. 새터민은 자기를 가르쳐 줄 원어민 멘토를 자기가 직접 정한다. 공부할 교재나 수업 방식도 ‘학생 새터민’이 직접 결정하고, 원어민 강사가 자신과 맞지 않다고 생각하면 강사를 교체할 수도 있다.  이 같은 운영 방식을 만든 라티그 씨는 “새터민들이 큰 기관의 교육 방침을 따라가지 않고 철저하게 자신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겠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1990년대 후반에 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러 한국에 온 적이 있는 라티그 씨는 2010년 다시 한국을 찾았다. 처음엔 저소득층 교육에 관심을 두고 활동하다 북한의 실상을 담은 자료를 읽은 뒤부터 탈북자와 북한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됐다. 2012년 2월 탈북자 31명이 중국에서 체포된 뒤 북한으로 강제 송환됐을 때는 아는 외국인들을 불러 모아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77일 동안 강제 송환을 중단하라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명문대 출신 외국인이 한국에서 소위 ‘돈벌이도 안 되는 일’을 하다 보니 일부에서는 그에게 의심 섞인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라티그 씨는 “내 연구 분야인 ‘자유로운 교육’이 새터민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것을 보는 게 최고의 보람”이라며 “미국에서는 안정된 삶이 보장되겠지만 지금 이 일이 훨씬 재미있다”고 말했다.   이원주 기자 takeoff@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기자 블로그 추천해요 새터민 | 영어 | 케이시 라티그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alternate Chosun.com [RSS] 재테크교육·문화강좌… 다문화가족 위한 다양한 나눔 활동 * 고석태 객원기자 * * 100자평 0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더보기 +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9.26 03:00 [함께 가는 금융] 우리은행 우리은행을 비롯한 우리금융 계열사들은 지난 2012년 200억원을 출연해 공익법인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이사장 이광구)'을 설립했다. 이 재단은 다문화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이주여성을 비롯한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장학사업과 교육 및 복지지원 등 활발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재단은 출범 이후 8차례에 걸쳐 총 2380명에게 13억 700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하여 다문화 및 소외계층 학생들의 학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고 학업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고른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힘써오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는 대상을 확대해 대학과정을 공부하고 있는 결혼 이민 여성에게도 생활비 외에 학비를 지원함으로써 건강한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우리다문화 장학재단은 금융권에서 설립한 공익재단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제지식 함양을 통한 올바른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가족 맞춤형 경제·금융·재테크교육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주요 국가의 언어로 번역한 맞춤형 교재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경제 지식을 습득하고 원활한 금융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다문화가족에 대한 긍정적 인식형성 및 다문화가족과 비(非) 다문화가족의 상호이해 계기 마련을 위한 인권감수성교육, 꽃꽂이, 규방공예, 캘리그라피 등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강좌를 통해 삶의 질 향상 및 문화수준 함양을 위한 교육지원 프로그램들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2012년 200억원을 출연해 설립한 공익법인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장학사업과 교육 및 복지지원 등 활발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2012년 200억원을 출연해 설립한 공익법인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장학사업과 교육 및 복지지원 등 활발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우리은행 제공 다문화자녀들을 위한 교육지원도 활발하다. 유소년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우리다문화 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합창교육과 공연활동을 지원하고 있고, 중고등학생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는 K-팝, 사물놀이, 뮤지컬, 퍼포먼스 등을 배울 수 있는 '우리 스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다문화자녀들의 심리적·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중고등학생 다문화자녀 20명과 우리다문화장학재단 대학 장학생 10명으로 구성된 다문화자녀 글로벌 문화체험단이 캄보디아 프놈펜과 씨엠립 일대 지역에서 역사·문화·생태체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캄보디아의 주요 명소를 탐방하고 우리파이낸스 캄보디아 지사 견학을 통해 캄보디아 및 아시아 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파이낸스 캄보디아 직원들과 함께 현지 봉사활동을 진행하였는데, 빈곤 아동들을 위한 식사조리 및 배식활동 뿐만 아니라 부채춤, 태권도, K-pop댄스 등 한국문화 공연 봉사활동을 펼쳐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고 전했다. 3회째 진행된 다문화자녀 글로벌문화체험은 다문화 청소년으로 구성된 문화체험단의 교육적, 정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역사·문화 이해교육, 한국문화 공연준비 등 다양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문화체험 활동에 소요되는 교육비, 항공비, 교통비, 숙박비, 식사비 등 일체의 경비를 우리다문화장학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다. 우리다문화 장학재단 관계자는 "우리 재단은 지난 2014년 서울시와 5년간 20억원 규모로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공동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 등 민관 공동사업의 우수 모델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며 "특히 2012년 출범이후 4년 동안 다문화가족 약 1만8000명에게 교육 및 문화, 복지 지원사업을 펼치면서 다문화가족의 성공적인 한국생활 정착과 사회통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여성가족부장관 표창 및 서울시장 표창을 수상, 전문성과 차별성을 인정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 제휴안내· 구독신청 이전 기사 다음 기사 기사 목록 맨 위로 본문바로가기 [btn_close.gif]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로그인 | * 회원가입 | * 구독신청 | * 보이스뉴스 | * 지면보기 | * 동아닷컴을 시작페이지로▶ * 스포츠동아 | * VODA | * 스튜디오 | * 비즈N | * 우먼동아 | * 채널A | * 더보기 뉴스 정치경제 사회국제 연예 문화 스포츠 의학 · 과학 오피니언 사람속으로 보이스뉴스 PDF지면보기 오늘의 신문 RSS 다국어뉴스 ENG日本語中國語 포토&동영상 스튜디오 VODA 비즈N 최신뉴스IT 생활경제헬스 트래블동아오토 동아부동산 스포츠동아 도깨비뉴스 MLB파크 아이돌파크 자매지 신동아 주간동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동아비지니스리뷰 우먼동아일보 북스동아 헬스&라이프 블로그(저널로그) 동아누리 이벤트 동아닷컴 고객센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동아일보 회사소개 독자서비스센터 구독문의·신청 닫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ongA.com 전체검색 ____________________ 검색 * 뉴스 + 최신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 이슈&트렌드 *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 연예 + 시사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19 신문에 못 싣는 사진들 + 독자갤러리 * 동아오토 * 부동산 * voda * 전체보기 뉴스 * 전체기사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 사람속으로 오피니언 * 최신기사 * 사설 * 동아광장 * 오늘과 내일 * 시론 * 횡설수설 * 광화문에서 * @뉴스룸 * 기자의 눈 스포츠 * 최신기사 * 야구&MLB * 축구 * 골프 * 농구 * 마라톤 * 종합 연예 * 최신기사 * 방송 * 영화 * 대중음악 * 연예가소식 이슈 * 정치 * 경제 * 국제 * 사회 * 문화 * 의학과학 주요서비스 * 인포그래픽스 * 책의 향기 * 신나는 공부 * 헬스&뷰티 * Q스타일매거진 * 골든걸 전체보기 닫기 무료만화 dongA.com * 문화 * 최신기사 * 음악 * 애니·만화 * 공연 * 문학·출판 * 요리·맛집 * 종교 * 학술 * 패션·인테리어 * 여행 * 이슈연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뉴스>문화>문학/출판 * 문화 일반 * 생활/가정 * 무용 * 문학/출판 * 미술 * 바둑 * 여행 * 역사 * 연극 * 요리/음식 * 음악 * 인테리어 * 종교 * 패션 * 기획 * 사고 * 미즈&미스터 * 연재소설 * 영화 * 여성 * 학술 * 만화 * 뷰티 * 언론 * 패션&인테리어 (BUTTON) [새로 나온 책]딩카: 아프리카 수단의 전설적인 목부들 外 동아일보 입력 2016-09-24 03:00:00 수정 2016-09-24 03:00:00 댓글보기 | 폰트 (BUTTON) 확대 (BUTTON) 축소 | 뉴스듣기 (BUTTON) 여성 (BUTTON) 남성 | ____________________ 복사 닫기 (BUTTON) 프린트 (BUTTON) 이메일 IFRAME: 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news.donga.c om%2Ffacebook%2F3%2Fall%2F20160924%2F80429769%2F1&layout=button_count&s how_faces=false&width=90&action=like&font=arial&colorscheme=light&heigh t=21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80429765.1.jpg] 딩카: 아프리카 수단의 전설적인 목부들(캐럴 벡위스 등 지음·글항아리)=아프리카에서 오지로 꼽히는 수단 내륙의 ‘수드’ 지역, 그곳에 사는 목축민인 딩카족이 선보이는 아름다운 모습을 두 명의 사진작가가 카메라에 담았다. 5만 원. 저널리즘의 지형(박재영 등 지음·이채)=한국의 기자는 누구며 이들은 어떻게 뉴스를 만들었나. 이들이 만든 뉴스는 우리 사회와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답변을 시도한다. 2만8000원. 웃으며 죽을 수 있는 병원(TV가나자와 지음·건강미디어협동조합)=적자 상태인 일본의 한 소도시 병원 직원들이 죽음을 앞둔 입원 환자의 마지막 소망을 꾸준히 들어준 사연을 책으로 냈다. 1만2000원. 자죽염을 알면 장수의 길이 보인다(정락현 지음·밀알)=식품명인 3호로 지정된 저자가 죽염의 제조 공정과 비법 그리고 세계적으로 우수한 우리나라의 소금과 죽염의 이야기를 사진과 함께 들려준다. 1만3000원. 정해진 미래(조영태 지음·북스톤)=한국이 마주할 인구 절벽이 교육, 취업, 국방, 주거 등 각 부문에서 가져올 사회 변화를 조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저자는 서울대 교수로 인구학자다. 1만5000원.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박재원 지음·김영사)=높은 사교육비 부담에도 결과적으로 아이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학부모 문화’를 비판했다. 올바른 자녀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1만3000원. 나의 페미니즘 공부법(하루카 요코 지음·메멘토)=일본 여성 연예인이 도쿄대 대학원에서 페미니즘을 공부한 과정을 담았다. 전문 연구자가 아닌 일반인의 시각에서 페미니즘을 접할 수 있는 입문서다. 1만4000원. 추천해요 딩카 | 저널리즘의 지형 | 웃으며 죽을 수 있는 병원 | 정해진 미래 |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 [관련연재] * 새로 나온 책 프린트 | 메일 기사공유 |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구글 댓글쓰기 비즈N 추천기사 * 비즈N 추천기사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국내 최초 캡슐호텔 내부… 시간당 얼마? * 비즈N컷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엘리트 학교 다니는 오바마 딸 * 비즈N컷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호텔 붕괴 현장 ‘참혹’… 인명 피해는? 더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오늘의 동아일보 핫뉴스 1. [tit_hot_news_num_1.gif] 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tit_hot_news_num_2.gif]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tit_hot_news_num_3.gif] “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4. [tit_hot_news_num_4.gif] ‘돌아온 국산 명태’…2년 전 방류 인공배양 명태, 동해서 서식 확인 5. [tit_hot_news_num_5.gif]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1. [tit_hot_news_num_6.gif] 반기문, 오세훈 만나 “도와달라” 요청 2. [tit_hot_news_num_7.gif] 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3. [tit_hot_news_num_8.gif]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4. [tit_hot_news_num_9.gif] 남편 질병 숨기고 보험 가입, 수억 원 보험금 탄 아내 무죄 5. [tit_hot_news_num_10.gif] 국내 연구진, 폐자원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 효율 10배 높였다 포토·동영상 * [1485131747_studio_main_top_image_0.jpg] 서울 영하 12.2도 올겨울 최강 한파 * [1485133943_studio_main_top_image_1.jpg] 노래 실력까지 닮은 익산 에일리 도플갱어 * [1484815641_studio_main_top_image_5.jpg] [핫플] 독립문 영천시장…원조꽈배기 VS 원조떡볶이 * [1485135482_studio_main_top_image_2.jpg] 해리포터의 한 장면? 수압으로 하늘을 나는 자동차 * [1485136195_studio_main_top_image_3.jpg] 집밥 찾아 떠나는 ‘먹!킷리스트, 식식한 소녀들’ * [1485133551_studio_main_top_image_4.jpg] 추억의 ‘로보트 태권브이’ 브이센터에 둥지 틀어 * [1485135397_studio_main_sub_image_0.jpg] 녹색 비키니 여신, 애슐리 제임스 * [1485148605_studio_main_top_image_6.jpg] 보라색이 잘 어울리는 청초한 매력의 모델 prev next 오늘의 화제뉴스 1. 1 비,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2. 2 지성, 교도소 탈출…등장부터 강하다 3. 3 JYJ 김준수 팬들, 악플러 경찰 고발 4. 4 두산, 니퍼트 210만$ 계약…사상 최고액 5. 5 ‘수지 로리타 논란’ 사진작가 “악플러 고소” 1. 6 박태환, 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시동’ 2. 7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 3. 8 규현, 올해 사회복무요원 입대 “날짜 미정” 4. 9 NC, ML 출신 제프 맨쉽 180만 달러에 영입 5. 10 ‘무한도전’ 일방통행 역주행 사과 불구하고… 많이 본 뉴스 종합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5. 5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1. 6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4. 9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5. 10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정치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3. 3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4. 4 표창원, ‘朴나체’ 국회 그림전 논란…새누리 “성희롱” 반발 5. 5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1. 6 ‘구치소 적응왕’ 장시호…교도관 팔짱끼며 살갑게 “언니~” 2. 7 朴대통령, 현충원서 양친 묘소 참배…직무정지 후 첫 외출 3. 8 박원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안희정에 “우린 드림팀…꼭 국민의 삶 바꾸자” 4. 9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5. 10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주도…조윤선이 나를 회유? 그건 오해” 국제 1. 1 주인 시신 먹다 발견된 반려견, “굶주림에 의한 본능” vs “공격성”…안락사 연기 2. 2 중국, 시진핑 전용기 비밀리에 제작 중…“연내 정식 취역” 3. 3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4. 4 “빵·감자 등은 갈색 되기 전 금빛까지만 구워라” 영국 식품청 경고 5. 5 페북 라이브서 또 범죄 현장 생중계…이번엔 집단 성폭행 생중계 ‘충격’ 1. 6 [영상]바닥에 등 대고 이동하는 女 영상 SNS 화제…대체 왜? 2. 7 日 나고야 시장 “난징대학살은 없었던 일” 망언 3. 8 중국, 랴오닝성 선양에 북한 ICBM 감시 고성능 레이더 중대 긴급 배치 4. 9 정부, 제3의 장소서 대만대표부 초치 ‘택시 성폭행’ 항의…왜? 5. 10 재키 스타일로 등장한 멜라니아 ‘美우선주의 패션’ 사회 1. 1 최순실, 삼성에 이메일·문자 통해 “돈 더 내놔”…특검, 증거 확보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이승철 “靑 요청이 위증죄보다 무서워 국회서 위증” 4. 4 수면내시경 환자 호흡곤란으로 숨져…의료진 입건 5. 5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1. 6 김종 “朴대통령 ‘정유라 잘 키워야 한다’ 직접 말해 충격적” 2. 7 美검찰, 반기문 동생 체포-압송 요청… 반기상 “공소장 다 거짓” 3. 8 배터리 문제지만…삼성전자 제조사에 책임 묻지 않기로, 왜? 4. 9 36억 사기女의 페이스오프…성형수술로 경찰 따돌려 5. 10 ‘시흥캠퍼스 반대’ 점거 서울대생, 교수 감금…본관엔 교직원 진입 스포츠 1. 1 ‘최순실 패러디’ 배구선수 김희진에…“학교 출석은 했냐” 비난 확산 2. 2 박태환, 새해 훈련 스타트…6년 만의 세계선수권 우승 목표 3. 3 두산, 니퍼트와 210만 달러에 계약…사상 최고액 4. 4 평양서 펼쳐질 첫 남북 공식 경기…예정대로 진행될까 5. 5 배구선수 김희진, 올스타전서 ‘최순실 세리머니’ 했다가… 1. 6 [프로야구]NC, 빅리그 출신 우완 제프 맨쉽 180만달러에 영입 2. 7 캔자스시티 벤추라, 교통사고로 사망…향년 26세 3. 8 교통사고로 사망한 요다노 벤추라, 4개월전 SNS에 ‘호세 사망’ 애도 4. 9 황상민 교수 “김연아, 사람 우습게 생각… 나이 들면 불행해질 것” 5. 10 두산 니퍼트 210만 달러 ‘혜자’계약? … 팬들 “국내 FA 비교하면 완전 헐값” 연예 1. 1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2. 2 ‘냉부해’ 비, 김태희와 결혼 전 언급 “집에서 뻘짓 안 했다” 3. 3 김은숙 작가, 원고료도 역대급 “회당 8000만원?” 4. 4 아이유·장기하, 연인서 동료로… “결별 사유는 사생활” 5. 5 [카드뉴스]슬프도록 아름다운 神 도깨비, 중국의 벽 뚫다 1. 6 ‘무한도전’ 박명수, 이재용 립밤 패러디?…“청문회인 줄” 2. 7 김제니, 미스유니버스 청신호…모스트 뷰어스 톱5 3. 8 이재은, 어머니와 7년간 연락 끊고 산 이유는? 4. 9 김태희♥비, 발리서 포착…‘내 여자는 내가 지킨다’ 5. 10 ‘무한도전’ 역주행 사과 불구, “내가 하면 실수고 남이 하면 매국노” 비난 여론 댓글이 핫한 뉴스 많이 본 뉴스 댓글순 1. 1 ‘블랙리스트 몸통’ 김기춘·조윤선 구속…“범죄사실 소명·증거인멸 우려” 2. 2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3. 3 반기문 퇴주잔… 촛불 종북설… 거짓정보에 속아 소모적 공방 4. 4 [하종대의 取中珍談]레드라인 넘는 北核, 선제타격 째깍째깍 5. 5 조윤선, 구속 후 첫 조사 3시간만에 종료…침묵 귀소 1. 6 “靑 70대 여성 요리사, 세월호 당일에도 朴대통령 밀착 수행” 2. 7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3. 8 [사설]KBS 출연 취소 압박한 文, 집권하면 언론탄압 할 텐가 4. 9 ‘살생부’로 돌아온 블랙리스트 5. 10 안희정 “朴정부 사드배치 결정, 바보같은 수” 6. 11 유진룡 “김기춘, 블랙리스트 지시·강요…헌법가치 훼손” 추천순 1. 1 [김순덕 칼럼]박 대통령은 정말 피해자일지 모른다 2. 2 차은택 “고영태, 최순실과 내연관계라 생각…정유라 미행도” 3. 3 [김아연의 통계뉴스]직장인 연봉, 언제 초봉의 2배 될까? 4. 4 노승일 “최순실, 돈·난방·인터넷 다 끊어…밥·간장으로 버텨” 5. 5 [사설]백건우 조수미 비자까지 거부하는 中 사드 보복 치졸하다 1. 6 [단독]“최순실이 대신 낸 옷값, 朴대통령 취임후만 3억” 2. 7 ‘도깨비의 조화’ 中 한한령도 뚫었다 3. 8 ‘친문 좀비’ 강연재, 이번엔 “촛불시민=구태국민” 발언 논란 4. 9 [사설]朴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 고소”… 탄핵 걱정 때문인가 5. 10 “한국, 40년된 교육 시스템으론 선진국 까마득” 6. 11 [속보]황교안 대행, 국정농단 사태에 “무거운 책임감 느껴…국민께 송구” 댓글이 핫한 뉴스 IFRAME: http://donga.autobrain.net/banner/ * 빅툰 이미지 롱리브더킹 * 빅툰 이미지 눈을 감다 * 빅툰 이미지 백빼기 시즌1 * 빅툰 이미지 뱀피르 오늘의 dongA.com 트위터 페이스북 마이뉴스 설정 IFRAME: http://openapi.donga.com/newsstand/donga?m=ifra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AMG 동아미디어그룹소개 동아일보 회사소개 문화스포츠사업 신문박물관 인촌기념회 화정 평화재단 신문광고안내 구독신청 독자서비스 정정보도 신청 '동네' 블로그 동아닷컴 회사소개 광고 (인터넷, 전광판) 제휴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허희재) 기사제보 사이트맵 RSS rss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9 | 등록번호: 서울아00741 | 등록일자: 2009.01.16 | 발행·편집인: 박원재 | IFRAME: http://image.donga.com/donga2013/html/2014_f_banner.html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 버전 보기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왜냐면] 평단사업 대량 미달…첫 단추부터 다시 끼워야 / 한만수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왜냐면 [왜냐면] 평단사업 대량 미달…첫 단추부터 다시 끼워야 / 한만수 등록 :2016-09-26 18:42수정 :2016-09-26 19:03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한만수 동국대 교수협의회 회장 이화여대의 학생시위, 동국대의 학생농성 등을 불러오면서 말도 많고 탈도 많던 평생교육단과대학(평단) 사업이, 첫 신입생 수시모집에서 정원미달이 속출했다. 평균 경쟁률 0.76 대 1이니 학생들이 외면해버린 셈이다. 사실 예상되었던 결과다. 평단사업대학 1차 선정이 미달되자 추가모집까지 강행하였다. 결국 두달 만에 수요조사와 학칙 개정까지 끝내고, 커리큘럼과 전임교수도 없이 시작한 교육이 제대로 될 리 없다. 교육을 백년대계가 아니라 ‘두달소계’로 전락시켜버린 교육부의 책임이 크다. 지식의 변화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반면 평균수명은 늘어나는 추세 속에 평생학습은 매우 중요한 시대적 요청임은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바늘허리에 꿰어서 되는 일은 없다. 애당초 청와대의 말 한마디에 시작된 ‘하명교육’이 제대로 될 리는 없는 것이다. 평생학습의 선진국이라고 교육부가 내세우는 미국의 경우는, 물론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학이 주체가 되어 철저한 사전조사 및 교육 프로그램, 나이 먹은 수강생을 위한 교육 기법의 개발, 전문강사의 확보 등이 선행된 뒤에, 지자체나 정부의 지원으로 확산된 것일 뿐이다. 커리큘럼도 강사도 없이 학생부터 모집하는 우리 평단사업과는 그 시작부터 다른 것이다. (9월23일치)에 따르면 교육부는 충분한 홍보가 이뤄지지 않은 탓이라고 분석하면서 ‘정시모집에서 최대한 충원할 것’이라고 변명했다. 참으로 한심하다. 정시에서 충원하면 된다니, 어떻게 해서건 학생만 모아놓으면 교육은 절로 된다는 것인가. 특성화고 출신의 직장인은 거의 대부분 평단대학에 제대로 다닐 수 없는 현실적 조건에 놓여 있다. 야간 수업은 대개 오후 7~10시까지 진행될 텐데, 오후 5시나 6시에 ‘칼퇴근’ 하는 고졸 직장인이 과연 얼마나 될 것인가. 졸업학점(140~150학점)을 채우려면 5년 동안을 매일 밤 10시에 학교를 떠나야 하는 지옥의 삶을 살아야 한다. 수업만 들으면 되는가? 보고서는 언제 쓰고 예복습은 언제 하는가? 교육의 질은 전혀 보장할 수 없다. 물론 교육부의 변명대로 ‘홍보’가 된다면 평단 지원생은 늘어날 수 있다. 그 ‘홍보’란 아마 ‘가짜 고졸 직장인’도 수도권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는 입소문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허위 재직증명서를 떼어주는 유령회사들이 생길 것이고, 대학들은 재직자 여부 검증을 점차 완화할 것이 뻔하다. 전과·전학이나 주간수업 수강도 점차 허용될 것이다. 결국 부유층 자녀의 수도권 대학 우회 입학의 경로로 전락하고 말 가능성이 크다. 기부금 입학 제도보다도 훨씬 질 나쁜 형태가 될 것이다. 한마디로 이번 사태는 청와대의 하명교육, 그리고 돈을 앞세운 교육부의 당근에 교육을 팔아넘긴 대학들의 합작품이다. 전면 취소하고 진정한 평생학습을 위한 백년대계를 세워야 마땅하다.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2827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세상 읽기] 교육과 진로 / 정용주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칼럼 [세상 읽기] 교육과 진로 / 정용주 등록 :2016-09-26 18:42수정 :2016-09-26 18:5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정용주 염경초교 교사, 편집위원장 요즘 교육계의 화두는 진로 적성이다. 많은 정치가와 교육학자들이 학생들에게 문제집만 풀지 말고, 자신이 어떤 곳에 재능이 있는지 스스로 탐색하면서 진로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지극히 타당한 말같이 들린다. 하지만 가만 생각해보면 진로탐색과 설계라는 것도 결국은 이 사회가 승인하는 좋은 일자리, 그리고 그 좋은 일자리를 좀더 유리하게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라는 측면에서 입시경쟁으로 수렴된다. 자본주의에서 교육은 시민의식의 함양이라는 중요한 의미도 있지만, 이러한 의미는 사라지고 상품을 길러내는 것이 되었다. 사육이 송아지를 위한 것이 아니듯, 교육도 아이들을 위한 게 아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교육은 건강한 인격을 형성하는 것 대신 좋은 육질의 상품을 길러내는 것이 되었다. 그리고 상품이 된다는 것은 철저하게 자신을 상실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물복지의 최종담론이 건강하게 키운 소를 먹어야 인간에게도 좋다는 논리를 뛰어넘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비싼 값에 팔리기 위한 상품이 된다는 측면에서 사육되는 소나 돼지의 운명과 다르지 않다. 그런데도 교사, 학부모들은 학생들에게 말한다. 꿈을 가지라고. 하지만 이들이 말하는 꿈이란 곁을 돌보지 않는 이기적 욕망이다. 그런 꿈은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을 일으키는 화근이다. 의 저자 박남일의 이야기처럼 넓은 강에서 평화롭게 자라는 잉어는 꿈꿀 필요가 없다. 세상이 평화롭고 평등하다면 사람 또한 애써 꿈꿀 필요가 없다. 역설적으로 꿈꿀 필요가 없는 세상에서만 학생들은 꿈꿀 수 있다. 그래서 지금 학생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꿈보다 평화로운 휴식과 숙면이다.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꿈꾸고 저마다의 소질을 개발하는 주체가 되어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생각하고, 실제적 삶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면서, 타인과 동등한 삶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며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하는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한 인간이 사회에서 태어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는 기회의 집합이 누구에게나 접근 가능한가’에 대해 먼저 검토해야 한다. 좋은 교육은 좋은 사회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한 사회 속에서 누구나 평균수명을 누리며 살 수 있어야 하며, 적합한 주거공간을 보유하며 신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성적인 자기결정권이 폭넓게 보장되어야 하며, 감각과 상상력, 정치적 자유, 표현의 자유, 종교 활동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사랑, 정당한 분노와 같은 감정의 발달이 공포와 불안으로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 만약 감정의 발달이 공포와 불안으로 방해받는다면 건강한 인간적 유대관계를 만들 수 없고 서로 배우며 협력하는 구조가 만들어질 수 없다. 따라서 사회가 개방적이고, 통합되어 있으며, 다양성이 보장되고 협력할 수 있을 때 교육이 가능해지고 진로를 탐색하며 꿈꿀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지금 한국 사회는 어떤가? 이러한 기본적인 조건들이 붕괴되고 있고, 삶에 대한 공포와 불안은 보험과 교육의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서 교육은 자기를 찾고 타자와의 공감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기 위한 경쟁, 스스로를 상품으로 사육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진정한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을 성취하는 것보다 여유를 갖고 놀 줄 알며 현재의 삶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어야 하며,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선택 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꿈을 꾸는 것이 아니라 꿈에서 깨는 것이다. 연재세상읽기 * [세상 읽기] 다보스, 엘리트의 깊은 우려 / 이강국 * [세상 읽기] 18살 투표권, 누가 두려워하는가 / 김누리 * [세상 읽기] 반려의 권리, 홀로 내버려지지 않을 기본권 / 권명아 * [세상 읽기] 청년을 위한 기본소득 / 김현경 * [세상 읽기] 시민적 정체성과 전문가적 정체성 / 윤태웅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2828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유레카] 메타 인지 / 구본권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설.칼럼칼럼 [유레카] 메타 인지 / 구본권 등록 :2016-09-27 16:28수정 :2016-09-27 18:59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정답이 있는 문제는 사람이 컴퓨터와 경쟁할 수 없다는 게 확인되고 있다. 를 창간한 케빈 켈리가 “기계는 답을 위해, 인간은 질문을 위해 존재한다”고 말한 것처럼 답변은 기계의 몫이 됐다. 기계가 뛰어난 지적 기능을 수행한다면 교육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일찍이 “한국 학생들은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불필요할 지식과 사라질 직업을 위해 하루 15시간을 허비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2002년 이라크의 대량파괴무기 보유 가능성에 대해 도널드 럼스펠드 당시 미국 국방장관은 정보를 세 가지로 구분하며 공습을 주장했다. 대량파괴무기에 관해서 ‘알고 있는 지식’, ‘알려진 무지’와 함께 우리가 모른다는 것도 모르고 있는 ‘알지 못하는 무지’가 있다는 논리였다. 공습을 정당화하기 위해 펼친 궤변이었지만, 인지능력을 객관화할 수 있는 메타 인지의 사례다. 컴퓨터가 따라잡지 못할 사람의 능력으로 성찰적 인지능력이 주목받고 있다. 사람은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를 알 수 있는 존재다. 컴퓨터는 정확한 기억과 빠른 연산으로 답을 내놓지만, 자신에 대한 성찰적 기능이 없다. 하버드대의 교육심리학자 하워드 가드너는 사람 지능을 언어능력과 수리능력 위주로 평가해온 지능검사를 비판하며 다중지능을 주창했다. 그가 중요한 인간 지적 능력의 하나로 본 것은 자신의 사고와 마음에 대해서 생각할 줄 아는 자기성찰 능력이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의 무지를 알라”는 가르침도 무지의 자각에 대한 강조다. 내가 무얼 모르는지 자각할 때, 비로소 알려는 욕망과 질문이 생겨난다. 인공지능 시대에 교육의 목표로 소프트웨어나 스템(과학, 기술, 공학, 수학)에 대한 지식 습득보다 무지의 자각과 성찰적 사고가 중요한 이유다.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 연재유레카 * [유레카] 위대병 증후군 / 박순빈 * [유레카] 조윤선의 ‘블랙 북’ / 손준현 * [유레카] 1보 후퇴, 2보 전진 * [유레카] 달콤한 덫, 치명적 유혹 / 조일준 * [유레카] ‘스핀닥터’의 새 기술/김이택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opinion&kisano=762982 사설.칼럼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김은형 재편모임 대표 “전교조와 ‘윈윈’...교원운동 투 트랙 필요” 황교안 “바른정당이 나한테 이럴 건가” 항의전화 ‘파문’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김은형 재편모임 대표 “전교조와 ‘윈윈’...교원운동 투 트랙 필요” 등록 :2016-09-26 19:30수정 :2016-09-26 22:15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김 대표 “정책 중심의 새 교원노조 필요” 지역별·교과별 풀뿌리 연대 조직체 목표 9월 서울지역 첫 모임, 12월 정식 노조 등록 지난 2일 서울 관악구 인헌고에서 만난 김은형 교육노동운동재편모임 대표. 지난 2일 서울 관악구 인헌고에서 만난 김은형 교육노동운동재편모임 대표. “우리의 목표는 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와 싸우는 것이 아니라 교육 정책을 놓고 협상하는 풀뿌리 교사운동을 만들자는 것입니다.” 최근 혁신학교인 서울 관악구의 인헌고 도서관에서 만난 김은형(59) 교육노동운동재편모임(이하 재편모임) 대표는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등 해외의 교원노조 형태를 분석한 자료를 한 뭉치 들고 나왔다. 1981년부터 국어 교사로 재직해온 김 대표는 이날도 고3 고전문학 수업을 마친 뒤였다. 재편모임은 지난달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교조는 대중성과 민주성을 상실했다. 교원의 자유로운 노동기본권 행사를 현실화하기 위해 새로운 교원노조의 결성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전교조는 이에 대해 “교육 운동을 분열시킨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1989년 전교조 출범 때부터 30년 가까이 전교조 조합원이었고 1999년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을 지낸 김 대표는 한국 사회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으로 대표되는 교원 노동운동에 누구보다 애정이 강하다고 말했다. “‘당신은 왜 분열을 선동하냐’고 물어봐도 좋습니다. 우리의 운동은 ‘분열’이 아니라 서로 ‘윈윈’하자는 것입니다. 교원 노동운동에 투 트랙이 필요합니다.” 그는 현재의 교원운동에서 ‘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정책’에 대한 논의에 목이 마르다고 했다. 1989년 전교조 합법화 투쟁을 하다 해직된 뒤 교사의 전문성을 위해 전국국어교사모임에도 참여했던 김 대표는 “교원운동에는 지금의 전교조 같은 정치 투쟁도 필요하고, 현장 교사들이 가입할 수 있는 교육 정책 중심의 노조도 필요하다”며 ”중등·공립·남성교사 위주의 전교조에서 소외된 초등·유치원·사립·특수·여성 교사도 자신의 의견을 낼 수 있는 노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수평적 의사소통을 통해 지역별·교과별 ‘씨줄날줄 조직’을 만들겠다”며 “법외노조라 전교조에 가입하기 어려운 현장 교사 35만명도 교육 운동에 대한 열망이 있고 교육 정책을 놓고 정부와 협상하고 싶어 한다. 이들을 껴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편모임은 올 12월 공식 노조 등록을 한 뒤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할 예정이다. 현재 온라인 모임에는 160명이 가입한 상태다. 지난해부터 발간한 세 권의 소식지에는 주로 전교조의 법외노조화에 대한 대응방법 연구 및 토론 내용들이 담겨있다. 이 모임 사이트의 게시판에는 “삭발 투쟁을 결의하지 못하는 사람은 명함도 못 내미는 조직, 유연한 투쟁으로 여럿이 함께 가자는 주장을 하는 사람은 강경 투쟁론자들에게 늘 배척당하는 노동조합, 그것은 좋은 노동조합이 아니다”라는 의견이 올라와 있었다. 김 대표는 전교조 안에서 선거 등 공식 절차를 통해 변화를 시도하는 방법이 아닌 새 노조를 설립한 것에 대해 “중앙집권적 의사결정 구조 자체를 바꾸기 위해서는 새 조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누가 집행부가 되든 현재로선 전국대의원회의만 통과하면 된다는 방식이라 개별 조합원들의 의사를 수렴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 지역별, 교과별 노조가 따로 있고 이들이 연대체를 만드는 방식으로 가야 민주적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대의체계, 조직체계, 재정체계 세 가지를 모두 바꾸려면 새 조직을 만들 수밖에 없습니다.” 재편모임은 현재 예비 가입신청서를 만들고 예비조합원의 가입신청을 받고 있다. 오는 29일에는 ‘서울교사노조 추진위원회’에서 ‘서울교사노조 준비위원회’로 전환해 첫 준비위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서울지역 새 준비위원장도 선출된다. 재편모임은 ‘교원노조 역사상 최초의 분권형 노조 탄생’을 내걸고 교장공모제 전면도입, 교육과정 개편 등을 주요 목표로 내걸겠다는 방침이다. 글·사진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833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고교 소개도 공통양식 필요하다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교육 고교 소개도 공통양식 필요하다 등록 :2016-09-26 21:41수정 :2016-09-26 21:45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최승후 교사의 진로진학·마중물 2017학년도에 전국 151개 대학은 학생부종합전형(이하 종합전형)을 통해 7만2767명(수시모집 인원 대비 약 30%)을 선발한다. 진학담당 교사들은 종합전형의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고교의 교육활동 정보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이하 대교협)에서 각 대학에 제공하는 ‘고교정보시스템’ 자료 수합에 전국 고교가 협조했다. 하지만 올해 고교정보시스템 서비스의 중단으로 고려대, 한국외국어대 등 16개 대학(이 가운데 건국대 등 총 9개 대학은 공통양식을 사용하므로 한 번만 입력함)들은 개별적으로 고교에 공문을 보내 직접 고교 정보를 요구해 문제가 되고 있다. 고교정보시스템은 2011년부터 대교협이 운영해온 공정성 확보 시스템의 하나다. 교육부는 고교정보시스템이 학교알리미 정보와의 유사성, 대학의 자체 고교정보 활용 등으로 인한 이용률 저조 때문에 이 사업을 중단했다고 한다. 장기적으로 고교 정보는 ‘학교알리미’ 및 ‘학교교육계획서’로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반면, 개별 고교의 자료를 요구한 대학들은 학교알리미 등의 정보만으로는 학교의 특성과 학생의 학업역량을 파악하기에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종합전형’이 대입 전형으로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고교 간의 연계가 매우 중요하며, 고교의 교육활동 정보를 대학이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장 바쁜 수시전형 기간에 일부 대학이 개별적으로 고교 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절충안으로 교육부와 대교협에 고교-대학 간 협의체를 만들어 ‘고교 소개자료 공통양식’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2015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 양식은 공통문항 세 문항과 대학별 자율문항으로 통일됐다. 고교 소개자료 공통양식도 대학과 고교의 공통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공통문항(목록)을 만들고 한 문항 정도의 자율문항(목록)을 허용했으면 한다. 공통문항은 단순화하고 여기에 반영 못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대학은 자체적으로 자율문항을 개발하면 된다. 고교의 특성을 소개할 수 있는 ‘교육환경 및 구성원의 특성’과 같은 항목은 살리고, 학교 간 차이로 수험생이 불리할 수 있는 항목은 보완해야 한다. 특정 대학의 ‘우수학생 지원 프로그램 소개’라는 항목은 일선 고교에 “‘종합전형’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수학생을 관리하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학교교육계획서와 학교알리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묻는 항목은 대폭 줄여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지 않아야 한다. 고교도 대학이 왜 고교 소개자료를 요구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차후 만들어질 ‘고교 소개자료 공통양식’에 학교 특성을 잘 살려서 충실히 기재해야 한다. 고교·대학 연계의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양식을 간소화하면서도 고교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차제에 자기소개서, 추천서, 고교 소개자료 등이 한 시기에 몰리지 않도록 시기를 조절할 것도 제안한다. 전국진학지도협의회 정책국장, 문산고 교사 연재최승후 교사의 진로·진학 마중물 * 예비 고3 대입, 이미 시작이다 * 적성 뚜렷한 고교생, 예비대학 체험 기회 * 수능 끝, 입시는 시작 * 익숙한 교재 보고 또 봐라 * 수능 아랍어는 ‘찍기 시험’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863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1월 23일 한겨레 그림판 소방관과 함께가는 안심수학 여행 인기 헌재, 김기춘 증인 채택…박한철 소장 퇴임 전 결론 못내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전국 소방관과 함께가는 안심수학 여행 인기 등록 :2016-09-27 16:04수정 :2016-09-27 16:1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구조·구급대원 2인 1조 이뤄 전 일정 동행 인솔교사·학생들에게 사전 안전교육 실시 여행지 담당 소방관서에 연락해서 숙박시설 소방검사부 확인 등 사전 점검 최근 지진에 따른 불안으로 수학 여행을 취소·연기하는 학교가 속출하면서 현역 소방관들이 동행해 안전을 책임지는 ‘안심수학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인천시교육청과 인천소방본부는 올해 2학기부터 ‘119와 함께 하는 안심수학여행’을 시범 운영 중이다. 소방본부가 일선 소방서에서 선발한 전문 구조대원 1명과 구급대원 1명이 한 조를 이뤄 학생들과 수학 여행 전체 일정을 함께 한다. 이달 들어 인천의 2개 초등학교가 각각 1박 2일 일정으로 구조·구급대원들과 수학여행을 다녀왔다. 대원들은 출발 전 학교를 방문해 인솔교사와 학생들을 상대로 교통안전, 화재·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등에 대해 안전교육을 한다. 또 수학여행지 담당 소방관서에 연락해 숙박시설의 소방검사부를 확인하는 등 철저한 사전 점검을 벌인다. 여행지에서는 숙소와 탑승버스를 점검하고 현장에서 화재 대피 교육과 학생 안전사고 발생 시 긴급구조·응급처치도 책임진다. 지난 22∼23일 공주·부여 일대로 1박 2일 수학 여행을 다녀온 인천 주안북초 류근성(50) 교감은 “인솔교사들도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 요령 등 14시간의 기본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지만 실제 긴급상황에서 잘할 수 있을지 걱정이 많은데 전문가들이 동행하니 너무 안심됐다”고 말했다. 류 교감은 “아이들도 근무복을 입은 대원들이 곁에서 든든하게 지켜준다는 생각에 더 즐겁고 의미 있는 여행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각자 소방서의 구조·구급대에 소속돼 소중한 인명을 구하는 격무 속에서도 학생들의 안전 지킴이를 자청한 대원들은 평균 구조·구급 경력 6.6년의 베테랑들이다. 인천 남부소방서 정석환 소방장(35)은 “100명에 가까운 학생의 안전을 돌보는 책임감에 부담도 컸지만 무사히 일정을 마쳤을 때 큰 보람을 느꼈다”면서 “똑같이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 수학여행 동행을 자원했다”고 말했다. 26일에는 강원도 설악산으로 수학여행을 떠난 인천의 한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이 심한 복통을 호소해 동행한 구급대원의 판단으로 현지 119구급대를 호출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하기도 했다. 현역 소방관이 학생들과 함께 가는 ‘안심수학여행’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서울에서 처음 시작돼 올해 인천까지 확산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상주터널 안에서 시너를 실은 트럭이 폭발했을 때 수학여행에 동행한 서울소방본부 소방관 2명의 활약으로 버스에 타고 있던 초등학생 60여명이 무사히 탈출해 주목을 받았다. 인천교육청과 인천소방본부는 올해 22개 초등학교에 시범 운영하는 안심수학여행을 내년에는 35개 초·중·고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천교육청 관계자는 “대형 참사와 자연재해로 학부모 불안이 커지면서 소방관들이 동행하는 안심수학여행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교사들도 좋은 반응을 보이는 만큼 사업을 확대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환 기자 ywkim@hani.co.kr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967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KB국민은행,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힐링캠프 개최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경제금융·재테크 KB국민은행,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힐링캠프 개최 등록 :2016-09-27 16:02수정 :2016-09-27 16:06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케이비(KB)국민은행이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를 위한 힐링캠프인 ‘비움과 채움’ 캠프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일하는 사회복지 종사자 70명이 참가한 이번 캠프는 26~28일 2박3일 일정으로 경기도 포천 베어스타운에서 진행된다. 케이비국민은행은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들을 위해 2008년부터 38억원을 지원해 역량개발 교육과 힐링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3만5천여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economy&kisano=762966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9월 26일 알림 ‘스까요정’ 김경진, 조윤선에 “이쁜 여동생 같은…” 표현 논란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엔지오 9월 26일 알림 등록 :2016-09-25 19:40수정 :2016-09-25 19:44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 서울시교육청은 27일 정동 예원학교 강당에서 인공지능시대의 교육방향을 논의하는 ‘2016 서울미래교육 포럼'을 개최한다. 미래 교육이 나아갈 길에 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진다. ◇ 남북경협국민운동본부는 새달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제 10기 법률 아카데미 과정을 개설한다. 새달 14일까지 50명을 모집하며 대상은 남북관계와 남북경협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다. 누리집(casnec.or.kr) 참조. ◇ 기후변화센터는 새달 5~6일 코엑스에서 2016 국제 기후변화 컨퍼런스를 연다. 누리집(climateexpo.co.kr) 참조. ◇ 조선통신사학회는 조선시대 조선통신사 관련 학술활동과 조선통신사 관련 한·일 자료의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 공동 등재를 추진한 공으로 일본 외무성 산하 일한문화교류기금재단이 주는 17회 일한문화교류기금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645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 #alternate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한겨레 메뉴 아이콘 기타서비스 로그인아이콘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____________________ [icon_top_search.png]-Submit *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황교안 ‘대통령 놀이’ 비판한 바른정당에 “나한테…” 훈계 *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호빠, 내연…” 탄핵심판을 막장드라마 만든 박근혜 대리인 *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박정희 묘’ 찾은 박대통령…직무정지 이후 첫 외출 *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이재명 “노동자 출신 첫 대통령 될 것” 공장서 출마선언 *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박한철 퇴임전 탄핵 결정 불가능…빨라야 2월말 선고 *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차은택 “최순실 기획대로 대통령 나타나 소름끼쳐”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재벌개혁 전략 논쟁…‘최대한’이냐 ‘최소한’이냐 *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유진룡 “블랙리스트, 김기춘 지시…역사 30년 전으로 후퇴” *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단독] 고용부, 노동청 평가에 성과연봉제 포함 논란 *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김종 “박 대통령이 ‘정유라 지원’ 직접 거론해 충격” *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블랙리스트 총괄’ 의혹 당사자가 발표한 사과문 논란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닫기 많이 공유 된 기사 *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국민의당 강연재 부대변인, 촛불시민 두고 “구태국민” 망언 *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단독] 헌법학계 ‘반기문 출마자격’ 논란…“선관위 최종해석권 없어” *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사복·난방·카메라 신검…김기춘·조윤선, 누구 덕 보나 *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함박눈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이재용 구속하라” *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꽃길만 걷다 몰락한 ‘박의 여자’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설 앞둔 집배원들의 눈물 “또 한명의 동료를… ” *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8년, 김석기는 금배지 달고 우리는 범죄자가 됐다” *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기춘대원군’, ‘대통령의 여자’ 모두 구속 *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아휴 큰일 났네~” 최순실 자백으로 만든 풍자곡 화제 (BUTTON) 이전내용 (BUTTON) 다음내용 한겨레 메뉴 아이콘 [단독] 선관위 전체회의도 안 열고 “반기문 출마 가능” ‘희망’이란 가면 쓴 절망의 강제 퇴직 반기문 20% 붕괴-문재인 30% 육박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 구글플러스 * 네이버 블로그 * 카카오스토리 * 싸이월드 * 메일보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광고 본문 광고 사회사회일반 ‘희망’이란 가면 쓴 절망의 강제 퇴직 등록 :2016-09-27 14:36수정 :2016-10-11 11:55 * 페이스북 0 * 트위터 0 * 공유 구글플러스 네이버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싸이월드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밥&법/기업들 ‘희망퇴직’ 압박 희망퇴직이라는 이름의 정리해고로 실업자가 양산되고 있다. 한 직장인이 담배를 피우며 동료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희망퇴직이라는 이름의 정리해고로 실업자가 양산되고 있다. 한 직장인이 담배를 피우며 동료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구조조정에 따른 희망퇴직이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본인 스스로 도장을 찍는다곤 하지만, 회사의 집요한 압박과 강요에 떠밀린 경우가 많습니다. 나중에 “어쩔 수 없었다”며 부당해고 소송을 내도 법원은 잘 받아주지 않습니다. 희망이라는 이름의 강제해고가 이뤄지는 현실을 들여다봤습니다. 희망퇴직, 겉으론 자발적 선택 대기발령·전보·교육으로 압박 실제론 거부하기 힘들어 ‘본인 뜻’ 명분에 구제 쉽지 않아 불황으로 업종 구분없이 증가세 생산직·20~30대까지 내보내 정부 ‘저성과 해고지침’에 거부자 내보내기 더 쉬워져 “희망퇴직 처우 수준이 다른 관계사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당사 처우 기준이 이슈화됐고 투자자들 또한 회사가 적자 상황에서 높은 희망퇴직금이 지급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9월부터는 현 처우 수준 대비 20% 이상 하락한 기준으로 조정되니 고려 중인 직원들은 신청 시기에 착오 없길 바랍니다.” 지난 3월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삼성에스디아이(SDI)가 지난 7월 직원들에게 보낸 전자우편의 일부다. 이런 회사 쪽의 공지를 이 회사 일부 직원들은 “사실상 희망퇴직을 빨리 신청하라는 회사 쪽의 협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삼성에스디아이 천안사업장 생산직 노동자 ㄱ(53)씨는 7~8월에만 부서장에게 대여섯번을 불려갔다. 희망퇴직과 관련한 면담을 하자고 해서다. 이 회사 직원 ㄱ씨는 “일부 부서장들은 부서별 희망퇴직 실적을 채우려고 ‘30년 일해 대리밖에 못 달았는데 회사에 기여한 게 뭐가 있냐’는 식으로 모멸감을 주기도 한다”며 “조금이라도 조건이 더 좋을 때 희망퇴직하라는 권유를 부서장들이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2차 전지 등을 만드는 삼성에스디아이 천안사업장은 최근 일부 생산라인을 중단시키면서 인력 효율화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 쪽에선 구체적인 인원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1000명 이상 감원설’이 나오고 있다. 삼성에스디아이 회사 쪽 관계자는 “희망퇴직은 인원을 목표로 정해두고 하는 것도 아니고 철저하게 희망자에 한해서만 진행된다”고 밝힌 뒤 “인력 효율화 작업도 상시로 이뤄져 왔을 뿐 희망퇴직과 연관돼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희망퇴직’을 상시적인 인력 구조조정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희망퇴직 또는 명예퇴직은 회사가 경영상 이유 등으로 인원 감축이 필요할 때 노동자로부터 퇴직신청을 받아 법정 퇴직금 이상의 위로금을 주고 퇴직시키는 제도다. 외환위기 이후 본격 시행된 희망퇴직은 주로 40대 이상 고연차, 사무직 노동자 위주로 시행됐지만, 최근 들어서는 20~30대, 생산직 노동자까지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 희망퇴직은 형식적으로는 ‘희망자에 한해서’ 시행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수단으로 노동자를 압박해 퇴직을 유도하기 때문에 사실상 ‘해고’에 가깝다. 언제든 잘릴 수 있는 비정규직뿐 아니라, 정규직 역시 일상적인 해고의 불안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경영상의 이유로 전체 노동자의 10% 이상(300인 미만 사업장은 30명 이상)의 고용조정이 발생할 때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도록 한 ‘대량 고용변동 신고’ 추이를 보면, 2014년 27곳 사업장 1만2923명에서 2015년 50곳 6026명, 올해 8월까지 74곳 5791명으로 나타났다. 2014년 케이티(KT)가 무려 8320명을 대량으로 희망퇴직시킨 이례적 요인을 제외하고 보면, 사업장 수나 인원 면에서 3년째 증가세가 뚜렷하다. ■ 생산직도, 20대도 희망퇴직 조선업 위기에 따른 구조조정이 한창인 현대중공업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생산직에 대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과장급 이상에게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지난 6월말까지 사무직 1500명, 생산직 500명을 감원한 데 이어 대리·사원급 직원에 대해서도 희망퇴직을 받았다. 과거에는 생산직의 경우 노사간 갈등의 단초가 되기 때문에 주로 사무직만을 대상으로 진행해왔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단체협약에 명시된 ‘노조와 사전협의’ 조항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희망퇴직 모집 중지 가처분 신청을 지난달 26일 울산지법에 냈다. 노조는 가처분 신청서에서 “회사 관리자들이 노동자들에게 ‘여론조사를 통해 희망퇴직자로 선정됐다’ ‘고령으로 고과가 높지 않아 대상자로 선정됐다. 응하지 않으면 저성과자 교육을 보낸다’고 말했다”며 “희망퇴직을 신청하는 조합원들이 없자, 아무런 기준도 없이 대상자를 선정해 희망퇴직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조선업체인 삼성중공업도 지난 6월말까지 생산직·사무직 1500명의 희망퇴직을 받은 것으로 추산된다. 삼성중공업은 기한을 정하지 않고 희망퇴직 신청을 계속 받고 있으며, 40% 수준의 인력감축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20~30대 젊은 노동자를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하는 회사도 점점 늘고 있다. 중견기업 6년차 대리였던 김관우(가명·34)씨는 지난해 1월, 결혼을 두달 앞두고 희망퇴직 대상자가 됐다. 김씨는 “우리 회사는 매년 1월마다 연례행사처럼 희망퇴직을 시켰는데 직급을 가리지 않고 대상자를 선정했다”며 “신입사원 때 받았던 ‘경고’ 징계를 명목으로 대상자에 포함됐고 통보받은 지 2~3일 만에 퇴사했다”고 말했다. 금방 구할 수 있을 줄 알았던 새 직장은 1년 반째 구하지 못하고 있다. 김씨는 “입사 동기 10여명 중에 나처럼 나온 사람이 네댓명은 된다”며 “재취업을 위해 면접을 보러 다니다 보면 나같이 연차가 얼마 안 됐지만 퇴직당한 사람이 많더라”고 말했다. 소셜코머스 업체인 티몬은 지난 7월 사업 분야를 축소하면서 ‘지역사업부’ 직원 170명에 대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는데, 대상자 가운데 입사한 지 두달밖에 안 된 신입사원 등 20대 직원 5명이 포함됐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말, 입사한 지 1년도 안 되는 신입사원까지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해 사회적 논란이 인 바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비판 여론이 거세자 입사 1~2년차는 희망퇴직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 12월에만 1135명을 감원했다고 고용부에 신고했다. ■ 희망퇴직인가 강제퇴직인가 희망퇴직은 형식적으로는 ‘자발적 선택’이지만, 실제 현실에서는 노동자가 이를 거부할 경우 대기발령, 전보, 교육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한 압박이 이루어진다. 삼성에스디아이는 울산 배터리 사업장에서 일하던 고연차·고직급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지난 1일부터 ‘다기능 역량 향상 특별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교육은 파워포인트, 엑셀, 기계제어, 용접 등 기존 업무와는 거의 관계없는 내용이다.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노동자 ㄴ씨는 “회사가 나가길 바라는 사람이 희망퇴직을 하지 않으니 교육을 시키는 것”이라며 “교육 대상자 중에 10여명이 교육이 시작되기도 전에 희망퇴직했고, 나머지 교육 대상자들은 ‘절대로 회사가 바라는 대로 나가지 말자’고 의견을 모으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용부의 지원으로 폴리텍대학에서 진행되는 이 교육은 3개월간의 교육이 끝난 뒤 결과에 따라 직원들을 재배치할 계획이었으나, 노동자들의 반대로 해당 계획은 취소된 상태다. 이에 대해 회사 쪽 관계자는 “전환배치를 위한 역량 향상을 위해 진행하는 교육으로 희망퇴직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대상자 선정 기준에 대해선 “인사팀과 부서장이 상의해서 결정한다”고 설명했으나 구체적인 기준은 밝히지 않았다. 외국계 제약회사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6~7월 희망퇴직 신청자를 모집하면서 고연차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희망퇴직을 권유했다. 이후 희망퇴직을 권유받은 이들 가운데 9명에게 조직개편 과정에서 보직을 부여하지 않았다. 이 회사 노동자 ㄷ씨는 “대여섯번씩 불려가 면담을 하면서 희망퇴직 권유를 받았는데, 대기발령을 시킨 뒤에도 계속 희망퇴직 권유를 받았다”고 말했다. 9명 가운데 3명은 결국 희망퇴직을 했고, 회사 쪽은 노조가 쟁의를 준비하자 노동위원회 조정 과정에서 대기발령 한달여 만에 이들에 대한 발령을 냈다. 아이돌을 내세운 노동권 캠페인 광고로 유명했던 잡코리아도 지난해 5월 조직개편과 인력 재배치 과정에서 노동자 12명에게 “6개월간 동종업계에 취업하지 않는다는 서약서를 내면 최대 5개월치 보상을 지급한다”는 조건으로 퇴직(권고사직)을 권했다. 회사는 이를 거부한 6명을 원래 맡았던 업무와 관련 없는 보직으로 발령냈다. 이에 해당 노동자들이 ‘부당전보’라며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냈고, 중앙노동위원회는 지난 5월 “인사발령은 직원들을 자진 퇴사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뤄졌다”고 판정했다. 정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저성과 해고 지침’이 희망퇴직을 거부한 이들의 해고를 더 쉽게 만든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희망퇴직을 거부한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직무능력 향상 교육을 시킨 뒤 현업에 복귀시켰지만, 이들 가운데 3명을 결국 ‘저성과’ 명목으로 지난 7월 해고했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사무직 지회 관계자는 “희망퇴직을 거부해도 결국 해고되리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남용 민주노총 금속노조 울산지부 현대중공업 사무직 노조위원장(맨 오른쪽)이 2015년 1월 28일 울산시 남구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공업이 자행하는 희망퇴직을 빙자한 강제 정리해고를 철회할 때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울산/연합뉴스 우남용 민주노총 금속노조 울산지부 현대중공업 사무직 노조위원장(맨 오른쪽)이 2015년 1월 28일 울산시 남구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공업이 자행하는 희망퇴직을 빙자한 강제 정리해고를 철회할 때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울산/연합뉴스 희망퇴직은 경영상 위기나 사업 구조 개편 등을 겪고 있는 기업뿐 아니라, 일반 기업들 사이에서도 인건비 절감과 인력 효율화를 위한 상시 구조조정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14년 소식지에 발표한 ‘명예퇴직 운영지침 및 위로금 산정 표준모델’에서 “경영상 해고(정리해고)는 충족해야 할 법적 요건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추진 과정에서 노사갈등이 빈번히 유발되는 한계가 있어, 근로자의 자발적 선택을 전제로 하는 명예퇴직 제도는 조직갈등을 최소화하면서도 인력 운용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호근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사회법)는 “희망퇴직은 겉으로는 노동자와 사용자 간 합의에 따른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노동자가 근로계약 관계 종료를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강요된 해고의 형태로 자주 발생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법률원장 권두섭 변호사는 “회사 쪽에서 저성과 등 해고를 위한 명분과 근거를 충분히 만들어 대상자를 만들고 ‘지금이라도 나가면 위로금을 주겠다’는 방식으로 노동자들을 회유하고 압박하면 노동자들 입장에서는 저항할 수단이 별로 많지 않다”며 “대규모로 희망퇴직이 일어나도 개별적으론 ‘의원면직’(본인 의사로 사직하는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파급도 일어나기 힘들다”고 말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용어설명] ◆ 해고: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계약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 크게 다음 두가지가 있음 -일반해고(통상해고, 개별해고): 부상·질병, 유죄판결 등 노동자의 개인적 이유로 더이상 근로계약상 근로 제공이 어려운 경우, 해당 노동자를 해고하는 것. 업무능력 부족을 이유로 한 저성과해고나 업무명령 위반·근태불량 등으로 인한 징계해고도 여기에 포함됨. -정리해고(경영상 해고, 집단해고): 긴박한 경영상의 위기에 따른 해고. 회사는 해고를 하기 전에 해고회피 노력을 다해야 하고, 공정한 해고기준을 만들어 대상자를 선정해야 함. ◆ 사직:노동장의 의사에 따라 근로계약관계를 종료하는 것. ◆ 권고사직: 사용자가 사직할 의사가 없는 노동자에게 노동자의 비위 또는 경영상 이유 등으로 사직을 권고하고 노동자가 이를 받아들여 근로계약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 법적 용어는 아님. ◆ 희망퇴직(=명예퇴직): 사용자가 경영상 이유 등으로 고용조정이 필요할 때 노동자의 신청을 받아 법정퇴직금 이상의 위로금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근로계약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 법적 용어는 아님. ◆ 근로기준법: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懲罰)(이하 "부당해고등"이라 한다)을 하지 못한다.(23조) ◆ 민법 -진의 아닌 의사표시: 의사표시는 표의자가 진의 아님을 알고 한 것이라도 그 효력이 있다. 그러나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 아님을 알았거나 이를 알 수 있었을 경우에는 무효로 한다.(107조) -사기,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사기나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는 취소할 수 있다. 상대방 있는 의사표시에 관하여 제삼자가 사기나 강박을 행한 경우에는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 한하여 그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있다.(110조) 연재밥&법 * ① 밥&법 * ② 한 문장이 바꾼 세상 * ③ 동네변호사가 간다 * ④ 판결 체크 광고 광고 * * * 섹션기사 * 누,누구시죠… 누,누구시죠… *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너의 이름은…바람의 스케이터 *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1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분홍색 고양이 모자 쓰고 “트럼프 반대” *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기억이 머문 풍경…아이슬란드의 비경 *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비 소식, 우산이 알려줘요 광고 광고 IFRAME: http://ad.hani.co.kr/RealMedia/ads/adstream_sx.ads/www.hani.co.kr/news@ Bottom?section=society&kisano=762948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 * Follow @hanitweet * 전체기사RSS | RSS페이지 목록 * 한겨레앱 안드로이드|IOS 한겨레 가판대앱 안드로이드|IOS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 정치일반 * 청와대 * 국회·정당 * 행정·자치 * 국방·북한 * 외교 * 정치BAR 사회 * 사회일반 * 여성 * 노동 * 환경 * 장애인 * 인권·복지 * 의료·건강 * 미디어 * 궂긴소식 * 인사 * 엔지오 * 교육 * 종교 전국 경제 * 경제일반 * 증권 * 부동산 * 금융·재테크 * 광고·마케팅 * 쇼핑·소비자 * 직장·창업·취업 * 자동차 * IT * 헤리리뷰 * 기업PR 국제 * 국제일반 * 해외토픽 * 아시아·태평양 * 미국·중남미 * 유럽 * 중국 * 일본 * 중동·아프리카 * 국제기구·회의 * 국제경제 문화 * 문화일반 * 영화·애니 * 방송·연예 * 여행·여가 * 음악·공연·전시 * 학술 * 책과 생각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축구·해외리그 * 야구·MLB * 골프 * 경기일정 * 경기결과 * 바둑 과학 * 과학일반 * 과학기술 * 과학향기 오피니언 * 사설 * 칼럼 * 왜냐면 * 렌즈세상 만화 | ESC | 토요판 | 뉴스그래픽 | 퀴즈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헤리리뷰 | 사람 | 탐사보도 | 서울& | 제주& 스페셜 * 휴심정 * 물바람숲 * 사진마을 * 사이언스온 * 베이비트리 * 투코리아 스페셜+ * 미래 창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앱으로 여는 작곡세상 * 만화가게 아가씨 * 중동대전 * 도시잡기 * 슬로푸드 * 경제 신호등 * 여성생존백서 * 길과 풍경 포토 * 화보 * 포토스페셜 * 최신포토뉴스 * 카드뉴스 한겨레TV * 시사·보도 * 교양·라이프 * 엔터테인먼트 * 스페셜 * 지식공감, 10분 * 시청자참여 뉴스서비스 * 많이본기사 * 날짜별한겨레 * 지난톱기사 * 디지털초판 * PDF서비스 * RSS서비스 * 기사제보 * 기사투고 커뮤니티 * 토론마당 * 이야기 * 블로그 * SNS통하니 * 구 필통 블로그 매거진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사업 * 한겨레휴센터 * 테마여행 독자프리미엄서비스 | 고객센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겨레 한겨레 신문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지면광고 * 온라인광고 * 사업제휴 * 채용 * 기사제보 * 투고 * 고객센터 * 고충처리 * face book * twitter 사이트 운영 * 저작권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지적재산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한겨레 가족 * 하니누리 * 한겨레출판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 한겨레교육문화센터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 한겨레S&C * 사람과디지털연구소 Copyright ⓒ The Hankyoreh. All rights reserved.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