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블로그 전체검색

숲노래 살림말


졸업장 또는 자격증 : 졸업장을 따니까 다른 졸업장을 따려고 학교에 더 들어간다. 자격증을 따니까 새로운 자격증을 따려고 학원에 더 들어간다. 졸업장으로 돈을 벌거나 이름을 얻기에, 새로운 졸업장을 얻어서 돈이나 이름을 더 얻으려고 한다. 자격증으로 돈이며 이름을 누리기에, 새로운 자격증을 보태어 돈이며 이름이며 더 보태려고 한다. 이러한 길, 졸업장 길이나 자격증 길은 나쁘지 않다. 그저 졸업장이나 자격증으로 여기에 있는 모습일 뿐이다. 졸업장이나 자격증을 코앞에 둔 자리에서 생각해 볼 노릇이다. 배우려고 학교에 다녔는가? 일을 하려고 솜씨를 갈고닦았는가? 졸업장을 밝히면서 살기에 잘 배운 티가 나는가? 자격증을 드러내며 일하기에 솜씨가 빛나는가? 아이들이 슬기롭게 배우기를 바라면서 학교에 넣는가, 아니면 아이가 졸업장을 거머쥐어 이 졸업장 힘으로 돈이랑 이름을 얻기를 바라는가? 아이들이 솜씨좋게 제 길을 찾기를 바라면서 자격증을 따라 이끄는가, 아니면 아이가 자격증을 내세우며 이 자격증 힘으로 돈하고 이름을 가볍게 거두기를 바라는가? 학교를 잘 다녀야 하지 않는다. 연수모임이나 배움마당을 잘 마쳐야 하지 않는다. 예배나 기도를 잘 해야 하지 않는다. 격식이나 예의를 차려야 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새해에 하는 절도 대단히 엉성하지만, 마음으로 절을 하기에 아이들한테서 절을 받는 할머니랑 할아버지는 함박웃음을 짓고 기쁨을 스스로 일으킨다. 아이가 빈틈없이 절을 하거나, 아이가 띄어쓰기하고 맞춤법을 빈틈없이 맞추어 글월을 적어야 할머니 할아버지가 반길까? 격식하고 예의를 차린 아이를 마주하기에 할머니나 할아버지는 함박웃음을 피울까? 온통 졸업장 판에 자격증 물결로 이 나라를 뒤덮는다면, 고작 대학 졸업장하고 기술 자격증으로 일자리하고 돈벌이를 가른다면, 우리 스스로 배우거나 익히거나 살아내거나 살림하거나 사랑하는 길하고는 차츰 등지는 셈이다. 빼어난 스승 곁에 있었기에 춤을 잘 추거나 노래를 잘 부르거나 명상을 잘 하지 않는다. 스스로 배우고 스스로 익혀서 스스로 살아내고 스스로 살림을 짓는 걸음으로 스스로 사랑하니 무엇이든 스스로 즐겁게 하는 동안 어느새 솜씨가 꽃으로 피어난다. 아이한테 졸업장이 아닌 마음을 두 손에 담도록 이야기하면 된다. 아이한테 책읽기 느낌글을 쓰라 시키지 말고, 꽃하고 말을 섞도록 가만히 보듬으면서 나무랑 풀벌레하고도 도란도란 수다꽃을 피우도록 북돋우면 된다. “임무 완수”나 “행사를 무사히 종료”하는 일이란 없다. 아니, 이렇게 하기를 바라면 언제까지나 쳇바퀴를 돌면 되겠지. 쳇바퀴 아닌 삶을 바라고 사랑을 꿈꾼다면, 모든 격식하고 예의를 오롯이 ‘꿈’하고 ‘사랑’으로 나아가도록 바꾸어 주면 된다. 격식은 격식일 뿐, 꿈이 아니다. 예의는 예의에서 맴돌 뿐, 사랑이 아니다. 아이가 꿈을 스스로 그리고 사랑을 스스로 펴기를 바라는가? 꿈이기에 비로소 ‘격식다운 격식’이 되고, 사랑이기에 바야흐로 ‘예의다운 예의’가 된다. ‘꿈·사랑’이라는 낱말은 모든 격식하고 예의가 밑바탕에 있다. 밑바탕에 다 있는 꿈하고 사랑을 등진 채, 겉껍데기인 졸업장과 자격증과 격식과 예의에 매달리는 오늘이라면, 이 오늘이 얼마나 따분할까. 따분한 오늘이 좋다면 따분하게 살면 되지. 새로우면서 싱그럽게 춤추고 노래하여 스스로 웃음꽃이 되기를 꿈꾼다면, 스스로 사랑을 길어올려 바람을 타고 날아오르면 되지. 돈을 움켜쥔 이도 하늘나라 문턱에조차 못 가지만, 졸업장하고 자격증을 거머쥔 이는 하늘나라 문턱은커녕 문턱이 어디에 있는지마저 못 보고, 툭하면 아무 데에서나 걸려넘어진다. 2019.9.29. ㅅㄴㄹ

 
취소

댓글쓰기

저장
덧글 작성
0/1,000

댓글 수 0

댓글쓰기
첫 댓글을 작성해주세요.

PRIDE1