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ongAng 정치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편의 기능 The JoongAng 간편 로그인하고 한결 더 편리해진 나만의 중앙일보를 경험해보세요. 내구독 보관함 오피니언 뉴스 스페셜 패키지 뉴스레터 멀티미디어 중앙SUNDAY 중앙일보 배너 중앙일보를 만나는 또다른 방법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있습니다. 인기 검색어 많이 본 기사 "남편 죽고 아들은 아파" 미스코리아 출신 스님 출가한 사연 "내 거실 들여다보고 있었다" 韓2600곳 실시간 생중계 쇼크 ʼ돼지 심장 이식ʼ 美 남성, 친구 반신불수 만든 흉악범이었다 [속보]法, 서울 마트·백화점 방역패스 정지···식당·카페는 유지 “아이 아픈데 병원까지 1시간”…멀고 먼 인구소멸 지원 정책 1 읽는 중 공유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짜 졸업장 중앙일보 입력 1968.03.28 00:00 종합 05면 ○…가짜 졸업장을 만들었단다. 몇 가지 재료에다 가난한 양심과 꾀죄죄한 사상만 더 갖추면 얼마든지(?)가능한 일이다. 크게 놀랄만한 사건은 못 된다. 정작 놀랄 일은 그 다음에 있다. 그 가짜가 진짜를 실력으로 물리쳤다는 사실이다. ○…취직을 하려면 이력서나 졸업증명서 따위의 서류를 먼저 심사 받아야 한다. 시험관은 개인의 능력이나 개성과는 상관없이 제출된 서류만으로 개인의 가치를 판단한다. 실력이야 있건 없건, 서류야 진짜 건 가짜 건, 주문한 서류가 구비되어 있는 자에 한하여 시험이나 면접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제도를 생각해보면 가짜가 진짜를 물리쳤다고 깜짝 놀랄 수만도 없지 않은가. 가짜 졸업장을 만든 사람, 구질구질하게도 가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던 실력 있는 사람. 진짜를 갖고도 합격될 수 없었던 사람…. 이 엄청나고 치사한 부작용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가짜 졸업장을 만든 사람. 그것을 감쪽같이 돈을 주고 사야하는 사람. 그 가짜 졸업장에 의지하고 사람을 채용하는 사람. 그것보다도 이런 것이 무성한 사회제도가….아니 이 정도로 생각을 멈춰야 할까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알림 댓글에 참여하시려면 새로운 중앙일보 회원으로 가입 후 로그인해 주세요 간편 가입 로그인 모비온 Innovation Lab 기업을 위한 단 하나의 업무 도구 기업을 위한 단 하나의 업무 도구 Posted by 더존비즈온 바다 쓰레기에 갇힌 물고기를 구하라 바다 쓰레기에 갇힌 물고기를 구하라 Posted by CJ제일제당 플라스틱 기름 파는 주유소에 가다 플라스틱 기름 파는 주유소에 가다 Posted by SK이노베이션 엄마의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엄마의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Posted by ICM 3기 신도시 청약 전 꼭 알아야 할 것 3기 신도시 청약 전 꼭 알아야 할 것 Posted by LH(한국토지주택공사) 우리는 진정 멀티태스킹을 하고 있는가 우리는 진정 멀티태스킹을 하고 있는가 Posted by 더존비즈온 ADVERTISEMENT 공유 메모 0/500 메모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국제 문화 스포츠 라이프 피플 스페셜 패키지 뉴스레터 멀티미디어 중앙SUNDAY 전체보기 중앙일보 정책 및 약관 The JoongAng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우) 03909 전화 : 02-751-5114 등록번호 : 서울 아 01013 등록일자 : 2009.11.2 발행인 : 홍정도 편집인 : 최훈 전체 서비스 JoongAng Ilbo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저작권 정책 및 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 Ltd. All Rights Reserved 중앙일보 회원만열람 가능한 기사입니다. 로그인 중앙일보 회원이 되어주세요!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편의 기능이 궁금하신가요? 중앙일보 회원이 되시면 다양한 편의 기능과 함께 중앙일보만의 콘텐트를 즐길수 있어요!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뉴스레터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 하시겠어요? 뉴스레터 수신 동의 중앙일보는 뉴스레터, 기타 구독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거부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 하였을 경우 이메일을 수신할 수 없습니다. 구독 신청을 통해 발송된 메일의 수신 거부 기능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